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 ties just like the love for Fu Bao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mprove ties just like the love for Fu Bao (KOR)

LEE DO-SUNG
The author is a Beijing correspondent of JTBC.

“Did you receive money from China?” I recently received an email from a reader. He found fault with a quote taken from China’s Conservation and Research Center for the Giant Panda in my article about a controversy over its possible abuse of giant Fu Bao, who was recently sent back to China from Korea. The reader raised doubts about the center’s comment that Fu Bao was adjusting well after being transferred to a better facility.

The email included three photos showing suspicious conditions, such as the female panda’s hair loss. Earlier, the center explained that the allegations were not true.

Fu Bao means “a treasure that brings happiness.” Fans have watched Fu Bao’s birth and growth as it is the first panda to be born from natural pregnancy in Korea.

Due to the international agreement, it had to return to China, the homeland of her parents. Fans paid attention to each and every move of Fu Bao. They felt as if their “own baby” was handed over to a stranger. So, the allegations made the fans angry. A protest truck appeared in front of the Chinese Embassy in central Seoul, demanding China’s clarification. Even a petition to bring back the panda was posted on the Korean government’s website.

There was no border for fan activities. The people who raised the issue first were Chinese fans. Some social media posted pictures and videos of Fu Bao in a secret location after Fu Bao returned to China.

They broadcast a video live to check whether the panda was really not abused by trainers and was given food on time. They even checked the colors and amount of her excrement. One of the allegations is that the color of Fu Bao’s stool was not healthy green but white.

When fans of the two countries got together, China began actively clarifying the allegations, which is unusual. China’s official social media had multiple postings refuting and clarifying controversies. Local media were called to film Fu Bao and release the video. State-run media reported that Fu Bao will make a public appearance next month. After Fu Bao went to China, videos of the panda getting adjusted to the new home were posted constantly.

Some connect the attention on Fu Bao to the changing Korea-China relations. The Global Times, China’s state-run English newspaper, mentioned the heated attention on Fu Bao, as it reported the resumption of various talks and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Korea-Japan-China summit on May 27 opened a way for improving the bilateral relations. While there are many obstacles, such as Northeast Asian security, a breakthrough has been made to the stalled Korea-China relations. Just like the image of Fu Bao eating well suggests, I look forward to some sweet news between Korea and China soon.
 
 
 
‘행복을 주는 보물’ 푸바오
이도성 JTBC 베이징 특파원
 
“중국에서 혹시 돈 받으셨어요?”
 
최근 한 독자에게 받은 메일에 담긴 문장이다. 자이언트판다 푸바오를 둘러싼 학대 논란을 다룬 기사에서 ‘푸바오가 생육관으로 옮겨져 건강히 잘 적응하고 있다’는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 측 발언을 문제 삼았다. 항의 메일에는 탈모, 비공개 접객 등 의혹을 담은 사진 3장이 첨부됐다. 센터 측은 앞서 이 같은 논란에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푸바오의 이름은 ‘행복을 주는 보물’이라는 뜻이다. ‘푸덕이(푸바오 팬)’들은 국내 최초 자연 임신으로 태어난 푸바오를 출생부터 성장까지 지켜보며 가슴으로 양육했다. 국제협약 때문에 부모의 고향인 중국으로 갈 수밖에 없던 푸바오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쏟았다. 이들은 소중하게 키운 ‘내 새끼’를 남의 손에 넘긴 기분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이번 의혹에 ‘푸덕이’들이 분노했다. 서울 명동 주한중국대사관 앞엔 중국 측 해명을 요구하는 시위 트럭이 등장했고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푸바오를 돌려달라’는 청원도 올라왔다.  
 
‘푸덕이’엔 국경도 따로 없다. 이번 논란을 처음 제기한 이는 이른바 푸바오의 ‘중국 이모’들이다. 푸바오가 중국으로 건너간 뒤 몇몇 소셜미디어 계정엔 비공개 장소에 머무는 푸바오를 촬영한 사진, 영상이 올라왔다. 사육사에게 학대를 당하진 않는지, 식사는 제때 챙겨주는지 등을 영상으로 중계했다. 배변량과 색깔도 확인한다. 제기된 의혹 가운데 하나는 푸바오의 배변이 건강한 초록색이 아닌 하얗다는 것이었다.  
 
양 국민이 합심하자 중국 측도 이례적으로 의혹 해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엔 논란에 관한 반박·해명 게시물이 연이어 올라온다. 현지 매체를 불러 푸바오의 모습을 촬영해 공개하기도 했다. 관영 매체를 통해 다음달 푸바오가 일반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라는 소식도 전했다. 앞서 푸바오가 중국에 온 뒤론 새로운 보금자리에 적응해가는 푸바오의 모습을 담은 영상도 꾸준히 올라왔다.  
 
푸바오에 대한 관심을 최근 달라지고 있는 한·중 관계에 대입하는 시선도 있다. 관영 환구시보는 “양국 간 다양한 대화와 교류가 계속 재개되고 있다”고 전하면서 푸바오에 대한 관심을 언급했다. 지난 27일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도 양국 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다. 동북아 안보 등 넘어야 할 산은 많지만 그간 막혀있던 한·중 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된 셈이다. 마음이 편안해지는 푸바오의 ‘먹방’ 영상처럼 앞으로 양국 사이의 달콤한 소식도 들려오길 기대해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