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ery: Korea’s ultimate weap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rchery: Korea’s ultimate weapon



The ultimate weapon of the Persian army was arrows. In the Battle of Thermopylae, the Persians managed to besiege the Spartans and win the epic war with a barrage of well-aimed arrows. The Spartans, however, didn’t have a single archer. It’s not that they didn’t know about the weapon. In the Iliad, which depicted the time period about 800 years ahead of the Battle of Thermopylae, the Greek hero Achilles was killed by an arrow shot by Paris of Troy. Perhaps that is the reason that the bow was considered a cowardly weapon and could not be used by a true warrior until the 5th century B.C.

Later, the bow would come to be defined as the weapon of the common people. In his book “A History of Warfare,” British general Bernard Law Montgomery, who led the victory in the World War II, explained that longbows were for farmers, while crossbows were for knights.

In the history of weaponry in Korea, the bow has been popular throughout time.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progenitors of the three major kingdoms - Jumong, the founder of Goguryeo; Jak Jegeon, the grandfather of Goryeo’s founder Taejo Wanggeon; and Lee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 were all great archers.

The history of bow manufacturing is also interesting. Gu Jincheon, a maestro who lived during the King Munmu-era of Silla, was known for producing a great bow capable of shooting arrows as far as 1,000 yards. Although he was summoned by the third Tang Emperor Gaozong, he refused to provide his bow manufacturing technology despite the threat of severe punishment.

Now, we have a new film that glorifies archery and Koreans’ capabilities as archers. “The Ultimate Weapon” combines dazzling special effects, a tense plot line and the thrill of the chase to tell the story of master archer Nam-yi (Park Hae-il) and his quest to rescue his sister Ja-in (Moon Chae-won) from the Qing Dynasty. The film has already attracted 3.5 million viewers since its release on Aug. 10. That’s probably not a surprise given Korea’s command of archery and Koreans’ dominance of the sport.

However, it is unfortunate that the film is set dur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1636, when the Joseon Army’s defense system was being transformed with developments in explosives and fortress construction.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movie had been set during the victorious Battle of Cheoin in 1232 when the Mongol General Sartai was killed by our monk general Kim Yun-hu.

*The writer is the content director at jTBC.

By Song Won-seop

최종 병기

기원전 480년. 스파르타의 중장보병 300명이 10만이 넘는 페르시아의 침략군과 테르미필레 협곡에서 맞서 싸운 이야기는 전설과 영화로 잘 알려져 있다. 고전하던 페르시아군은 배신자를 통해 뒤로 돌아가는 샛길을 알아냈고, 결국 스파르타군을 앞뒤로 포위하고 화살을 퍼부어 전멸시켰다.

이때 페르시아군의 ‘최종병기’가 활이었던 반면, 스파르타군에는 궁수가 단 1명도 없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스파르타가 활을 몰랐던 것은 아니다. 이보다 800년 가량 앞선 시대를 그린 ‘일리어드’에서도 그리스 최고의 무장 아킬레스는 트로이의 파리스가 쏜 화살에 발뒤꿈치를 맞아 절명한다. 이 영향인지 기원전 5세기까지도 활은 ‘전사가 가져선 안 될 비겁한 무기’로 여겨졌다.

반면 활을 ‘민중의 무기’로 정의한 사람도 있다. 2차대전을 승리로 이끈 영국의 버나드 리 몽고메리 원수는 저서 『전쟁의 역사』에서 영국의 고유의 장궁(longbow)을 기사들의 무기인 석궁(crossbow)에 대조되는 농민들의 무기라고 설명했다. 로빈 후드의 무기인 이 장궁은 몇 차례의 개량을 거쳐 14세기 유럽 전장을 휩쓴 영국군의 최종병기가 된다.

세월이 흐르면 병장기의 유행도 바뀌기 마련이지만 한국의 무기사(史)에서 활의 인기에는 시대의 구분이 없었다. 고구려의 주몽, 고려 태조 왕건의 조부 작제건, 조선 태조 이성계 등 3개 주요 왕조의 시조가 명궁이란 공통점이 있는 건 우연이 아니다. 궁사뿐만 아니라 활 제작 기술 역시 일찍부터 발달해 있었다. 신라 문무왕 때 구진천(仇珍川)은 1천보를 날아가는 강궁의 제작자였다. 당 고종의 부름을 받았지만 중한 벌을 내리겠다는 협박에도 끝내 고유의 활 제조법을 유출시키지 않았다.

병자호란을 무대로 한 사극 액션 영화 ‘최종병기 활’이 350만 관객을 동원하며 높은 완성도를 칭찬받고 있다. 오늘날에도 양궁 최강국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한국인의 ‘활 DNA’를 생각하면 관객의 사랑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다만 배경이 17세기 병자호란이라는 점은 좀 아쉽다. 이미 병자호란 때는 조선군의 방어체제가 성첩(城堞)과 화약무기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232년 몽골 침입 때 처인성(지금의 용인)에서 적장 살리타이를 사살해 침략군을 되돌려 보낸 승장(僧將) 김윤후의 시대라면 더 어울리지 않았을까.

송원섭 jTBC 편성기획팀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