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eative economy dilemm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creative economy dilemma

Creation is the act of producing something that has not existed before. As a result, the creative economy may mean the act of doing something that has never existed in the world in terms of finances, such as a product, service or system. This definition made me realize why the phrase offends me so much. I don’t have a memory of doing something so original that no one has ever done it before. As a newspaper reporter I live by the motto, “There is no new article under the sun.” So how would you dare to create anything related to the economy? It is simply frustrating to be pushed to do something that we can’t.

Samsung Electronics would be completely offended if they were criticized for not making a creative product like the iPhone. I am repulsed by the phrase “creative economy,” and Samsung Electronics remains a “fast follower” because we as Koreans are not accustomed to the act of creating. We may not have the DNA and the environment to make things through education or experiences.

My father and grandfather’s generations worked so hard and took on bold challenges to turn the poorest country in the world into one of the world’s largest economies.

But they don’t know how to think and act creatively. They never learned to be creative. How about me in my 40s? How about our children in their teens and 20s? They are not educated much differently from how I was 30 years ago. They still use the same math and English textbooks. That means the way they study hasn’t changed much.

But while we are not good at it, a creative economy is our destiny. It may be our only form of survival. It is understandable that President Park Geun-hye chats about the creative economy whenever she can. On Jan. 27, Park went to Gwangju to tour the 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set up by Hyundai Motor to boost the spirit of the creative economy. This pep talk may have been necessary. The ceremony could have been grander. But the president needs to let businesses deal with what they should and address more fundamental issues.

Three more years are left in Park’s presidency, so she needs to make the first three-year creative economy plan. She also needs to make the second and third plans for the next administration to continue her road map. She can take a cue from President Park Chung Hee’s fiv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core of the first three-year creative economy plan should be creative education. The “creative DNA” should be embedded in the education system and its content. That would not guarantee a creative economy, but it would at least increase its possibility. It will not be easy, but it is not impossible considering the efforts and money invested in a creative economy.

Now that retro is in, I have another suggestion. Ethics and morality education, such as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servation and respect for the elderly should be reinforced. Children today don’t learn about values much. Thinking about ethics and morals, I must have become an old man.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wri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Jan. 28, Page 30

by KIM JUN-HYUN


창조는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어내는 행위’다. 그러니 창조경제는 ‘상품·서비스·제도 등 경제와 관련해 세상에 없었던 뭔가를 하는 행위’라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쓰고 보니 알겠다. 내가 이 단어에 짜증이 나는 이유를. 내 평생, 남이 하지 못한 걸 처음으로 만들어 낸 기억은 없다. 오죽하면 신문기자로서의 모토도 ‘하늘 아래 새로운 기사 없다’ 아니었던가. 이럴진대 경제행위에 있어 창조는 언감생심이다. 내가 잘 못하는 걸 자꾸 들으니 자격지심에서 짜증이 난 것이리라. “당신들은 왜 아이폰처럼 창조적 제품을 내놓지 못했느냐”고 윽박지르면 삼성전자 기분 안 좋은 것과 똑 같은 이치다.
내가 창조경제란 단어에 거부감을 느끼고, 삼성전자가 애플과 달리 패스트 팔로우(빠른 추격자)에 머무르는 건 '창조하는 행위'에 익숙하지 않아서 아닐까. 교육을 통해서든 경험을 통해서는 창조를 이뤄낼 토양, 그런 DNA를 갖추지 못한 것이다.
나의 아버지, 할아버지 세대는 악착같이 일하고, 패기로 도전해 최빈국 한국을 세계 13위 경제대국으로 키웠다. 하지만 창조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게 무엇인지 잘 모른다. 배운 적도 없다. 그러면 40대인 나는? 10대, 20대의 우리 아이들은? 크게 차이가 없지 않을까. 30년 전 내가 그랬듯이 우리 아이들은 여전히 ‘정석수학’, ‘성문영어’로 공부한다. 공부방식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얘기다. 암기교육이 아닌 개념교육, 지식교육이 아닌 전인교육도 수 십 년째 구호일 뿐이다.
비록 우리가 잘 모르고, 잘 하지도 못하지만 창조경제는 숙명이다. 그 길이 아니면 생존이 어려울 지도 모른다. 그래서 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 노래를 부르는 것 이해한다. 대통령은 오늘(27일) 광주로 갔다. 현대차그룹이 만든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둘러보며, 창조경제 바람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다. 이런 세리모니도 필요하다. 더 거창하게 해도 좋다. 그러나 기업이 할 일 그네들이 알아서 하도록 놔두고, 대통령은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박 대통령의 임기는 앞으로 3년 남았다. 그러니 ‘제1차 창조경제 3개년 계획’을 만들자. 2차, 3차 계획도 만들어 차기 정부가 로드맵을 실천하도록 압박하자. 박정희 대통령의 5차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계획처럼.
제1차 창조경제 3개년 계획의 핵심은 창조교육이었으면 좋겠다. 교육시스템과 내용에 '창조 DNA'를 심는 것이다. 그런다고 창조경제 이룬다는 보장 없지만 그래도 확률이 조금은 높아지지 않겠는가. 쉽지 않겠지만 지금 창조경제에 쏟는 노력과 자금이라면 불가능하지도 않다.
요즘 복고풍이 유행이라니 하나 더 제언하고 싶다. 나 어릴 때처럼 물자절약, 자연보호, 어른공경과 같은 가치관 교육을 확 강화하면 안되나. 요즘 아이들, 이런 거 너무 모르고 큰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는 걸 보니 나도 어쩔 수 없이 올드맨이 됐나 보다.
김준현 경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