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hting China’s influenc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Fighting China’s influence

Korea’s duty-free shopping market is the largest in the world. Cosmetics retailers in Myeong-dong, central Seoul, grew from 38 to 127 over two years and six months. In the last three years, tourist hotels in Seoul have increased by 45 percent.

What is the common cause of these changes? The answer is very easy. It’s all thanks to the exploding number of Chinese tourists in Korea.

In fact, China has contributed to a considerable portion of Korea’s economic growth since the mid-1990s. China has been Korea’s biggest export partner since 2003, surpassing the United States. And its presence is growing in finance, too. China is the third-largest investor group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after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a major investor in games, films, the drama industry and corporate M&As.

We are in luck to have such a solid friend in the neighborhood. But fortune and misfortune ar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Gratitude to China could turn to blame in no time. In fact, it is in progress.

The latest report b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aggravates our anxiety. When comparing Korea’s top 10 export products in eight industries in terms of global market share with China, China has surpassed Korea in six industries. China had a bigger market share not only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petrochemical, oil refining and steel industries, but also in smartphones and the automobile industry. Korea had slight dominance in only semiconductors and displays.

But what’s more serious than China’s emergence is our internal confusion. In 1995, Samsung Chairman Lee Kun-hee earned the fury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by saying, “Korea’s corporate sector is second-class, its administration is third-class and its politics is fourth-class.”

But Korea could have accomplished so much despite fourth-class politics because its economy, or more precisely its companies, has supported the country. But now the economy has lost direction. Let’s look at the top 10 and top 20 Korean companies. Not many are world-class corporations. Samsung and Hyundai Motors are considered industry leaders, but they are also struggling.

Writer Bok Koh-ill mentioned Korea’s “Finlandization” in his book, “China’s Shadow over the Korean Peninsula.” Finlandiz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Finland surviving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since 1944. Bok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Korea becoming like Finland under China’s influence, but argued that Korea would not be “Finlandized” unless we respond foolishly.

Are we really responding wisely? Do we have the diplomatic capacity to make appropriate concessions while pushing for our demands? Do we have national consensus and unity? I am not so sure. Korean society is in a chaos of ideological and generational discord. The government’s coordination and control have revealed their limits.

Finland escaped from Finlandization as the Soviet Union collapsed in 1991. But China is not likely to collapse and is becoming more powerful day by day. The 500-year-long challenge the Joseon Dynasty (1932-1910) experienced has returned.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Dec. 17, Page 34

By KIM JUN-HYUN


‘국내 면세점 시장규모 세계 1위, 명동 소재 화장품소매점 2년 6개월 새 38개에서 127개로 급증, 서울 시내 관광호텔 3년 만에 45%(66개) 증가.’ 난이도 하급의 퀴즈 하나. 이런 일이 일어나게 된 공통원인을 꼽는다면? 그렇다. 모두 중국인의 한국행이 늘면서 생긴 일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경제 성장의 상당부분은 중국 덕이다. 2003년 이후 중국은 미국을 밀어내고 우리의 최대 수출국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금융도 예외는 아니다. 주식시장에선 미국ㆍ일본 다음으로 투자액이 많고, 게임ㆍ영화ㆍ드라마 등 콘텐트산업, 기업 인수합병 시장에서 이미 중국은 큰손으로 부상했다. 이웃에 이런 든든한 친구가 하나 있는 거 어찌 보면 행운이다. 그런데 행과 불행은 손바닥 뒤집기 같은 것. ’중국 덕’이 ‘중국 탓’으로 반전되는 건 순식간이다. 이미 진행형이기도 하다. 이런 와중에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내놓은 보고서는 이런 불안을 가중시킨다. 우리의 10대 수출품목을 8개 산업으로 재구성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기준으로 비교해봤더니 무려 6개 산업에서 중국이 우리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해양ㆍ석유화학ㆍ정유ㆍ철강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우리의 자랑 스마트폰ㆍ자동차에서도 중국의 점유율이 더 높았다. 우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서 간발의 차이로 앞서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정말 심각한 건 중국의 부상보다 우리 안의 혼란이다. 95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기업은 2류, 행정은 3류, 정치는 4류”라고 했다가 김영삼 정부의 미움을 산 적이 있었다. 4류 정치에서도 우리가 이만큼 살 수 있게 된 건 경제가, 좁게는 기업이 버텨준 덕분이다. 그런데 그 경제가 지금 갈 길을 잃고 헤매고 있다. 재계 10대, 20대 기업 리스트를 펼치고 한번 보라. 세계시장에서 떵떵거리는 우리 기업이 기업이 몇 개나 되는지. 그나마 세계적 수준이라는 삼성 현대차마저 요즘 힘에 부치는 모습이다. 소설가 복거일은 『한반도에 드리운 중국의 그림자』란 책에서 한국의 ‘핀란드화’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핀란드화란 1944년 이후 핀란드가 인접한 강대국 소련의 압도적 영향 아래, 주권의 손상을 입으면서 생존한 경험을 가리킨다. 복거일은 중국에 대한 한국의 핀란드화 가능성을 얘기하면서도 “한국이 스스로 어리석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한국은 핀란드화에 이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말 우리는 ‘어리석지 않게’ 대응하고 있는 것일까. 양보할 건 하더라도 당당하게 우리의 요구를 관철시킬 외교 능력을 구사하고 있나. 이런 능력의 원천이 되는 국민적 합의와 단결은 이뤄지고 있나. 자신 없다. 오히려 이념간, 세대간 갈등으로 한국사회는 혼돈이다. 국가의 조정력도 한계를 드러낸 지 오래다.
핀란드는 91년 소련이 스스로 무너지면서 핀란드화에서 벗어났다. 그런데 우리 곁에 있는 중국, 무너지기는커녕 더 강해지고 있다. 조선왕조 500년의 고민이 다시 우리 앞에 높였다.
김준현 경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