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not him, it’s u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It’s not him, it’s us

Cho Young-nam claims that he was wrongfully accused in the ghost painter controversy. “Did you really think I painted the whole thing? I thought you all knew. I have a very busy schedule. I wouldn’t be stuck in the studio all day long painting.”

Whether partially or entirely, he doesn’t seem to think that having another person paint for him was a problem. If he had thought it was wrong, he would have denied the allegation from the beginning.

Instead, he said it was a usual practice and argued that artists like Andy Warhol and Damien Hirst have also used assistants.

While the prosecutors are investigating him on fraud charges, the case is not an easy one. It is not just that Cho reimbursed some buyers in exchange for not cooperating with the investigation.

But also, who would come forward and say they purchased Cho’s paintings? It would be like admitting you have no eye for art and that you paid a large sum for the celebrity name value.

Song Ki-chang says he has painted more than 200 works for seven years for Cho, and even he has presented his own paintings to friends, telling them, “This is by Cho Young-nam and its value will go up in time.”

Whatever the truth may be, everyone knows that the price for Cho’s paintings, which go for as much as 10 million won ($8,452) or more, is not justified by artistic merit alone. The ghost painter controversy illustrates Korean society’s celebrity materialism, says Hanshin University professor Yoon Pyung-joon.

Fame is a prime value in the modern society, but Koreans follow celebrities excessively. There is no such thing as bad publicity, people think. University of Seoul professor Seo U-seok believes that in Korea, all other symbolic capital other than fame has fallen.

For example, a film with 10 million viewers is more mentioned and celebrated than an award-winning film. The prestige or authority of an award is not recognized, and people think only the number is a clear measure.

In this culture, people are not likely to look for unfamiliar, hidden gems. Stars get paid enormous sums, and celebrities are more sought after. When a celebrity cannot manage to be everything that the public wants, he or she poses as that ideal instead, paying others to do the actual work.

In justifying this customary practice, many artists have been secretly resorting to the use of ghost painters. Since many insiders already knew that the artist did not complete the work, Cho shamelessly argues that clients only needed his name when accused of not personally painting his works.

As long as people worship celebrities and consider fame to be the highest value, there will be a second and a third Cho Young-nam.

JoongAng Ilbo, May 25, Page 30


*The author is a deputy culture and sports news editor f the JoongAng Ilbo.

CHOI MIN-WOO


대작(代作) 시비에 휘말린 조영남씨는 내심 억울할 지 모른다. '아니 그럼 내가 몽땅 그렸을 것이라 진짜로 믿었어? 왜 이래 선수끼리. 내 스케줄 알잖아, 퀴퀴한 방에 처박혀 온종일 붓질 할 만큼 한가하지 않다고!' 일부분이든 전체든 제 3자가 그리는 것 자체를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은 모양이다. 그게 꺼림칙했다면 사건이 처음 불거졌을 때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시치미 떼지 않았겠나. 대신 그는 "미술계 관행" 운운했고, "앤디 워홀이나 데미안 허스트 등도 보조 작가를 둔다"며 그럴듯한 논리를 댔다.
검찰은 조씨에게 사기 혐의를 둔다지만 수사는 만만치 않을 듯싶다. 판매액을 돌려주는 등 조씨가 구매자를 회유했다는 정황 때문만은 아니다. "내가 조영남 화투 그림 샀는데, 이건 아니지"라고 선뜻 나설 이가 있을까. 그랬다간 "작가보다 작품 좋아 산 거 아니야?"라는 핀잔만 들을 게 뻔하다. 자칫 안목은 형편없고, 유명세에만 의존했음을 자인하는 꼴이니 말이다. 심지어 "7년간 화투 그림 200여점 그렸다"라고 폭로한 송기창 화백마저 본인이 실컷 그린 것을 "이거 조영남이 그렸어. 갖고 있으면 돈 될 거야"라며 주변에 건넸다는 후문이니, 요지경 세상이 아닐 수 없다.
진실이 무엇이든 수천만원까지 호가한다는 조영남 그림 값이 단지 실력 덕분만은 아니라는 건 삼척동자도 안다. 이번 대작 시비는 한국 사회의 '유명인 물신주의(勿信主義)'(한신대 윤평중 교수)의 일그러진 단면이다.
"인지도가 갑(甲)"이라며 현대 사회가 셀러브리티를 추종한다지만 유독 대한민국의 증상은 심각하다. "욕을 실컷 먹어도 알려지는 게 낫다"는 정서다. 왜 그럴까. 서울시립대 서우석 교수는 "한국에서 지명도 이외의 다른 상징 자본은 무너졌다"고 분석한다. 대종상 수상보다 '1000만 영화'가 자주 언급되고 칭송받는 게 대표적 예다. '상'이라는 권위 혹은 전문성은 인정받지 못한 채 오직 명확한 '숫자'에만 목을 매는 게 문화계 현주소다.
알려지는 것에 집착하는 만큼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선 종종 적의감마저 드러낸다. 내가 알면 선(善)이요, 모르면 악(惡)이다. 이런 풍토에서 낯설지만 어딘가에 숨어 있을 보석을 찾아 나설 리 만무하다. 스타의 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유명 인사에게만 일이 쏠리는 이유다. 그러면 유명인은 몰려오는 요청을 감당하지 못한 채 그저 얼굴마담 행색만 하거나 얼추 컨셉트만 잡고는 실제 일은 다른 이에게 떠넘기곤 했다. 관행이란 미명하에 여태껏 예술계가 지탱해 온, 공공연한 비밀이다. 그렇게 짜고 치는 고스톱인줄 뻔히 알면서 어느날 느닷없이 "왜 네가 직접하지 않니?"라고 정색하고 따지니 "어차피 내 이름만 필요한 거잖아. 이제 와서 왜 딴소리야!"라며 외려 떵떵거리는 것 아닐까. 유명세만을 최고의 가치로 숭배하는 한 제2, 제3의 조영남은 또 등장할 것이다.

최민우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