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sebio reminded us of thrill of dram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Eusebio reminded us of thrill of drama

테스트

In 1950, an 8-year-old boy watched as kids played soccer in Portuguese East Africa, the modern-day Mozambique. When the ball rolled in front of him, he kicked it into the ground. It was the first time he played with a ball. In fact, the ball was made of crumbled newspapers and fabrics bundled up into a sphere. A few days later, the boy joined a team, which was short on players. The boy played barefoot. When he returned home after his first match, there was nothing to eat, and the single mother of eight children scolded him for being late.

On Sunday, Portuguese soccer legend Eusebio da Silva Ferreira died at the age of 71. He recalled this childhood experience in his autobiography, “My Name is Eusebio.” When I learned of his passing through a smartphone news alert, I lamented the loss. The name “Eusebio” always accompanies nostalgic memories. In the 1970s, when he was better known by the English pronunciation of his name, he was the symbol of a sports star who came from poverty. He was a hero who overcame challenges with strenuous efforts and became the world’s best player.

The life of the barefoot boy on the street was filled with struggles for survival and success. He first started to play for an amateur team called “The Brazilians,” formed by a local man. The boys who had played with him won money by winning games and eventually bought a rubber ball, then a real leather-bound ball. Finally, the team had soccer shoes and uniforms. The boys were desperate to win in order to keep playing. When Eusebio was 15, he joined a professional team in Mozambique, and at the age of 19, he moved to Benfica, a prestigious team in Portugal. In the 1966 England World Cup, he scored nine goals, leading Portugal to finish in third place.

However, he became a respected sportsman not only because of his record. He was gentle and generous. After a match, he would always compliment the strength of the players on the other team. So the other players held him in high regard. He was also active in charity. He played for Benfica for 15 years, and since he retired, the team has hosted the Eusebio Cup, a friendly tournament, every year.

This year, the Sochi Winter Olympics are scheduled from Feb. 7 to 23 in Russia, and the FIFA World Cup is to be held from June 13 to July 14 in Brazil. Sports are charming as they are. During fierce competition, more dramatic scenes can be found on the playing field than in movies. Sports fans are excited to see triumphs of those who worked so hard to train themselves. Eusebio reminded us of the thrill of human drama. But perhaps the “killer instinct” from his poor background may be disappearing today.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IN-TAEK













1950년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동아프리카(지금의 모잠비크). 8살 식민지 소년은 땡볕 아래에서 동네 축구를 구경하다 우연히 자기 쪽으로 굴러온 공을 안쪽으로 뻥 찼다. 공과의 첫 만남이었다. 공이라고 해봐야 신문지와 헝겊조각을 둘둘 만 ‘폐품’에 불과했다. 며칠 뒤 엔 마침 선수가 모자랐던 팀에 ‘땜빵’으로 들어가 뛰었다. 맨발이었다. 난생 첫 시합을 마친 소년을 기다린 건 ‘먹을 게 하나도 없었던’ 집과 남편을 잃고 8남매를 키우던 홀어머니의 “왜 이리 늦었느냐”라는 꾸중뿐이었다. 5일 72세로 세상을 떠난 포르투갈의 축구 영웅 에우제비오 디 시우바 페레이라의 자서전 『내 이름은 에우제비오』 속의 일화다. 스마트폰 속보로 그의 부음을 들었을 때 갑자기 가슴이 먹먹해졌다. 에우제비오라는 이름에 늘 따라다니던 추억 때문이었을 게다. 유세비오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더 많이 알려졌던 1970년대, 그는 헝그리 스포츠 스타의 상징이었다. 어려운 환경의 주인공이 피나는 노력 끝에 드디어 최고가 된 인간 승리의 주인공이었다. 맨발의 거리 축구선수로 시작한 에우제비오의 이력을 살펴보면 말 그야말로 생존 투쟁으로 점철됐음을 알 수 있다. 동네 아저씨가 만든 ‘브라질스’라는 이름의 내기 축구단이 첫 소속팀이었다. 맨발로 폐품 같은 공을 차던 소년들은 내기 축구에서 딴 돈으로 고무 축구공을 거쳐 드디어 가죽 축구공을 장만했다. 이윽고 축구화에 유니폼까지 갖추게 됐다. 축구를 계속 하려면 반드시 이겨야 하는 절박함의 연속이었을 것이다. 그 뒤 15세 때 모잠비크 프로축구단에 입단했고 실력을 인정받아 19세 때 포르투갈 명문 벤피카로 이적했다. 특히 66년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9골을 기록하며 식민지 종주국인 포르투갈을 일약 3위에 올린 것은 말 그대로 불멸의 기록이다. 하지만 그를 존경받는 스포츠인으로 만든 건 실적만이 아니었다. 뛰어난 매너와 훈훈한 인간미도 한몫했다. 그는 시합이 끝나면 기량을 겨뤘던 상대 선수의 장점을 칭찬하는 말을 쏟아냈다. 이 때문에 상대 팀 선수도 그를 존경했다. 자선 축구에도 열심이었다. 15년간 몸담았던 벤피카는 그의 은퇴 이후 매년 여름 에우제비오 컵 친선대회를 열었다. 올해는 2월7~23일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과 6월13일~7월14일 브라질 FIFA월드컵까지 굵직한 스포츠 행사가 기다린다. 스포츠는 그 자체로도 매력적이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각본 없는 드라마를 연출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인간 승리의 감격이 더해지면 우리 가슴은 더욱 뛸 수밖에 없다. 에우제비오가 되살려준 인간 드라마의 추억이다. 헝그리 정신이란 말이 사라져 가는 이제는 ‘흔적기관’이 돼버린 추억일지도 모르겠지만….
채인택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