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ENGLISH] 잼버리 대회 악몽 남긴 새만금, 대체 어떤 땅이길래

Home > Business > Economy

print dictionary print

[THINK ENGLISH] 잼버리 대회 악몽 남긴 새만금, 대체 어떤 땅이길래

Puddles of water are visible across the Jamboree campsite in Saemangeum, North Jeolla, after a heavy rainfall on July 18, a fortnight before the event. [YONHAP]

Puddles of water are visible across the Jamboree campsite in Saemangeum, North Jeolla, after a heavy rainfall on July 18, a fortnight before the event. [YONHAP]

잼버리 행사가 열리기 2주 전인 지난 7월 18일 폭우가 내린 후 전북 새만금 야영장에 물 웅덩이가 보인다. [연합뉴스]  
 
 
 
Jamboree site swamped with controversy long before scouts arrived
잼버리 대회 악몽 남긴 새만금, 대체 어떤 땅이길래  
 
 
 
Korea JoongAng Daily 5면 기사
Thursday, August 10, 2023
 
 
 
Amidst the backdrop of land reclaimed from the sea on Korea's southern coast, controversy swirls around the decision to choose Saemangeum as the location for the 25th World Scout Jamboree. The unique terrain of Saemangeum has exacerbated the severe heat and bug problems.
 
reclaim: 되찾다, 개간하다, 간척하다
swirl: 소용돌이치다
terrain: 지형, 지역
exacerbate: 악화시키다
 
남쪽 해변의 개간지인 새만금이 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장소로 선정된 배경에 논란이 일고 있다. 새만금의 독특한 지형은 극심한 더위와 벌레 문제를 악화시켰다.
 
 
 
With a total cost of 22.79 trillion won ($17.3 billion), the Saemangeum project originated from the idea to secure farmland through land reclamation in response to rice scarcity. The project gained political prominence during the 1987 presidential election as then-candidate of the conservative party Roh Tae-woo targeted the votes from the liberal Jeolla provinces. The world’s longest 33.9-kilometer (21-mile) seawall connecting Buan and Kunsan, both in North Jeolla, was finally completed in 2010, nearly two decades after the construction began. It was the country’s biggest state project.
 
scarcity: 부족, 결핍
prominence: 중요성, 명성
seawall: 방파제
 
총 비용 22조7900억원이 투입된 새만금 프로젝트는 쌀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간척으로 농지를 확보하겠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이 계획은 1987년 대선 당시 보수당 노태우 후보가 민주당 성향의 전라도 지역 표를 겨냥한 것으로 정치적으로 중요했다. 전북 부안에서 군산까지 이어지는, 세계에서 가장 긴, 33.9킬로미터 길이의 방파제가 2010년 20년 만에 마침내 완공됐다. 이는 한국에서 가장 큰 정부 프로젝트였다.
 
 
 
As Typhoon Khanun loomed, the World Organization of the Scout Movement decided to evacuate the campsite ahead of schedule. This decision stemmed from Saemangeum's limitations as a campsite, arising from its transformation from tidal flats into a campsite and resulting in drainage issues.
 
loom: 어렴풋이 나타나다, 중요하거나 위협적인 일이) 곧닥칠 것처럼 보이다
evacuate: 떠나다, 대피하다
stem from: ~에 기인하다
limitation: 한계, 제약
tidal flat: 간척지
drainage: 배수
 
태풍 카눈이 다가옴에 따라 세계스카우트연맹은 원래 일정보다 빨리 야영장을 떠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새만금이 가진 야영지로서의 제약 조건 때문이다. 간척지를 야영지로 바꾸면서 배수 문제가 불거졌다.
 
 
 
The name "Saemangeum" originates from the combination of the Korean word meaning new, sae, and the initial letters of famous plain fields in North Jeolla, Mangyeong and Gimjae, hoping that the reclaimed site will become like those fields.
 
originate from: ~에서 비롯되다
plain field: 평야
 
새만금이라는 이름은 새로운 것을 가리키는 ‘새’와 전북에 있는 유명한 만경평야와 김제평야의 이름 첫 자를 조합한 것이다. 새 간척지가 이런 평야들처럼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였다.
 
 
 
The Saemangeum project initially aimed to convert the sea into arable land to tackle rice scarcity. Also driven by political motives to balance development leaning towards the provinces of North and South Gyeongsang, the provinces of North and South Jeolla were chosen to embark on a massive agricultural reclamation endeavor.
 
convert: 전환시키다
arable: 곡식을 경작하는
embark: 착수하다
 
새만금 프로젝트는 처음엔 쌀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바다를 경작지로 바꾸려는 목적이었다. 또 개발이 경남과 경북 지역에 치우쳐 있어 균형을 맞추려는 정치적 동기 때문에 전라북도와 전라남도가 대규모 간척 사업에 착수할 장소로 선택됐다.
 
 
 
While the land was initially eyed for farming, following governments had different ideas about the newfound vast land, and the project's goals shifted to urban development inspired by Dubai's Palm Islands and Macau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처음 이 땅은 농지를 염두에 뒀지만 이후 정부들은 새로 발견된 광대한 토지에 대해 다른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고,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국내외적 맥락에 따라 두바이의 팜 아일랜드와 마카오에 영향을 받아 도시 개발로 바뀌었다.
 
 
 
The government in June designated an industrial complex at Saemangeum as an international investment promotion zone, providing a range of tax incentives and exemptions. As of June, 48 percent of the area has been completed or is underway for reclamation. The government aims to complete the entire development by 2050.
 
지난 6월 현 정부는 새만금에 국제투자진흥지구 산업단지를 지정하고, 많은 세금 혜택과 세액 공제를 제공하기로 했다. 새만금은 6월 현재 전체 지역의 48%가 개발 완료됐거나 간척 사업 중이다. 정부는 2050년까지 개발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The Jamboree's idyllic camping grounds were, in fact, repurposed paddy fields, underscoring the challenges of hosting a large-scale summer camping event in an environment originally unfit for its purpose.
 
idyllic: 전원적인, 목가적인
repurposed: 다른 목적이나 용도에 맞도록 고쳐진
paddy: 논
underscore: 강조하다, 예고하다
 
전원적인 잼버리 캠핑장은 사실 논으로 개간된 평야였으며 대규모 여름 캠핑 행사를 개최하기에는 원래의 목적과 다른 환경으로 인해 쉽지 않은 과제들을 안고 있었다.
 
 
 
Saemangeum’s zones include agricultural, tourist and leisure, mixed-development and industrial research areas. The chosen location for the Jamboree event falls under the agricultural land category, where constructing extensive drainage infrastructure is unfeasible.
 
agricultural: 농업의
unfeasible: 실현 가능성이 없는
 
새만금은 농사용 토지와 관광레저용 토지, 복합개발과 산업연구용 토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잼버리 행사를 위한 장소는 농업용 토지였고, 대규모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건 불가능했다.
 
 
 
Agricultural land, with its flat terrain designed for water retention, easily leads to water accumulation. The lack of dedicated drainage systems means even minor rainfall can leave standing water on the Jamboree site. Moreo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 lack of natural shade on the site due to the absence of trees.
 
retention: 보유, 잔류
accumulation: 축적
shade: 그늘
 
저수를 위해 설계된 평평한 지형의 농경지는 쉽게 물이 고이게 된다. 전용 배수 시스템의 부족은 적은 양의 비라도 잼버리 장소에 물이 고이게 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게다가 나무가 없어서 자연 그늘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제기돼 왔다.

WRITTEN BY SEO JI-EUN AND TRANSLATED BY PARK HYE-MIN [seo.jieun1@joongang.co.kr, park.hyemi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