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ongyang promises China investors the moon

Home > National > Politics

print dictionary print

Pyongyang promises China investors the moon

테스트

The JoongAng Ilbo has acquired North Korea’s guidelines for Chinese investors at its economic development zone on Hwanggumpyong Island, and many are more liberal than those offered to South Koreans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North Korea and China recently broke ground at the island on the mouth of the Yalu River, in an ambitious attempt to bring development and Chinese investment to the North.

The date of the document acquired by the JoongAng Ilbo was not known.

According to the guidelines written by a joint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Hwanggumpyong and Rason special economic zone, transactions in Chinese currency are allowed. Independent and joint banks will also be allowed to be established in the zones.

South Korean companies working in Kaesong conduct all business in U.S. dollars. Unlike South Koreans working in Kaesong, investors in the new zones will receive special privileges when it comes to using land. They are free to lease, lend or even bequeath the land to their relatives, as long it is done within a contracted period of time. Those who reside within the special economic zones can also freely use cell phones and are provided with Internet access.

Cell phones are not allowed i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goal of the zones, the document said, was to “continue to firmly develop the traditional friend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was “agreed upon by the two greatest leaders” of China and North Korea, referring to Chinese president Hu Jintao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t also supports the hopes and future gains of the people from the two countries,” it said.

The economic zones are also meant to improve North Korea’s manufacturing ability, quality of life for North Koreans and the North’s competitiveness in earning foreign currency, the document added. In order to do so, North Korea’s natural resources would be utilized to their fullest, including human resources, land and minerals.

The document’s role, it said, was to “aid the writing of more detailed development policies.” The guidelines are valid in the 470 square kilometers (181 square miles) of the Rason free economic zone and 16 square kilometers of Hwanggumpyong.

In case the zones fill up, the document hinted at the possibility of a third zone that could be established.

For Rason, the document said three piers leased out to different countries - China, Switzerland and Russia - would be modified to allow vessels of more than 50,000 tons to dock. In addition, new highways, bridges and even an airfield would be built in the area.

At Hwanggumpyong, a new port will be constructed for passengers and cargo vessels between the island and the North Korean city of Sinuiju. The document said the airport at Dandong, which is near Hwanggumpyong, would be “actively utilized.”

The document emphasized that foreign investors’ assets would not be nationalized and that all investors’ legal rights were guaranteed.

The document was written in both Chinese and Korean.

Despite all the promises in the guidelines, analysts remained skeptical as to how successful the trade zones will be. “It’s a mystery as to how many investors will be eager to invest there,” said a diplomatic source in North Korea.


By Chang Se-jeong, Christine Kim [christine.kim@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연합]
北 김정일 러'극동 방문설 '솔솔'…의도는?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데 이어 이달 말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북러 정상회담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는 외신 보도가 잇따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정세의 관심에서 보면, 북한이 중국에 기운 듯한 행보를 최근 보이고 있지만 이른바 '줄다리기' 측면에서 러시아와의 연결고리를 과시하려는게 아니냐는게 외교가의 시선이다.

보도된 내용을 종합하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29일부터 내달 1일 사이에 블라디보스토크을 방문해 내년에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고, 김 위원장은 30일께 북러 국경을 건너가 정상회담을 벌일 것이라는 징후가 포착됐다.

러시아 극동 지역 치안당국자가 회담을 준비하고 있다고 외신에 설명했고, 회담 장소로 블라디보스토크 교외나 북러 국경 지대인 하산 지구를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이전에도 김 위원장의 방러설이 나왔다가 소문에 그친 적이 있었기 때문에 김 위원장이 실제로 러시아를 방문할지는 미지수지만, 이 같은 보도는 최근 김 위원장의 행보와 관련해 시선을 끌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방러가 주목되는 이유는 그가 지난달말 투먼(圖們)에서 시작해 양저우(揚州), 베이징(北京)까지 무려 6천여㎞를 달린 특별열차 방중 대장정 퍼포먼스를 벌인 직후라는 점이다.

김 위원장은 일본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이 열린 시점을 골라 중국을 방문했지만, 지금까지도 방중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다만 김 위원장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과 한반도 비핵화, 경제건설 등을 거론했고, 그 직후에 북중 경제협력을 상징하는 사업인 황금평 개발 착공식과 라선 경제무역지대 착공식이 열렸다는 점에서 북한이 고립에서 벗어나고, 경제협력을 이끌어내려는 다목적 포석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을 뿐이다.

김 위원장의 방러가 실현될 경우 북러 정상회담의 주제도 6자회담의 재개는 물론이고, 러시아의 대북 경제 원조 등 다방면에 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중·러 국경지대에 있는 라선 경제무역지대 개발에도 러시아를 끌어들이려고 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이미 라선시에 일부 자금을 투자한 러시아도 김 위원장에게 '라선시 투자 확대'라는 선물을 줄 가능성이 있다.

김 위원장의 방러는 김정은 후계체제와 관련해서도 주목되지만,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상대로 직접 후계 문제를 거론할지는 의심스럽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체적으로는 김 위원장이 방중의 여독이 풀리기도 전에 서둘러 러시아를 방문하는 것은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고, 경제 원조라는 '실리'를 취하는 한편, 중국이 요구하는 개혁개방에 러시아를 끌어들여 나름대로 외교적 균형을 취하는 '일석삼조'를 노리는 것 으로 추측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