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ew, the proud, the high-handed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few, the proud, the high-handed



In the community of judges, the word “bunker” has a different meaning. Typically used to describe a sand trap in the game of golf, it has widely been used in Korea to refer to a chief judge reputed to be a hardheaded authoritarian boss. It alludes to a judge who insults lawyers in court by single-handedly dismissing their opinions.

Kim Doo-sik, a public prosecutor turned professor of law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and the author of “The Immortal Sacred Family,” described a bunker using the words of a lawyer: “They are ignorant of the world and have a strong sense of being elite. They create the illusion that what they know is always right and try to apply their knowledge to all cases as if they are the Almighty. If the case does not match their knowledge, they scold the lawyers and abuse them.”

Judges act as the symbolic agents of Dike, the goddess of justice in Greek mythology. Dike holds a sword in her right hand and a scale in her left. The sword symbolizes the fairness of the law, while at the same time implying that a judge can be hurt by it if he or she misuses the power to punish others. The scale, on the other hand, means that a judge should listen carefully to two opposing views before handing down a verdict. In the Korean legal community, judges belong to the highest class. Whether one passes the state law exam or graduates from a law school, only a few people enjoy the privilege of being appointed as a judge.

The members of the Seoul Bar Association last year selected eight examples of inappropriate behavior by judges in court. They cited as the biggest problems high-handedness and the use of improper language, such as “You are the student, and I am your teacher” and “Do you have a hearing problem?” I can feel the pain of lawyers who can’t protest in the presence of these “imperial” judges.

In response, some judges have argued that they have their own style and that the public will ultimately be the one to suffer if judges sympathize with lawyers too much. Others say that lawyers are free to vent their anger if they lose a case.

Still, the court is not immune from cold-hearted judicial bureaucracy. Judges must rise above this, or they will be nothing more than judicial technicians. And the judges who enjoy their privileges too much should ponder the genuine significance of the sword and the scale.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o Dae-hoon

불량 판사

판사 사회에는 ‘벙커’라는 말이 있다. 골프장에서 벙커(Bunker·모래밭)에 공이 빠지면 헤어나기 힘들다는 데서 유래했다. 융통성이 없고 권위주의적인 부장판사를 빗댄 은어다. 변호사들에겐 공개적으로 모욕을 준다든지,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독단적으로 소송을 진행하는 판사를 지칭한다. “세상 물정을 모르고 엘리트주의니까, 자기들이 아는 것이 전부인 것처럼 착각을 해가지고 모든 사건을 자기가 아는 지식에 집어넣으려고 해요. 그 틀에 안 맞아들어가면 변호사를 혼내고 욕하고 짜증 내고… 완전히 사또예요.” 검사 출신의 경북대 김두식(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2009년 펴낸 책 『불멸의 신성가족』에서 인용한 한 변호사의 증언이다. 법정에서 변호사와 시민들을 일방적으로 훈계하려는 벙커 판사들의 모습을 생생히 보여준다.

판사는 ‘정의의 여신’ 디케의 상징적인 대리인이다. 디케는 오른손에는 칼을, 왼손엔 저울을 들고 있다. 칼은 엄정함을 뜻하는 동시에 형벌권을 남용하면 자신이 휘두르는 칼날에 다치게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저울은 심판을 내리기 전에 상반되는 두 개의 입장을 충실히 듣고 엄밀히 따지라는 의미다. 대법원에 디케상(像)이 있는 이유다. 우리 법조계 내에서도 판사는 성골(聖骨)에 속한다. 사법고시를 통과하든 로스쿨을 나오든 극히 일부만 판사가 되는 특혜를 누린다. 일반인이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에 둘러싸인 존재로 비춰지기도 한다.

서울지방변호사회가 지난 1년간 법정 경험을 토대로 8명의 ‘불량 판사’를 선정했다. 고압적인 태도와 부적절한 언행이 이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혔다. “(변호인에게) 당신은 학생이고 나는 담임선생이다” “(피고인에게) 귀가 어두우냐”는 식의 막말이 대표적이다. 법정에선 제왕적 판사 앞에서 주눅 들어 항변도 못한 변호사들의 속앓이가 느껴진다.

재판에 진 변호사의 화풀이일 수 있지 않느냐는 판사들의 냉소적 반응이 있다. 판사마다 각자의 스타일이 있고, 변호사의 눈치를 봐주다 보면 법률소비자, 즉 국민이 손해를 본다는 반론도 있다. 하지만 변호사들이 없는 일을 지어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법의 심판에도 인간미와 도덕이 담겨 있어야 한다. 법정에 우월적 지위를 앞세운 차가운 사법 관료주의만 남는다면 판사는 법률 기능공과 하등 다를 바 없다. 불량 판사들이여, 칼과 저울의 의미를 되새겨 보라.

고대훈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