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 opposit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Polar opposites

테스트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lawmaker Yoo Ihn-tae likes to say, “Polar opposites are linked.”

He is not talking about the North Pole and South Pole. “The far right and the far left are on the opposite extremes of ideologies, but one only exists because of the other.”

It is a hostile symbiosis. The existence of one gives a justification for the other. Let’s apply his argument on North Korea’s “military first” policy and Japan’s collective right to self-defense.

While Korea remains in shock from the Sewol ferry tragedy,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made the collective right to self-defense official on May 15. He declared that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pacifist constitution is to be changed to allow use of force when its allies are attacked. At a news conference, Abe pointed to a panel that showed Japanese children onboard a U.S. warship under attack by an unknown aggressor, and used the threat from North Korea as a justification.

North Korea did not remain calm. The next day, the Rodong Shinmun claimed that Japan’s exercise of collective self-defense was the first step to overseas aggression. But when North Korea makes an official announcement, it always has implications. It very well could be groundwork toward conducting a fourth nuclear test, which it could now justify as “a self-defense move” in response to Japan’s aggressive ambitions.

North Korea and Japan have behaved similarly in the past. North Korea’s launch of Daepodong 1 in 1998 was the first event that alerted Japanese society to North Korea’s threat - the long-range missile flew over Japan. In response to Tokyo’s fury, North Korea’s Asia-Pacific Peace Committee insisted that Japan and many other countries possess and have placed missiles. In 1999, Japan’s defense ministry argued that the emergency guideline on Self-Defense Forces should be revised to ensure smooth operation at times of crisis, which became the beginning of its claim for collective self-defense rights.

In the 1990s, North Korea and Japan were both suffering. North Korea was experiencing a nationwide famine and economic failure. And when Japan’s asset bubble popped, the lost two decades began. Both countries tried to turn their eyes outside to comfort internal pains.

That puts Korea in trouble. North Korea is accumulating nuclear capacity larger than it can control. We need to discourage North Korea’s armament to keep the peninsula stable and urge Japan to sincerely reflect on history to stop its rightist swing.

If North Korea’s “military first” policy and Japan’s extreme conservatism are polar opposites, something must stop their dashes, whether it is appeasement and persuasion or pressure throug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our nation mourns, the government must stay alert for what happens on the outside.

JoongAng Ilbo, May 21, Page 30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BYUNG-GUN


















새정치민주연합 유인태 의원이 사석에서 가끔 꺼내는 말이 “극지(極地)는 통한다”이다. “북극과 남극은 서로 통한다”인데 얘기인즉슨 “극우와 극좌는 양 극단의 대칭점에 있지만 서로 상대가 있으니 먹고 산다”는 적대적 공생론이다. 상극 임에도 상대의 존재를 이유로 자신의 존재의 정당성을 찾는 역설이 되겠다. 시야를 넓혀 북한의 선군정치와 일본의 집단적자위권에에 이를 적용해 보자.
세월호 참사로 나라가 혼이 나간 사이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15일 집단적자위권을 공식화했다. 동맹국(미국, 주한미군)이 공격받으면 무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평화헌법 해석을 바꾸겠다는 선언이다. 아베 총리는 기자회견에 한반도 돌발 사태때 미군 군함을 타고 한반도에서 대피하다 공격 받는 일본 국민의 그림까지 배치하며 북한 위협을 명분으로 삼았다. 북한도 가만 있지 않았다. 다음날 북한 노동신문은 “일본의 집단적자위권 행사는 해외침략의 첫 걸음”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이 뭔가 공식 발표할 땐 복선이 깔려 있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한 후 “일본의 재침 야망에 대응한 공화국의 자위권”으로 포장하려는 포석일 수도 있다.
과거에도 북한과 일본은 비슷했다. 일본 사회에 북한 위협을 각인시킨 출발점은 1998년 8월 북한의 대포동 1호 발사다. 그때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이 일본 열도를 넘어가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발사 이틀 후 북한 아태평화위원회는 격앙된 일본을 향해 “일본 등 다수 국가가 미사일을 보유ㆍ배치했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다음해 7월 북한 대포동을 이유로 방위백서에서 “유사시 자위대가 원활히 활동하도록 유사법제(비상시 자위대 대응 내규) 정비가 필요하다”며 집단적자위권의 단초를 만들었다. 북한과 일본이 구체적으로 각을 세운 90년대는 두 나라 모두에게 음울했던 시기였다. 파탄에 직면한 경제 시스템으로 북한은 국가적 기아 사태인 ‘고난의 행군’을 거쳤고, 89년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책이 나올 정도로 자신감 넘쳤던 일본은 90년대 들어 버블경제가 붕괴하며 잃어버린 20년이 시작됐다. 내부의 고통을 달래기 위한 시선은 외부로 향해졌다.
문제는 우리다. 무엇보다도 전방에선 북한 정권 스스로 책임지지도 못 할 핵 전력이 쌓이고 있다. 우리에겐 1차적ㆍ직접적 위협이다. 후방인 일본에선 지난 4월 비록 소수였지만 나치의 하켄크로이츠를 흔드는 시위가 등장했다. 그러니 북한의 무력 증강부터 중단시켜 한반도를 안정시켜야 하고, 이어 일본엔 과거사에 대한 진솔한 반성을 내놓게 해 우경화의 파고를 잦게 해야 한다. 북한의 선군정치와 일본의 극우화가 두 극지라면 설득과 햇볕으로 녹여버리건 국제사회를 통한 압박으로 소멸시키건 뭔가 진행되야 한다. 세월호 참사 속에서도 정부와 정치권은 나라 바깥의 정세에 두 눈을 크게 뜨고 있어야 한다.
채병건 정치국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