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mel Doctrine is the answe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Harmel Doctrine is the answer

The deployment of the U.S.-le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to Korea has become an irreversible decision.

Therefore, the people, the National Assembly and residents of Seongju County, North Gyeongsang, must focus their discussions on conducting a microscopic analysis into Thaad’s effectiveness and a thorough review on the postmortem level on the legitimac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sharp confrontations between the supporters and protesters — far from objective facts — only stress the nation.

Let me examine the process of the deployment decision to begin with. Whenever the United States mentioned a possible deployment, the government lied to the people that there was no discussion on the Thaad deployment. It was June 3, 2014 when U.S. Forces Korea Commander Curtis Scaparrotti first mentioned the possible deployment. It was after the officials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and Air Force visited Lockheed Martin — the builder of the Thaad antimissile system — in April 2013 and were secretly briefe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deployment decision in July 2016.

The lead-up to the deployment decision shows that the government deceived the people for more than two years. Therefore, what the National Assembly has to do is to hold the government accountable for having skipped the pivotal discussions with the people and the legislature when deciding to allow the Thaad deployment in Korea. The government explained that it could not make the process public to maintain confidentiality, but what part of the deployment constitutes a military secret?

The essence of the controversy is effectiveness of the Thaad system. The government explained that operating a multilayered interception system against incoming North Korean missiles is more desirable than having just one chance to counter them with PAC-2 or PAC-3 at the terminal low-altitude phase. But a fatal weakness of the missile defense system is th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outside the range of the Thaad interception system. That goes directly against the government’s logic that Thaad is deployed because PAC-2 and PAC-3 are not enough to stop the North’s missiles. That is why the speculations grew that the Thaad is aimed at protecting local U.S. military base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xplained that Seoul will be safeguarded by the PAC-3 missiles — to be introduced in 2017 or 2018 — but what percentage of the Seoul population could be protected when the North’s more than 1,000 long-range artilleries across the border begin to attack the capital?

There is no need to reiterate the obvious fact that the Thaad deployment will escalate tens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lead to a new Cold War structure in Northeast Asia between a South Korea-United States-Japan alliance and a North Korea-China-Russia alliance, effectively allowing the North to escape from the international isolation.

Beijing’s argument that it cannot allow the X-band radar of a Thaad battery to spy on its missile bases is unjust and also exaggerated.

China, too, operates a strong radar network that covers not only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U.S. bases in Japan. Yet it is hard to flatly dismiss China’s suspicion that the Thaad deployment will become a part of the Missile Defense system jointly built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y is that?

The 21st-century militar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for Europe, Middle East and East Asia is being restructured to integrate — and operate — troops of its allies and friendly countries based on Global Intelligence Grid (GIG), a brainchi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s. The concept is known as “netcentric operations.” The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 (ISAF) — a security mission in Afghanistan led by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with 90,000 troops from 48 countries — is a classic example. In the new system, each country’s military gets integrated into a cyber-cooperation system through the interface of ISAF, while maintaining its own military intelligence.

The government also must consider that if the Thaad 2.0 system is developed, as rumors go, the Thaad system to be deployed in a U.S.

military base here next year will become outmoded. But more important is this: As Thaad 2.0 is a part of the GIG, it will be unavoidably incorporated into the broader cyber-cooperation system led by Uncle Sam, including the MD system. China, currently concentrating on developing its own cyber weaponry and systems, is protesting the Thaad deployment, because of that possible threat in the future.

North Korea continues its missile tests, frantically running on the apparently incompatible path of an economically poor country with a strong military. What will be our choice? The Harmel Doctrine of the NATO has the answer. At a NATO foreign ministerial meeting in 1967, Belgium Foreign Minister Pierre Harmel advocated a reinforced deterrence of the NATO troops while pursuing détente with Warsaw Pact countries at the same time. The proposal was adopted as the “Harmel Doctrine” in the meeting. The Harmel Doctrine evolved to the 1975 Helsinki process and eventually the European integration.

It is dangerous to jump to the conclusion — merely based on our standards — that North Korea will never start a war even though it is fond of playing with fire. Hardlin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may trigger an accidental clash. Under such volatile circumstances, managing the national division for peace by benchmarking the Harmel Doctrine is a must. In a second Korean War — in which the North will fire nuclear missiles while the allied troops will be remotely controlled from somewhere in Nevada — everyone will be the loser. “No thank you” to the call for Korea to become a puppet of the U.S. military-industrial complex in search of a test field for its new cutting-edge weapon.



사드 이후, 아르멜 독트린이 답이다


사드 배치는 이제 뒤집을 수 없는 불가역적(Irreversible) 결정이 되어버렸다. 따라서 국민, 국회, 성주군민들의 사드논의는 (1)사드의 효용성에 현미경과 확대경을 들이대고, (2)배치결정의 절차에 문제가 없었는지 사체해부(postmortem) 수준의 점검을 하는데 촛점을 맞춰 진행되어야 한다. 지금 처럼 객관적 사실에서 멀리 벗어난 찬반의 아우성은 우리 모두에게 짜증나는 스트레스만 준다.

