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rsty for Park-style leadership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irsty for Park-style leadership

Fif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y 16 coup, which opened a critical chapter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 half century is a considerably long time but the evaluation of the event is not so simple. There is praise and criticism and critics and supporters are not likely to reach a conclusion easily. As we all know, it is a matter of which side you take, the substantial nature of a military coup or the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coup. Moreover, it is a question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identity of individuals, like myself, whose formative years coincided with the Third Republic.

The evaluation of the history is not something about which we can make assumptions. Moreover, the evaluation of the future generation is not determined by the majority. However, in numerous opinion polls and surveys, Park Chung Hee is ranked as the best presiden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is daughter is consistently considered the most promising presidential candidate for the next term. The continued popularity may reflect the response of the current generation to the past that is still connected to the present.

We cannot deny the serious vice that Park Chung Hee had chosen by way of a military coup and his administration made the blooming democracy regress. For over 30 years, many people suffered from fear of unlawful arrest, detainment, torture and severe punishment. The memories have now faded but the scare continued through the Chun Doo Hwan and Roh Tae-woo administrations. Koreans could only get over the fear of military revolt when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military was mopped up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e young generation, even those in their 30s, may not know what it was like to live under a military regime. Those older than 50 know that the potential threat was not to be undermined until the mid-90s.

The legacy of the Park administration, most notably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is that it exerted a tremendously positive impact on Korean society. Even the critics do not deny that Koreans were no longer starving during the Park era and his contribution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economic status of Korea today.

In retrospect, you may underestimate his accomplishments or argue that the developmen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forcible administrative structure of dictatorship. You may also refute that economic development would come sooner or later. However, over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feeding the nation well is still a dream Pyongyang is yet to achieve. No one can deny the fact that you cannot easily find another example of making that dream come true and building a solid economy in less than 20 years.

-ellipsis-



한국 현대사에 결정적인 획을 그은 5·16이 어제로 50년을 맞았다. 반세기라는 짧지 않은 시간이 지났지만 평가는 간단치 않다. 훼예포폄(毁譽褒貶)의 다양한 평가는 여전하고 앞으로도 쉽게 결론이 날 것으론 보지 않는다. 누구든 알고 있지만 결국은 두 가지, 군사쿠데타로서의 본질적 속성과 그 후 일구어낸 경제적 성장, 그 두 가지 중 어느 쪽에 더 큰 비중을 두어 생각하느냐 하는 문제다. 그건 또 다시 거의 제3공화국과 같이 한 내 개인적 성장기의 정체성과 관계된 문제일 수도 있겠다.

역사의 평가는 지금 누구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영역의 문제가 아니다. 또한 후세의 평가가 다수결로 내려지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박정희를 정부 수립 후 가장 훌륭한 대통령으로 꼽은 수다한 여론조사나, 그 핏줄을 가장 유력한 차기 대통령 후보로 꼽는 현 상황이, 여전히 현재와 이어지고 있는 머지않은 과거에 대한 현 세대의 반응일 수 있겠다는 생각은 든다.

거사의 방식이 군사 쿠데타였다는 점과 잠깐 꽃 핀 민주화의 후퇴라는 심각한 폐해를 부정할 수는 없다. 30년이 넘는 세월이었다. 많은 사람이 불법체포와 구금·고문, 극형의 정신적·육체적 공포를 떠올릴 수 밖에 없던 시대였다. 이제와 희미해져 그렇지, 군사적 방식의 정변에 대해 두려움을 떨쳐버린 건, 전두환·노태우 정권을 지나 김영삼 문민정부의 군부 정치세력 소탕이 이뤄진 이후가 아니었나 싶다. 이젠 30대의 장성한 세대도 알지 못하는 일이겠지만, 그 잠재적 위협은 90년대 초·중반까지도 결코 간단한 게 아니었음을, 나를 포함한 50대 이상은 경험으로 안다.

그런 간과할 수 없는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높은 평가를 받기란 간단한 일이 아니다. 흔히 산업화와 개발연대란 말로 표현되는 박정희 시대의 유산이 이후 한국 사회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상대적 판단의 결과다.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이들도, 먹는 문제가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되기 시작한 게 박정희 시대였다는 점과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경제적 위상이 현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만큼은 부인하지 않는다.

이제 생각하면 별 것 아닌 것 같다거나 독재라는 강압적 통치구조가 가능케 한 결과라고 할 수도 있다. 다소의 빠르고 늦음은 있을지언정 어차피 이루어졌을 역사적 순리(順理)였다고 논박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최소한 먹는 문제 하나만 해도 북한이 정권 수립 60년이 넘도록 이루지 못하고 있는 꿈이다. 이를 현실로 만들어내고, 그 기반을 불과 20년 안쪽에 충실히 쌓아 지속 가능케 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사실은 부인키 힘들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