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s newest student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AI’s newest students

The rich have a developed nose to smell money. So, what have they been up to this summer?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recently invited Jeong Jae-seung,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Bio and Brain Engineering of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KAIST), to lecture. Jeong predict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would become complete within the next two to three decades. He advised students to avoid fields like English and math where AI would take over. Instead humans should take leisurely walks or daydream to fall upon a “eureka moment,” he said. Member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the lobby group for top chaebols, got a lesson on AI from Park Myung-soon, head of SK Telecom’s emerging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By 2020, revolutionary changes from AI will be obvious, he declared.

Samsung Electronics Vice Chairman Jay Y. Lee in June had some interesting questions for Oh Joon-ho, KAIST professor and expert in mechatronics and robotics. Oh is the inventor of the Korean humanoid robot Hubo. “When do you think AI will catch up with the human mind? If there is one thing God would want to change in humans, what would it be?” In July, he was seen in a photo walking with Ginni Rometty, chairman and chief executive of IBM, during the annual Sun Valley Conference. Lee regularly attends the annual media finance conference, where he meets with Apple CEO Tim Cook and Larry Page, CEO of Alphabet, the holding company of Google.

A senior official at Samsung said the company was connected to IBM because of AI. Although Google’s AlphaGo has been in the media spotlight for its feats against human Go players, IBM’s Watson is the most advanced cognitive computer that has the industry’s attention.

IBM pulled out of the PC hardware business in 2005 and has invested heavily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ctor. Watson has been active in finance, retail, education, and medical care. Its contribution to the medical field has been staggering. In 2013, it delved into 600,000 types of medical evidence and studied 2 million pages sourced from a variety of medical journals to come up with the right answers for major hospitals to help treat patients. No human physician can learn that amount of information in a lifetime; Watson is now better than oncologists when it comes to diagnosis.

According to the American Cancer Society, the diagnostic accuracy rate for cancers by physicians was around 80 percent. For Watson, it was 98 percent for colorectal cancer, 91 percent for bladder cancer, 94 percent for pancreatic cancer, and 100 percent for cervical cancer.

While doctors correctly diagnosed lung cancer 50 percent of the time, the accuracy rate for the IBM supercomputer was 90 percent.

Diabetic retinopathy is a serious illness that can lead to loss of sight when it is not cured in early stages. The AI computer was as accurate as a veteran doctor, diagnosing it at the precise rate of 83 percent.

AI experts predict that in a decade, the only field left for human doctors will be psychiatry. Computers will soon replace humans in anesthesia, image medical science and pathology. The Sedasys anesthesiology machine, an early adopter of AI, has brought down medical costs 90 percent. Sedation that used to cost $2,000 has been reduced to $150 to $200. Anesthesiologists who earn an average of $277,000 a year lobbied hard against the machine. Sales were halted after a year. But some see an inevitable comeback as the machine can no longer be boycotted due to safety concerns, given that it has been tested under stricter guidelines than human doctors.

Time magazine pondered whether “Google Can Solve Death” in its most recent cover story. It posed the question not to hospital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but to Internet giant Google because of AI. AI researchers are moving their nests to tech companies like Google, Facebook, Amazon and IBM. High compensation is not the only reason. They need supercomputing systems for AI research, which few university labs can afford. Google runs more than 1 million servers while Amazon and Facebook have fleets of more than 500,000.

Where is Korea in the race for the future? Kim Jin-hyung, Korea’s pioneer in AI research and an honorary professor at KAIST, sighs when asked. “AI must be prepared, not predicted.” Over 300 engineering majors graduate from Stanford University every year, compared with 55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mputer software is part of the mandatory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There is no comparison, he said. It is a relief that at least corporate CEOs have an interest in the area.





돈 많은 부자일수록 돈 냄새를 잘 맡는다. 올 여름에 부자들은 무얼 하고 있을까. 대한상의는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를 초청해 제주에서 뇌공학을 공부했다. 정 교수는 "20~30년 안에 인공지능(AI)이 완성될 것"이라며 "AI가 잘하는 영어와 수학 공부는 제발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는 대신 “멍 때리거나 산책하면서 불현듯 창의적 아이디어가 샘솟는 ‘유레카 모멘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경련 CEO 회원들도 강원도 평창에서 박명순 SK텔레콤 미래기술원장의 AI 강의를 들었다. 박 원장은 “2020년이면 AI 혁명을 피부로 느끼게 될 것”이라고 했다.

