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mortem on FMD: Steps weren’t followed

Home > National > Politics

print dictionary print

Postmortem on FMD: Steps weren’t followed

테스트

An official from the National Livestock Cooperatives Federation cleans a farm yesterday in Paju, Gyeonggi, where no FMD has been found in three weeks. The Paju government said it will ease the alert on FMD this month. [YONHAP]


It has been 100 days since the foot-and-mouth disease (FMD) was first discovered in Andong, North Gyeongsang, on Nov. 28 last year. And though the epidemic is now considered under control, it has taken a huge toll on the nation.

Within one month after its appearance, the highly contagious virus swept across the country, and since then, roughly 3.4 million animals have been culled to prevent further outbreak. The government spent about 3 trillion won ($2.7 billion) to compensate farmers forced to bury their animals. The disease was a devastating blow for the nation, by all accounts.

Since 2000, Korea has had five FMD outbreaks - in March 2000, May 2002, Jaunary 2010, April 2010 and the most recent one that began late last year. In 2003, the central government published the “White Paper on FMD,” a 343-page handbook that urged government officials to launch a step-by-step system of vaccinating animals and to send animal experts to each village during an outbreak.

Experts say if the government had followed the instructions in the book, it could have prevented the disease from spreading nationwide.

But quarantine officials argue that following the manual, especially in reporting outbreaks to the central government, was not as easy as it seems.

According to the handbook, all quarantine officials are first supposed to report potential FMD cases to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n the ministry is supposed to close off the region and release an official statement to the press.

“But what if the suspicious case we reported to the ministry turned out to be negative?” said a quarantine official in Andong, where officials were blamed for hesitating to report the first outbreak of FMD, which led to the late response to the virus. “We can’t handle all the criticism we might face if we report a false case to the government.”

In January 2010, officials in Pocheon, Gyeonggi, reacted similarly to those in Andong. Just in case it turned out not to be true, they didn’t report a suspicious case of FMD to the government and investigated the case themselves through a local veterinary laboratory that is not control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fter they found the animal tested positive for the virus, they finally informed the government. But this led to a delayed response to the virus, causing an outbreak.

“For effective quarantine measures,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centralize all local veterinary laboratories and closely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s,” said Kim Ok-gyeong, visiting professor at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Beyond problems over reporting the virus, one veterinarian noted that the “White Paper on FMD” doesn’t have any contingency plans for problems that could arise. In January and February of this year, for instance, when liquid disinfectant froze in cold temperatures, government officials continued using the frozen disinfectant, saying the manual only allows for the use of a specific liquid disinfectant. Another vet said he had trouble finding an appropriate site to bury animals because the manual said the disposal site should be 30 meters (98 feet) from underground water sources.

Experts say the lack of quarantine officials also led to the FMD disaster.

At the North Gyeongsang Veterinary Service Laboratory, one vet is in charge of inspecting 30,000 cows, 60,000 pigs and 1.96 million poultry. While the number of livestock in six cities in North Gyeongsang has increased from about 5.82 million in 2000 to 10.25 million in 2010, but the number of vets in the laboratory has only increased by one, from four to five.

Joo Yi-seok, an official at the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said, “The small number of quarantine officials can’t fully understand all of the manuals or skills required to inspect animals.”

Experts say the central government did well to cope with FMD in 2000, when only 2,216 animals were slaughtered, because all quarantine officials full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us and quickly took measures. At the time, the military also got involved, making things much more efficient.

“When the agriculture minister gave the order, military forces were instantly dispatched to outbreak site,” said Kim Sun-jae, an emeritus professor at Konkuk University who was the chief of a quarantine-service team under the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in 2000. “This time, the government tried to tackle the spread of the disease by only sending civil servants.”

Some government officials criticized the fact that many farmers exaggerated the number of animals they had buried so they could get more compensation.

Because the number of buried animals was reported each community’s local leader, the central government had trouble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culled animals in each region was correct.

An Agriculture Ministry official also criticized the lax attitude of some farm owners in preventing FMD.

“We were told that some FMD-infected farm owners, who were supposed to stay in quarantined areas, gathered to discuss how to get compensation from the government,” an official said, asking for anonymity. “They don’t know even the basics of quarantine.”

A vet, requesting not to be named, said, “In some farms, where farmers don’t take care of animals by themselves and hire foreign workers instead, hygiene is poor.”


By Special Reporting Team [heejin@joongang.co.kr]


Related Korean Article[중앙일보]

구제역 100일의 반성…위기를 기회로 선진 축산으로 간다

선진 축산의 길은 가깝다. 제도를 합리적으로 짜면 된다. 선진 축산의 길은 멀다. 좋은 제도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섣부른 결론은 그래서 금물이다. 쟁점부터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핵심은 ▶살처분 ▶적정 사육두수 ▶축산업 허가제 등 세 가지다.

