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hinking history educat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thinking history education

Ms. Hong, 46, left for New Zealand with two middle school boys in 2010. With her children attending school there, she found many differences from education in Korea. One of them was that teachers didn’t use textbooks in class. “When electric current was discussed in science class, students watched three videos and received handouts. Without a designated textbook, the teacher has to prepare for the class thoroughly,” Hong wrote in her contribution to the “Overseas Education Report by Moms” for the JoongAng Ilbo’s Gangnam Report.

Schools in other countries also teach without textbooks. Ms. Moon, 50, said that at her son’s high school in Minnesota, “classes are taught using notebook computers containing various content, not with textbooks.” Students review books in English class and participate in hands-on experiments in science. Ms. Jeon, 39, whose children go to an elementary school in Los Angeles, said she has never received or bought textbooks, but English academies in Korea use “American textbooks.”

These foreign examples are noteworthy alongside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s desire for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s. The Saenuri Party claims that state-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President Park Geun-hye’s conviction, and on Oct. 1, a special committee to improve history textbooks was formed. However, the need for state-authored textbooks is so far from the reality in classrooms in Korea.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 Korea focuses on college admission, and a history teacher at a Seoul high school said, “Korean history is a memorization-oriented subject, and school-wide midterm and final tests have multiple-choice questions. The whole textbook is not covered, and summaries are distributed. So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tate-approved and state-authored textbooks.” Moreover, Korean history will become a required subject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2017, and the government maintains a policy that 70 percent of the CSAT must be linked to EBS material. The teacher added, “Just like other subjects, students will focus more on EBS material than on the textbook.”

Reinforcing history education takes more than textbooks. Ms. Yun, 46, is raising four children in Greece, and she is impressed with history education here. Students learn about mythology and ancient history in class and go on field trips to related sites. For historically significant days, such as Independence Day, all students participate in a play or poetry reading. “The hands-on education generates pride in the nation and the people,” she said.

The Park administration introduced the flexible semester in middle school, which could offer a program of visiting presidential memorials. If the ruling party advocates state-authored textbooks instead of proposing a productive alternative, they cannot avoid criticism for using the textbook to attract votes for next year’s general election.

The author is a deputy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Oct. 2, Page 30


by KIM SUNG-TAK



홍모(46)씨는 2010년 중학생인 두 아들을 데리고 뉴질랜드로 떠났다. 아이들을 현지 학교에 보내며 그는 한국 교육과 다른 점을 다수 발견했다. 그 중 하나는 교사가 수업 때 교과서를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홍씨는 “과학시간에 전류 흐름을 다루며 비디오 세편을 보여주고 사진ㆍ문서 자료를 나눠줬다. 교과서가 없으니 교사가 준비를 더 많이 하더라”고 말했다. 홍씨는 중앙일보 ‘江南通新(강남통신)’이 연재한 ‘엄마가 쓰는 해외교육 리포트’에 이런 소감을 전해왔다.
교과서 없이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교는 이 곳만이 아니다. 아들이 미국 미네소타주의 고등학교에 다니는 문모(50)씨는 “수업은 교과서가 아니라 다양한 내용이 담긴 노트북으로 진행된다”고 소개했다. 학생들은 영어시간엔 독서 후 비평을 하고, 과학수업 땐 주로 실험에 참여한다.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초등학교에 자녀를 보낸 전모(39)씨도 "교과서를 나눠주거나 구입한 적이 없다. 그런데 한국 영어학원에서 ‘미국 교과서’를 쓰더라”고 했다.
외국 사례를 언급한 것은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려는 정부ㆍ여당의 움직임 때문이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대통령의 소신”이라는 말이 나오는 새누리당에선 1일 역사교과서 개선특별위원회가 꾸려졌다. 김무성 대표는 한국사 국정화 필요성을 여러차례 강조했다. 하지만 교과서를 국정화해야만 역사 교육이 바로 선다는 주장은 한국 교실의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다.
국내 고교 수업은 대입에 맞춰져 있다. 서울 한 고교의 역사교사는 “한국사는 수능 암기과목이라 학교 중간ㆍ기말고사도 5지선다형으로 낸다. 교과서 내용도 다 가르치지 않고 요약본을 나눠주는데, 검정이든 국정이든 무슨 차이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더욱이 2017학년도부터 한국사가 수능 필수과목이 되는데, 현 정부는 '수능-EBS 교재 70% 연계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해당 교사는 “다른 과목도 그렇지만 학생들은 교과서보다 EBS 교재를 주로 볼 것”이라고 했다.
역사 교육을 강화하려면 교과서에 매달릴 일이 아니다. 정부ㆍ여당의 우려대로 역사 왜곡이 심각하고 자라나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시급하다면 다른 방안을 벤치마킹해야 한다. 그리스에서 네 자녀를 키우는 윤모(46)씨는 “초등학교 때부터 이뤄지는 역사교육이 인상적”이라고 전했다. 수업에서 신화와 고대 역사를 배우면 그리스 학생들은 관련 유적지로 체험학습을 떠난다. 현장에서 교사의 설명을 들으며 살아있는 교육을 받는다. 독립기념일이나 민주항쟁일 등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날이면 학교에서 모든 학생이 관련 내용으로 연극을 하거나 시낭송을 한다. 윤씨는 "이런 교육이 민족과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만드는 것 같다"고 했다. 현 정부가 도입한 중학교 자유학기제 때 학생들이 이승만 전 대통령의 사저인 이화장을 비롯해 역대 대통령기념관을 방문하는 프로그램부터 시작했으면 한다. 이런 생산적인 대안 대신 국정화만 외친다면 내년 총선과 2017년 대선을 앞둔 여권의 세결집용이란 시각을 피하기 어려울 지 모른다.
김성탁 정치국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