Going beyond our mother tongu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Going beyond our mother tongue

Up until the 18th century, Latin reigned as the lingua franca among intellectuals in England. English was regarded as a dialect, good enough for popular novels and plays, but incapable of imparting great and complex concepts and thoughts. Few thought English could replace Latin’s prestige. But there were pioneers who thought differently. Richard Mulcaster (1530-1611), revolutionary educator and headmaster of the country’s largest school, Merchant Taylors’ School in London, was an avid advocate of the English language. “I love Rome, but London better. I favor Italy, but England more. I honor Latin, but worship English,” he said. He campaigned for the propagation and greater use of the English language, emphasizing the richness and vitality of it. “I do not think any language is better able to utter all arguments, in more pith or great plainness, than the English tongue,” he wrote in “The Elementary,” published in 1582. And his prophesy was realized in th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1564-1616).

Despite passion and devotion to the language, Mulcaster knew English could not rival Latin on other soil. He predicted the English tongue would remain in the realms of the English islets, as his country had no ambitions to go out and conquer the world. Little did he know that 300 years later, his country would turn into a colonial empire on which the sun never set.

There are some among the intellectual elite in our society that complain about the confines of the Korean language and believe it will never reach the status English enjoys today. But we need not limit ourselves and our language.

One of England’s most revered poets, John Milton (1608-1674), was a man of letters, competent in eight languages and one of Europe’s most prominent Latin scholars. His mastery of Latin allowed him to serve as the Secretary of Foreign Tongues for 10 years under Oliver Cromwell. The prolific writer and thinker would have earned greater prestige and broader readership if he had written in Latin, the lingua franca of the European continent in his time. Yet he chose his mother tongue to write his magnum opus “Paradise Lost.” Even a great thinker like Milton could not have imagined English would, centuries later, gain global status.

The elite of a society can identify themselves either as members of a national community with a future or as refugees without ties to the society. A refugee doesn’t have any commitment to the dwelling he considers as mere shelter. He will pack and leave at the first chance of a better life. To live comfortably in his lifetime is all he cares about. He does not hold any devotion, commitment or long-term vision for the community. He may be presentable on the surface, but is, in fact, shallow and carefree in his life.

A citizen and refugee would regard their mother tongue differently. The exemplary approach can be found in 19th century Japanese society. Elite Japanese who had traveled and studied Western civilization set up a translation bureau within the government during the start of the Meiji Restoration to translate all significant foreign works to make them accessible to common Japanese people. Toshihide Maskawa, professor emeritus of Kyoto University, joked that he studied physics because he was poor at English. His professor had to waive him from a foreign language test during his post-grad years, and he didn’t even own a passport because he never had the chance to go abroad. Yet he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Physics in 2008 thanks to the translation legacy in Japan that provided him the world’s knowledge. Poet Kim Soo-young said Koreans born after 1930 were ignorant of world culture because they didn’t read Japanese.

-ellipsis-



18세기까지 영국에서는 라틴어가 학문의 공통어로 군림하고 있었다. 기껏해야 ‘지방어’에 불과한 영어 따위는 위대하고 복잡한 사상을 표현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절대 다수였다. 영어가 라틴어의 자리를 감히 넘볼 수 없다는 의견이 대세였다. 물론 선각자도 있었다. 머천트 테일러스 학교의 교장을 지낸 교육사상가 리처드 멀캐스터(1530∼1611)는 모국어 사용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1582년에 말했다. “나는 로마가 좋다. 그러나 런던은 더욱 좋다. 이탈리아가 마음에 들지만 영국은 더욱 좋다. 나는 라틴어를 존중하지만 영어는 숭배한다.” 멀캐스터는 영어의 표현력에 한계가 있다는 당시의 통념을 거부하고 “영어만큼 힘차면서 평이하게 모든 주장을 펼 수 있는 언어는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한 세대 뒤 태어난 셰익스피어(1564∼1616)에 의해 입증됐다.

모국어에 대한 애정과 신념이 있었지만 멀캐스터는 현실적 한계 또한 잘 알고 있었다. 국제무대에서 영어는 라틴어와 경쟁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는 말했다. “우리 영어가 미치는 범위는 크지 않다. 우리나라 섬들에만 국한된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를 지배하면서 영토를 넓혀나가려는 제국이 아니다.” 그는 300년 후 그의 조국이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이 되리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던 것이다.

우리 사회의 엘리트들 중에서도 멀캐스터 시대의 영국인들처럼 한국어의 한계에 불만을 표하면서 ‘한국어 따위’가 감히 영어의 자리를 넘볼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긴 호흡으로 100년, 300년을 내다보면 패배주의에 사로잡힐 이유가 없다.

영국을 대표하는 시인 존 밀턴(1608∼74)은 8개 국어에 능통했고, 당시 국제어였던 라틴어 구사 능력은 유럽 최고 수준이었다. 크롬웰 정부에서 10년 간 외교부장관 직을 맡은 것도 그 때문이었다. 열등감에 시달리던 변두리 섬나라 국민이었던 밀턴은 라틴어로 작품을 쓰는 편이 훨씬 유리했다. ‘후진국 언어’인 영어 대신 라틴어로 쓰면 전 유럽인을 독자로 삼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밀턴의 애국심은 영어를 택했다. 그 열매가 ‘실낙원’이다. 밀턴은 영어가 몇 세기 후 이토록 위상이 높아지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한 나라의 엘리트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방식을 둘로 나눌 수 있다. 자신을 미래 비전을 가진 한 국가의 ‘시민’으로 보는가, 아니면 뿌리 뽑힌 ‘난민’으로 보는가 하는 것이다. 난민은 거주지인 난민촌을 영속적인 곳으로 보지 않는다. 일단 유사시엔 미련 없이 다른 곳으로 떠나면 그만이다. 하루살이처럼 당대에만 잘 먹고 잘살면 그것으로 끝이다. 소속 집단에 대한 애정이나 시민적 의무감, 장기적 비전이 있을 리 없다. 겉모습이야 번지르르 하지만 한 꺼풀 벗기고 보면 ‘막 사는 것’이 이들의 특징이다.

‘시민’과 ‘난민’은 모국어에 대한 접근법도 엇갈린다. 시민다운 접근법의 모범은 19세기 일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서양 문명을 접한 일본 엘리트들은 메이지유신 직후 정부 내에 ‘번역국’을 설치, 대대적인 번역 사업을 수행해 전 세계의 고급 지식을 모든 국민이 모국어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 마스카와 도시히데(益川敏英) 교토산업대 교수는 “영어를 못해 물리학을 택했다”고 농담할 만큼 영어와 거리가 먼 인생을 살았다. 대학원 시험 때 지도교수가 그의 외국어 시험을 면제해줄 정도였고 평생 외국도 못 나가 여권도 없었다. 하지만 그는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번역 왕국’ 일본이 이룬 쾌거다. 시인 김수영은 1930년 이후에 태어난 한국인이 일본어 해독능력 결여로 세계문화에 무지하다고 개탄했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