가장 눈여겨볼 인물은 삼성의 이재용 부회장이다. 그는 지난 6월 호암상 공학상을 받은 오준호 카이스트 교수에게 심상찮은 질문들을 던졌다. 오 교수는 인간형 로봇 '휴보'의 아버지다. "AI가 언제쯤 인간을 따라잡을까요?" "하느님이 인간을 고칠 수 있다면 어떤 부분을 가장 고치고 싶어할까요?”… 7월에는 이 부회장이 미국 선밸리 컨프런스에서 IBM의 지니 로메티 CEO와 나란히 걷는 사진이 공개됐다. 팀 쿡 애플CEO•래리 페이지 구글 CEO 등 그가 해마다 이 모임에서 만난 인물들은 화제를 모았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IBM과의 접촉은 AI 때문”이라고 전했다. 현재 AI의 최고봉은 구글의 알파고가 아니라 IBM의 왓슨이다. IBM은 2005년 과감히 PC 사업을 접고 왓슨에 집중하고 있다. 왓슨은 금융•유통•교육•의료 분야로 뻗어가고 있는데 특히 의료분야의 활약이 눈부시다. 왓슨은 2013년 60만건의 진단서와 200만쪽의 의학서적을 학습한 뒤 주요 병원에 투입돼 놀라운 기적을 이뤄냈다.

미 종양학회는 "전문의들의 암 진단율은 약 80%인데 왓슨은 대장암 98%, 방광암 91%, 췌장암 94%,자궁경부암은 100%의 정확도를 기록했다"고 인정했다. 폐암 진단의 정확성은 의사들이 50%인 반면 왓슨은 90%까지 올라갔다. 미국에서 400만명이 앓는 당뇨성 망막증은 초기 진단을 놓치면 실명까지 가는 무서운 병. 딥 러닝을 거친 AI는 이 병에 대해 84.9%의 초기진단 성공률을 기록해 전문의(정확도 83%)를 뛰어넘었다.

AI 전문가들은 "지금 절대 의대에는 가지 말라"며 "10년 뒤 인턴•레지던트까지 마치면 아마 정신과 정도만 살아남을 것”이라 입을 모은다. AI에 의해 마취→영상의학→병리학 순으로 퇴출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마취 로봇인 세더시스는 이미 의료비용을 90%나 줄였다. 2000달러였던 미국 수면내시경 비용을 150~200달러로 낮춘 것이다. 하지만 평균 연봉 3억원이 넘는 미국 마취 전문의들의 결사 반대로 1년만에 판매가 중단됐다. 그러나 미 언론들은 “현장 취재 결과 세더시스가 마취 전문의보다 더 엄격한 기준 아래 작동됐었다"며 곧 복권을 점치고 있다.

최근 미 타임지는 "구글이 죽음을 해결할 수 있을까"를 표지기사로 다룬 적이 있다. 왜 병원이나 제약회사가 아니라 구글에게 생명과 죽음에 대한 질문을 던졌을까. 바로 AI 때문이다. 요즘 미 대학의 AI연구팀들은 구글•페이스북•아마존•IBM으로 옮겨가고 있다. 높은 연봉 때문만이 아니다. 첨단 AI 연구에는 강력한 컴퓨팅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대학 연구실에선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구글은 100만대 이상, 아마존과 페이스북도 50만대 이상의 서버를 돌리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떨까. 한국 AI의 선구자인 김진형 카이스트 명예교수는 한숨을 내쉬었다. "AI는 예측이 아니라 대비의 대상이다. 미 스탠포드대는 매년 660명(공대생의 44%)의 컴퓨터과학 전공자를 쏟아낸다. 반면 서울대는 55명(공대생의 7%)만 배출할 뿐이다. 또 미국•영국은 초등학교부터 필수과목이 소프트웨어다. 우리는 교사들의 반발로 간신히 기술•가정 교과군에 포함됐을 정도로 한심하다.” 그만큼 한국 AI의 미래는 어둡다. 기업 CEO들이라도 여름 휴가동안 AI에 푹 빠져있는 건 다행이다. 그나마 캄캄한 위기 속에 한 줄기 희망의 빛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