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revives dream of naval powe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hina revives dream of naval power




On the morning of Sept. 17, 1894, at the height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and Chinese navies fought in what became known as the Battle of the Yalu River at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It was a defining moment in the Sino-Japanese War. The battle started when the Beiyang Fleet of the Qing Dynasty was attacked by Japanese battleships.

The Beiyang Fleet was the most powerful of four modern fleets that China built to rid itself of its disgrace in the Second Opium War (1856?1860). The fleet was comprised of 55 vessels, including eight cruisers, with a total loading capacity of 50,000 tons. The Dingyuan and Zhenyuan were twin flagships from Germany. They were fully loaded and equipped with 12-foot guns and boasted the highest naval technologies of the time. The Chinese were proud to have the most formidable naval force in East Asia.

In battle, however, the Beiyang Fleet was completely crushed. As soon as the Yalu Battle broke out, the guns on the Zhenyuan exploded when they were fired at the Japanese ships and were instantly out of commission. The ship’s admiral, Ding Ruchang, was injured and the entire fleet collapsed at once. The battle ended in China’s defeat with the loss of five warships and 850 soldiers.

Historians say that the outcome was predetermined. Unlike its fancy ships, the members of the Beiyang Fleet lacked the proper training. According to historian Shinji Kojima’s “Modern History of China,” the Beiyang Fleet was 1 nautical mile slower than the Japanese fleet on average, the vessels were two years older and the guns required four times longer time to fire.

Gathering momentum from the victory, Japan blockaded Weihaiwei, the home port of the Beiyang Fleet, on Feb. 17, 1895. Dingyuan was hit by a Japanese torpedo and sank, and Zhenyuan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and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Navy. The defeat confirmed that China’s dream to advance to the ocean was in vain. For the over 100 years since, China has not achieved notable naval capacity.

China has finally comple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Soviet aircraft carrier Varyag, which was purchased from Ukraine in 1998. The newly refurbished 60,000-ton carrier is set to launch this month. While the Varyag has not yet been given a new name, there is a report that Tianjin - the city where the Beiyang Fleet was organized - is a likely candidate. We need to think about China’s intentions, as it seems to be reviving its dream of the Beiyang Fleet.

The writer is the content director at jTBC.

By Song Won-seop

북양함대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1894년 9월17일 오전, 압록강 하구에서 대해전이 펼쳐졌다. 한반도로 병력을 수송하던 청의 북양함대를 일본 함대가 덮친 것이다. 이 전쟁의 승패를 가른 황해 해전의 시작이었다.

청조의 실력자 이홍장은 아편전쟁의 치욕을 씻자는 명분으로 서태후를 설득, 1871년부터 4개의 현대식 함대를 출범시켰다. 특히 북양함대는 규모가 남달랐다. 독일제 쌍둥이 전함 정원(定遠)과 진원(鎭遠)은 배수량 7300톤에 12인치의 주포를 장착, 당대 최고 수준의 위용을 뽐냈다. 이밖에 8척의 순양함을 포함한 총 55척, 배수량 5만톤의 규모는 동아시아 최강을 자부할 만 했다.

그러나 실전 결과는 비참했다. 황해 해전 개전 직후 기세 좋게 일본 함대를 겨냥한 진원함의 주포는 발사와 함께 폭발해버렸다. 설계 결함 때문이었다. 단 한번의 발포로 진원함은 전투불능상태가 됐고, 사령관 정여창(丁汝昌)도 부상을 입었다. 전 함대가 일시에 무너졌다. 전투는 5척의 전투함과 850명의 병사를 잃은 중국의 참패로 끝났다.

역사가들은 승부가 이미 결정돼 있었다고 말한다. 겉보기와는 달리 북양함대는 훈련 부족과 정비 불량에 시달리고 있었다. 운영 기금으로 책정됐던 2000만냥의 자금이 서태후의 회갑 기념으로 별장 이화원(頣和園)의 수리에 전용됐다는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역사가 고지마 신지(小島晋治)의 '중국 근현대사'에 따르면 1894년 당시 북양함대는 일본 함대에 비해 속도에서 평균 1해리 뒤졌고, 함선은 평균 2년 노후돼 있었으며, 포 발사 속도는 4배나 더 걸렸다.

일본은 여세를 몰아 이듬해 2월17일 북양함대의 모항 위해위(威海衛)를 봉쇄했다. 진원은 어뢰를 맞고 격침됐고, 정원은 나포되어 깃발을 바꿔 달고 일본 해군에 편입됐다. 대양으로 진출하려던 중국의 꿈은 이 패전으로 물거품이 됐다. 이후 100년 넘게 중국은 자랑할만한 해군력을 갖추지 못했다.

그러던 중국은 지난 1998년 수입한 러시아제 항공모함 바랴크의 개장을 마쳐 이달 안 진수를 앞두고 있다. 구형이지만 6만톤급의 대형함이다. 바랴크의 중국 이름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과거 북양함대가 창설된 도시명인 '텐진'이 유력하다는 보도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국이 북양함대의 꿈을 되살리며 흐뭇해 하고 있는 대목에서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송원섭 jTBC 편성기획팀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