쟁점 ① 살처분이 과연 최선인가

살처분은 당국의 일관된 입장이다. 반론도 만만치 않다. 반대론자인 이영순(67) 서울대 수의학과 명예교수와 고수론자인 김옥경(67) 충북대 수의과대학 교수의 얘기를 정리했다. 이 교수는 2002~2003년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을 , 김 교수는 1999~2002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장을 역임했다.

◆이영순 교수

-정부의 초기 대응을 평가하면.

“살처분 고집은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백신을 투여하면 청정국 지위를 잃기 때문이다. 청정국 지위를 유지해야 육류 수출이 가능하고, 구제역 발생국의 육류 수입도 막을 수 있다. 전업농이 아닌 기업형 축산농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살처분을 말자는 건가.

“구제역 바이러스는 막을 수 없다. 우리를 둘러싼 아시아 19개국이 모두 구제역 발생 지역이다. 김포·인천공항으로 들어오는 화물의 60% 이상이 동남아에서 들어오는 것이다. 철새나 먼지로도 옮길 수 있다. 살처분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대안은 뭔가.

“백신이 현실적이다. 살처분으로 국토를 오염시키면서까지 청정국 지위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소·돼지·닭이 식탁에 오르기까지 10~20종의 백신을 맞는다. 여기에 구제역 백신 하나만 추가하자는 것이다.”

◆김옥경 교수

-살처분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받아들일 수 없다. ‘살처분 포기=방역 포기’다. 살처분 외에 바이러스를 없앨 방법은 없다. 백신을 투여해도 감염 가축은 살처분해야 한다. ”

-백신과 살처분이 왜 병행돼야 하나.

 “접종 후에도 돼지의 10% 이상은 항체가 생기지 않는다. 청정화를 포기하면 계속 백신을 투여해야 하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살처분으로 인한 오염은.

 “ 매몰지가 부족하다면 소각이나 비료화 등의 처리가 가능하다. 침출수 문제는 매몰지 선정과 매몰 방법 개선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다.”

-살처분을 고집하다 백신 투여가 늦어졌다는 지적이 있다.

“백신과 함께 살처분을 병행하자는 것이지 살처분만 고집하자는 게 아니다. 바이러스의 병원성과 확산 속도를 봐서 불가피하면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 하지만 증상이 보이는 가축은 살처분해야 청정국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쟁점 ② 적정 사육두수는 얼마

“돼지 300만 마리 살처분된 지금이 적당”

“규제하면 50만 명 일자리 축산업 흔들”

지난해 소·돼지 사육 두수는 1323만 마리다. 2000년(1035만 마리)보다 28% 늘었다. 분뇨 발생량도 4300만t을 넘었다. 사료는 97% 정도를 수입한다. 지난해에만 43억 달러를 썼다. 네덜란드·덴마크 등 축산 선진국들이 분뇨 배출량을 고려해 사육 두수를 규제하는 이유다.

국내 전문가의 의견은 엇갈린다. 장태평 전 농식품부 장관은 “적정 사육 두수를 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수입 대체와 수출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서울대 최윤재(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환경부담을 고려해 적정 두수를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적정 두수를 규제하면 육류·우유 자급률이 떨어진다. 50여만 명의 일자리가 걸린 연 17조원 규모의 축산업도 흔들린다. 충남대 박종수(동물바이오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육류별로 자급목표를 설정한 뒤 분뇨 등 환경 요인을 감안해 적정 사육 두수를 정하는 게 순서”라고 말했다. 일부 학자들은 “ 300만 마리 이상이 살처분된 현재 돼지의 사육 두수(약 700만 마리)가 적당하다”는 의견이다. 구제역 위기가 축산업 규모 적정화의 기회라는 얘기다.

쟁점 ③ 축산업 허가제 필요한가

“방역·위생 교육 받은 사람이 가축 키워야”

“축산업 진입 장벽 만들면 경쟁력 떨어져”

‘제대로 시설을 갖춘 농장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은 사람만 가축을 키우게 하자’. 정부가 검토하는 축산업 허가제의 요지다. 방역·위생 교육도 받지 않은 이들이 무분별하게 축산업에 뛰어들면 질병과 환경 오염에 무방비로 노출되기 쉽다는 게 이유다. 그렇다고 기존 축산업자들이 농장에서 쫓겨나는 건 아니다. 정부 구상은 ▶일정 규모 이상의 농장에 한해 ▶방역·위생 시설자금을 지원하고 ▶농장주에게 일정 시간의 교육을 받도록 규정하자는 것이다. 축산 시설을 갖추고 교육을 받아야만 신규 진입을 허가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민국 박사는 “ 대규모 농가에 시범적으로 시행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안”이라고 설명했다.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신규 진입 장벽이 높아지면 기존 축산업자만 보호받게 되고 ▶대규모 농가만 규제하면 어차피 방역·환경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대표적이다.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김유용 교수는 “진입 장벽이 높으면 경쟁이 약해져 축산업 전체가 도태될 수 있다” 고 말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