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rooms can hatch big dream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mall rooms can hatch big dreams



Jjokbang are rooms in a house that have been divided into smaller spaces to accommodate more people. If two people try to sleep in a jjokbang, they have to curl up in order to fit.

Seoul’s jjokbang-town is in Donui-dong. The area had been a firewood marke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ut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rothels replaced the market. After a police crackdown in 1968, the red light district was shuttered and day laborers seeking cheap housing moved to the area to look for jjokbang. There are still 3,508 jjokbang units in the Jongno, Yongsan, Yeongdeungpo and Jung districts in Seoul.

Jjokbang appear frequently in literature.

Poet Jang Si-a wrote about difficult jjokbang life in her poem, “People in the Magpie’s Nest”: “I only realized how beautiful and wide the night sky was on the day we moved to a house with windows, after the whole family had lived clustered in one tiny room.” A “magpie’s nest” is a name for a hillside shantytown whose houses usually contain jjokbang.

Novelist Shin Kyung-sook’s “A Lone Room” is about a teen factory worker who lives in a jjokbang at the Guro Industrial Complex. The girl lives in a tiny space that doesn’t have an inch of sunshine, but she has grand dreams of traveling the world.

An alternative to the jjokbang is the attic. Attics were used for storage but could also serve as an extra room. Since most attics have windows, it’s a better option than a jjokbang or basement room. In Frances Hodgson Burnett’s 1905 children’s novel, “A Little Princess,” Sara Crewe lives in an attic at a boarding school while working as a maid. Here, the attic window becomes the pathway to making her dreams come true.

These days, the demand for jjokbang and attic rooms is unusually high, largely because of the extreme scarcity of monthly rental offerings in college neighborhoods, following a shift in jjokbang tenants from day laborers to debt-ridden college students. During summer break, for example, there are no vacancies at jjokbang near Korea University.

Writer Lee Ji-seong says in his book, “Attic of Dreams,” that if you have a dream, it will be realized. Universities may charge high tuition, pushing students into jjokbang, but they cannot take away their dreams.

I salute these students. May grand dreams and visions be pursued from jjokbang and attics everywhere for years to come.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꿈꾸는 쪽방'

"단칸 쪽방에 식구들이 살을 붙여 포개어 살다가 창문 달린 집으로 이사한 날 밤 하늘이 참 예쁘고 넓다는 걸 알았다." 시인 장시아의 『까치집 사람들』 중 한 대목이다. '까치집'은 산동네에 위치한 쪽방의 별칭이다. 쪽방은 말 그대로 쪼갠 방이다. 한 평 남짓한 이 곳은 최저 주거기준 9.9㎡에 못 미친다. 두 명이면 새우잠을 자야 하니까.

서울 돈의동은 쪽방촌으로 유명하다. 일제시대에는 땔감을 팔던 시장이었다. 해방과 6·25를 거치며 사창가로 변했다. 하지만 1968년 경찰 단속으로 된서리를 맞은 뒤 품팔이 노동자가 자리를 대신한다. 그 중 일부가 노숙을 하기 직전 택한 마지막 주거 양식이다. 서울 종로·용산·영등포·중구에 아직도 쪽방 3508가구가 몰려 있다.

조개의 상처가 진주를 맺고, 진흙에서 연꽃이 피는가. 소설가 신경숙이 10대 후반의 아픈 영혼을 추스른 『외딴 방』 역시 구로공단의 쪽방이다. 비록 손수건만한 햇볕이 아쉬운 공간이지만, 꿈만은 세상을 덮는 보자기만했던 셈이다. '꿈꾸는 쪽방'이랄까.

다락은 부엌 위에 이층을 만들어 물건을 두는 곳이다. 그 확장된 개념이 다락방이다. 그래도 여기는 밖으로 난 창이 있어 좀 낫다. 소설 '소공녀'에서 하녀로 전락한 주인공 사라의 다락방-. 창문은 행복한 꿈이 실제로 이뤄지는 통로다. 그래선지 소녀들은 유난히 다락방을 좋아한다. 노래도 있다. "우리 집 제일 높은 곳, 조그만 다락방. 난 그 곳이 좋아요." 그 바람에 다락방을 낸 아파트가 유행이고, 다락방 인테리어도 성업이다.

이런 쪽방과 다락방이 요즘 품귀란다. 대학가 월세대란 때문이다. 서울 홍제동 노인요양시설을 개조한 대학생 임대주택 '꿈꾸는 다락방'에 8대 1의 입주경쟁이 벌어졌다. 고려대 근처의 월세 15만원짜리 '쪽방'은 방학인데도 꽉 차있다고 한다. 쪽방의 주역이 노동자에서 등록금 빚에 몰린 대학생으로 교체된 것인가.

작가 이지성씨는 저서 『꿈꾸는 다락방』에서 'R=VD'란 공식을 주장했다. 생생하게(Vivid) 꿈꾸면(Dream) 현실화(Realization)한다는 것이다. 등록금 장사에 혈안이 된 대학들이 그대들을 쪽방으로 내몰았어도 꿈마저 내몰 수는 없지 않은가. 드넓은 쪽방의 꿈, 하늘 높은 다락방의 꿈을 위하여.

박종권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