두 번째의 사드배치 과정 부터 보자. 정부는 미국이 사드 배치의 가능성을 거론할 때마다 "사드배치 논의되고 있지 않다"고 국민들에게 거짓말을 했다. 커티스 스캐퍼로티 주한미군사령관이 사드 배치를 처음으로 언급한 것은 2014년 6월3일이다. 2013년 4월 방위청과 공군 관계자들이 사드 제작사 로키드마틴을 방문하여 사드에 관한 비밀 브리핑까지 받은 뒤의 일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한 것은 2016년 7월이다.
정부는 꼬박 2년이나 국민을 속여 온 셈이다. 그래서 국회가 할 일은 사드배치 결정의 절차에 문제가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 국민과 국회와의 논의과정을 생략한 책임을 추궁하는 것이다. 기밀유지를 위해서라지만 사드배치의 어디가 군사기밀이란 말인가.

사드의 효용성이 사드문제의 본질이다. 북한발 미사일을 Pac-2나 Pac-3로 하층 종말단계에서 한 번 요격하는 것 보다는 중층 고도에서 먼저 요격할 기회를 갖는 중첩요격체제가 필요하다는 설명은 정당하다. 그러나 사드의 요격범위에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이 제외되는 것은 사드의 치명적인 약점이다. Pac-2나 Pac-3로는 북한 미사일을 잡을 수 없어 사드를 들여온다는 논리와 정면배치된다. 그래서 사드는 미군기지 보호를 위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는다.

국방부는 서울은 내년이나 내후년에 도입할 Pac-3로 방어한다지만 휴전선 북방에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 1000여발이 우박처럼 쏟아지면 서울시민의 몇%나 보호받을 수 있을까.

사드배치로 한중관계가 긴장되고, 동북아시아에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구도가 형성되어 북한이 국제적인 고립에서 벗어날 구멍을 찾을 수 있다는 자명한 사실은 더 말하지 않겠다.

사드포대의 X밴드 레이다가 중국 미사일기지의 뒷쪽까지 들여다 보는 것을 못참겠다는 중국의 주장은 정당하지도 않고 과장된 것이다. 중국도 동북지역에 한반도 뿐 아니라 일본의 미군기지까지 카버하는 강력한 레이다망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사드가 미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구축한 미사일방어체계(MD)에 편입될 것이라는 중국의 의혹은 일언지하에 물리칠 수가 없다. 왜 그런가.

유럽~중동~동아시아까지 미국의 21세기 군사전략은 정보통신기술(IT)와 컴퓨터를 활용한 GIG(global intelligence grid:글로벌 정보통신망)를 바탕으로 동맹국과 우방국 군대를 통합운용방식으로 개편되고 있다. 네트센트릭 오퍼레이션(netcentric operations)라는 것이다. 48개국 군대 9만명이 참가한 나토 주도의 아프간 국제치안지원군(ISAF)가 전형적인 사례다. 각국 군대는 자체의 군사정보를 유지하면서도 ISAF라는 연결고리(Interface)를 통해서 사이버협력시스템에 편입된 것이다.

지금 알려지고 있는대로 사드2.0가 개발되면 내년에 주한미군에 배치될 사드는 퇴물이 될 수 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게 아니라 사드2.0은 GIG의 일환으로 미군을 중심으로 한 사이버협력시스템에 편입되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점이다. 사이버 무기와 시스템 개발에 혈안이 된 중국은 거기까지 내다보고 사드를 경계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북한은 미사일 시험발사를 계속하면서 정신없이 빈국강병(貧國强兵)의 길을 질주한다. 우리의 선택은 무엇인가. 나토의 "아르멜 독트린"(Harmel Doctrine)에 답이 있다. 1967년 벨지움 외상 피에르 아르멜은 나토 외상회의에서 나토군 억지력의 강화와 바르샤바조약 회원국들과의 데탕트를 병행추진하자고 제안하여 "아르멜 독트린"이라는 이름으로 채택되었다. 거기서 발전된 것이 헬싱키 프로세스요 유럽통합이다.

불장난을 즐기는 북한을 우리 기준으로 판단해서 전쟁은 "절대" 못 일으킨다는 속단은 위험하다. 남북의 강 대 강 대립은 우발적 충돌을 부를 수 있다. 아르멜 독트린을 벤치마킹한 평화지향적 분단관리가 필수적이다. 북한이 핵미사일을 쏘고 네바다사막의 어디서 원격지휘할 제2의 한국전쟁에서는 우리 모두가 패자가 된다. 새 첨단무기의 실전실험장을 찾는 미국 군산복합체의 꼭두각시 노릇은 "노 댕큐"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