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Korea needs now: More cowbell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at Korea needs now: More cowbell



After humans, the mammals with the second-largest population on earth are cows, which were domesticated 8,000 years ago. Hanwoo, cows native to Korea, are a hybrid of Mongolian and Central Asian cattle and share ancestry with Wagyu of Japan and Yanbian cows of China.

According to “Samguk Sagi,” or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King Jijeung of Silla recommended using cows to plow fields, and the agricultural use of cows began. In an agrarian society such as Korea’s, cows were the most valuable asset.

Cows were so valuabl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a cattle registry was maintained to prevent arbitrary butchering. A major document kept at town offices was a cattle registry with the shape of the horn and the color and pattern of the coat.

The most notable type of Hanwoo are yellow, but there are black and white varieties as well. Others have spots and look like tigers. These went nearly extinct wh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nly promoted the yellow variety. Today, some 400 spotted Hanwoo cows are being raised on Ulleung Island in the East Sea.

When farmers no longer used cows to work the land, they began to be used for meat. American cultural anthropologist Margaret Mead wrote that the French and English have 35 different cuts of beef, the Bodi tribe in Africa has 51 cuts, while the Koreans have a staggering 120 different cuts. Beef is usually sold in 39 different cuts today, with eight varieties of short ribs alone.

These days, there are many different brands of Hanwoo. Each farm proudly advertises the type of feed, the timing of castration and other techniques that make its meal special.

Now, the country’s cows are suffering from foot-and-mouth disease, which has spread to farms of six leading Hanwoo brands in Gangwon.

A cow named “Yellow” in the movie “Cow Bell” has now become a legend in the era of foot-and-mouth disease, when thousands of cows are being slaughtered as a preventative measure against the disease. Yellow lived for 40 years, when the average life span of a cow is 20 years.

Yellow’s owner, a man named Mr. Choi, donated 1 million won ($890) to aid foot-and-mouth disease prevention.

But I fear it will be a while before we hear the beautiful sound of cow bells in this country again.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한우의 비명

소는 지구상에서 인간 다음으로 많은 포유류다. 가축으로 길들여진 것은 8000년 전이다. 우리 한우는 몽골과 중앙아시아 계통으로 중국의 옌볜(延邊)한우, 일본 ‘와규(和牛)’와 같은 뿌리라고 한다. 삼국사기는 신라 지증왕이 밭갈이를 권하며 비로소 ‘일소’가 됐다고 전한다. 농경사회에서 소는 재산목록 1호다.

유치진은 연극 ‘소’에서 그 비중을 보여준다. 소작인 국서네의 유일한 재산이자 생계수단이요, 장남의 장가 밑천이자 차남의 창업비용이다. 그런 소가 끌려가면서 집안이 몰락하는 과정을 그린다. 이런 소이기에 조선시대엔 함부로 도축하지 못하도록 우적(牛籍)을 둔다. 뿔 모양, 털 색깔, 가마 위치를 기록한 우적대장(牛籍臺帳)은 1970년대까지도 면사무소의 주요 장부였다.

한우는 황우(黃牛)가 대표적이지만 흑우(黑牛)와 백우(白牛)도 있다. 엄마 닮은 얼룩송아지나 시인 정지용의 ‘향수’에서 ‘게으른 울음을 우는’ 얼룩빼기 황소 모두 칡소다. 얼룩무늬가 호랑이와 비슷해 호반모(虎斑牡)로도 불린다. 일제강점기 누렁이 단종(單種)화에 사라졌다가 최근 복원돼 울릉도에 400여 마리가 사육 중이다. 흑우는 제주 특산이다. 승정원일기는 인조 13년 제주 국가방목장에 보호 사육하도록 청하는 계(啓)가 기록돼 있다.

경운기의 등장으로 일거리를 잃은 한우는 먹을거리로 재조명된다. 문화인류학자 마거릿 미드는 “영국과 프랑스인은 쇠고기를 35개, 동아프리카 보디족은 51개 부위로 나누는데 한국인은 120개 부위로 나눠 먹는다”고 경탄해 마지않았다. 현재 시판 쇠고기도 부위별 명칭이 39개다. 갈비도 본갈비·꽃갈비·참갈비·갈빗살·마구리·토시살·안창살·제비추리로 8가지나 된다.

최근에는 ‘브랜드 한우’다. 사료와 거세 시기, 비육방식 차이로 저마다 최고 육질을 내세운다. 남해화전·하동솔잎·합천황토·참예우·토바우 등 이름도 갖가지다. 그런데 전국 방방곡곡에 한우의 비명이 애처롭다. 구제역 때문이다. 청정지역 강원도는 대관령·하이록·치악산·횡성·늘푸름에 이어 한우령까지 6대 브랜드가 모두 당했다. 영화 ‘워낭소리’의 누렁이는 구제역 시대의 전설이다. 무려 40년을 살았다. 소의 평균수명이 20년인데, 도축 적령인 24~30개월도 못 누리고 살(殺)처분된 가축이 60만 마리를 넘는 실정에서랴. 주인공 최씨는 구제역 성금으로 100만원을 기탁했지만 과연 언제쯤 경쾌한 워낭소리, 게으른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박종권 논설위원·사회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