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corruption bill is one hot potato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Anticorruption bill is one hot potato

테스트

Despite the assurances of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he National Assembly failed to approve the so-called Kim Young-ran Bill that would crack down on bribery and conflict of interest involving civil servants.

The subcommittee for legislation of the Assembly’s National Policy Committee had three review sessions and merely expanded the range of civil servants who would be affected by the bill if it were to pass. It was a sloppy operation that ended up destroying the measure. If the scope of the legislation becomes too wide, the law is more likely to be abused. And politicians are blaming one another for the consequences.

The Kim Young-ran law would apply criminal charges to civil servants and employees of public organizations who receive money or entertainment of more than 1 million won ($981,600)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provide special treatment in return. The “bureaucratic mafia” is considered one of the causes of the Sewol ferry sinking, so the bill got a boost. President Park Geun-hye urged the National Assembly to pass the bill in her statement to the nation on May 19.

Ca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say they did their best to process the bill? In fact, the bill was submitted on Aug. 5, but never reviewed. The National Assembly said it couldn’t handle it at that time due to the Tongyang Securities crisis and the credit card information leaks. After the Sewol accident, the subcommittee met three times.

But the entire National Assembly didn’t seem so willing. Some suspect that the subcommittee intentionally expanded the bill to make it even harder to pass. On May 27, the subcommittee decided to amend the bill to include not just the national and public school teachers, but also teachers at private schools and kindergartens. It would also apply to all media employees, not just from government-funded media companies such as KBS and EBS. It will cover 18 million people in total. At this point, it applies to almost all economically active Koreans.

On May 28, Kim Young-tae, a Saenuri Party representative on the National Policy Committee, explained the possible side effects of the bill. If the brother-in-law of a ninth-grade civil servant working at a Youth Training Center receives a belt worth 100,000 won, he would be fined 500,000 won. Receiving a gift certificate worth more than 1 million won could mean criminal punishment.

If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discuss the bill again to rein in its side effects, the future of the bill could itself become unclear. That’s why expanding its application is suspected to be nothing more than a tactic.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must not waiver in their determination to pass the law and contribute to the rebuilding of the nation.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May 29, Page 33

By KIM KYUNG-HEE


















여야가 호언장담했던 ‘김영란법(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의 5월 국회 처리가 결국 무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소위는 3번의 심사 끝에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적용되는 대상만 대폭 늘려놨다. 어설프게 매스만 들이대 법안을 누더기로 만들어놓았다. 대상이 확대되면 그만큼 법이 남용될 우려가 커지는 게 뻔한데 그 여파에 대한 책임은 서로 미루고 있다.
김영란법은 공무원 내지 공직유관단체 종사자가 100만원 이상의 금품이나 향응을 받으면 대가성이 없더라도 형사처벌을 받도록 하는 법안이다. 세월호 침몰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에 필요한 법안으로 대두되면서 처리에 시동이 걸렸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19일 세월호 대국민 담화에서 국회의 조속한 통과를 부탁했다.
하지만 공을 넘겨받은 국회는 그동안 태평했다. 여·야가 법안의 5월 국회 처리에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사실 김영란법은 지난해 8월 5일 정부로부터 제출됐지만 그간 전혀 심의되지 않았다. 동양증권사태, 카드사 개인정보유출 등으로 미처 이 법안을 다룰 여력이 없었다는 핑계를 댔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이 법안이 다시 도마에 오른 뒤 법안소위를 세차례 연 게 전부다. 별로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의지가 없었던 셈이다.
이번에 무리하게 적용대상을 늘린 것도 결국은 국회 통과를 더 어렵게 만들려한 게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다. 지난 27일 정무위 법안소위에서 여·야는 적용대상인 국ㆍ공립학교 교사를 사립학교, 사립유치원 교사까지 확대하고 KBSㆍEBS 등 정부출연 언론사뿐 아니라 모든 언론기관 종사자를 포함하기로 했다.
당사자와 그 가족까지 적용대상만 1800만명에 이른다. “말이 특별법이지 웬만한 경제활동인구는 다 포함되는 것 같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국회 정무위 새누리당 간사인 김용태 의원은 28일 “김영란법 처리 과정의 전모를 공개하겠다"며 기자간담회를 열고 법안의 부작용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청소년수련원에 근무하는 9급 직원이 시아주버니가 10만원짜리 허리띠를 선물받았다는 이유로 과태료 50만원을 내야하고, 100만원 이상의 상품권을 받았다면 형사처벌을 받는 등 맹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란 거다.
법안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여·야가 다시 논의를 하다보면 '김영란법'의 미래가 불투명해질 수도 있다. 적용대상을 늘린게 그걸 염두에 둔 꼼수가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법의 남용이란 부작용은 물론 줄여야한다. 하지만 여야가 합심해 이 법을 국가개조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반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뒤로 물려선 안된다. 후반기 국회가 김영란법이라는 ‘뜨거운 감자’를 어떻게 요리할지 모두가 지켜보고 있다.
김경희 정치국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