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ewell reunion’ a cruel oxymor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Farewell reunion’ a cruel oxymoron

테스트

At the start of the Seoul Olympics in 1988, a smiling Mrs. Nampo moved to the United States. Her son had emigrated to America in the 1970s and invited her over. A few years later, she came back and met my grandmother, whom she called “mom.” She had been fond of my grandmother when they lived in the same neighborhood, and she told her secret stories.

The stories that my grandmother later shared with us were shocking. Mrs. Nampo had actually visited North Korea when just saying the country’s name gave us chills and reunited with her real mother. But being a U.S. citizen meant being able to visit North Korea at the time. So she gave up her lucrative business, parted with friends and neighbors, and left the country in the hopes of meeting her mother in North Korea. She desperately missed her mother. Since the reunion, she exchanged letters with the family and was saving up for her next visit.

The families reuniting at the Mount Kumgang resort are just as desperate. However, the aftermath for them is so different. Mrs. Nampo was able to reconnect with her lost family. But the government was not very interested in continuing the connections after arranging the reunions. The two-day event included an initial meeting and dinner, individual reunions and a farewell reunion.

The families would be allowed about 11 hours together, unless they arranged other ways of contacting each other secretly. People had slim odds even being a part of the reunions. Even after meeting the family, there is no way to continue communicating. The tragic reality poses a serious human rights issue. If the government thinks it is helping the situation, it is being very rude.

“Farewell reunion” is such a cruel oxymoron. “Farewell” is such a violent word for those families that had been separated for 60 years. Also, the reunion forces them to give up hope of meeting again. In the current system, there is no possibility for them to be selected again. It is brutal. They are suffering more than the Palestinian refugees.

The families also may learn heartbreaking news that would have been better left unknown. Many families suffer more after the reunions. The one-time meeting can make their situations more complex, as many issues can only be resolved through continued communication.

The authorities need to take more steps and continue the connections between separated families. It is about time that South and North Korea wipe their tears together.

JoongAng Ilbo, Feb. 25,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IN-TAEK














그날 남포 아주머니는 너무도 해맑게 웃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무렵의 일이다. 한복집을 하던 아주머니는 70년대 미국에 이민 간 외아들 내외가 초청하자 비행기에 올랐다. 그러곤 몇 년이 지나 갑자기 한국을 다시 찾았다. 한동네에 살며 ‘오마니’라 부르며 따랐던 내 외할머니를 만난 그분은 주변을 물리쳤다. 그러곤 밤새 소곤소곤 이야기를 나누다 떠났다.
 몇 달 뒤 외할머니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는 충격적이었다. 아주머니가 북한에 들어가 진짜 ‘오마니’를 만났다는 것이다. 한국에선 ‘북’이라는 말만 나와도 온몸이 오그라들 때다. 하지만 미국 사람이 되면 그곳에 갈 수 있었다. 그래서 벌이가 쏠쏠하던 한복집도, 정든 이웃도 뒤로한 채 낯선 땅으로 “오마니 보고 싶어 눈 질끈 감고” 떠났다고 한다. 그만큼 절실하고 그리웠던 것이다. 게다가 아주머니는 그 뒤에도 가족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여비를 모아 다시 찾을 날만 고대한다고 했단다.
 가족에 대한 애틋함이야 지금 금강산에서 벌어지는 이산가족 만남과 마찬가지다. 그렇지만 상봉 이후 ‘애프터서비스’는 하늘과 땅만큼 달라 보인다. 남포 아주머니는 금단의 ‘개별 상봉’을 하면서 가족과 인연의 끈을 다시 이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가 하는 ‘금강산 상봉’은 만나고 헤어지면 그뿐, 가족을 다시 연결하는 데는 관심이 적어 보인다. 1박2일간 상봉과 식사→개별 상봉→작별 상봉을 거치면서 11시간 동안 얼굴만 볼 뿐이다. 꾀를 부려 몰래 연락한다면 몰라도 말이다. 로또 당첨의 확률로 상봉단에 포함돼 가족을 재회해도 다시 연락할 길이 없다는 뜨악한 현실은 심각한 인권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것만도 큰 특혜인 줄 알아라’라는 것이라면 이건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지 않은가.
 게다가 ‘작별 상봉’은 또 무슨 해괴한 형용 모순의 용어인가. 특히 60년간 헤어졌던 이산가족에게 ‘작별’이 갖는 엄청난 폭력성은 헤아리지 못한 것일까. 더구나 이들의 상봉은 다시 만날 기약은커녕 희망조차 포기하게 한다. 지금 같은 시스템이라면 다시 상봉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만큼 잔혹한 만남이 또 있을까. 전 세계의 동정을 받는 팔레스타인 난민도 이 정도는 아닐 것이다.
 다시 만난 가족 사이엔 모르고 살았다면 더 좋았을 것을 새삼 알게 됐기 때문에 더욱 가슴 아픈 일도 많을 것이다. 그러기에 만나지 못해서 흘린 눈물만큼 만나는 바람에 겪게 된 쓰라림도 많을 수밖에 없다. 계속 만날 수 있으면 풀릴 일이 일회성 만남으로 끝나는 바람에 더욱 꼬이는 것은 아닐까. 이제는 단순 만남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산가족 간 인연의 끈을 어떻게든 잇게 해야 한다. 남과 북이 함께 그들의 눈물을 닦아줄 때다.
글=채인택 논설위원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