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ure is an option, after all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ailure is an option, after all

Successful start-up stories are rare in Korea. There is the case of Woongjin Group, which started out renting and selling humidifiers, and NHN, which operates Naver, the nation’s largest portal site, but they are few and far betwee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inning models are even thinner on the ground. Mobile phone maker Pantech and electronic dictionary producer iRiver were budding stars at one time but are now forgotten. The lack of innovative enterprises like Microsoft or icons like Steve Jobs is lamentable as both the economy and the corporate world would be motivated by such role models. In the 1970s, Daewoo Group founder Kim Woo-choong inspired many wannabes when he famously said, “The world is big with lots of things to do.” Young entrepreneurs ventured to experiment with their ideas and dreams, and the economy became richer as a result.

The economy is already suffering from inequalities, a structural gap among income classes and chronic joblessness because it lacks youthful ventures and vitality. As such, more successful start-ups must be encouraged to combat these economic problems.

It is wonderful to hear that Pantech recently graduated from its workout program with creditors after almost going bankrupt in 2007. By launching affordable handsets since 1991, Pantech became the third-largest phone maker at home after Samsung and LG. After acquiring Curitel of Hyundai Electronics and Sky, it ranked among the world’s top 10. But it faced a liquidity crisis in 2006 and came under management by creditor banks.

What is remarkable is that founder Park Byeong-yeop refused to call it quits. Although he no longer owned the company after relinquishing his entire stake to creditor banks, he worked tirelessly to help keep it afloat. Even global leaders like Motorola went under after Apple revolutionized the mobile phone market with its iPhone, but Pantech survived amid intense competition and an ongoing global financial crisis. It raked in net profits for four consecutive years and saw its revenue increase to over 3 trillion won ($2.6 billion) this year.

The company is still fighting an uphill battle in the cut-throat world of mobile technology, but its rebound can inspire many aspiring technology wizards. Meanwhile, the government must work aggressively to make domestic business circles more tolerant of failure. There must be a system to encourage companies not to fear taking the plunge and support programs in place to help them recover even after a few falls.


우리나라엔 성공한 창업 기업이 드물다. 기껏해야 웅진과 NHN 정도다. 그나마 제조업은 아예 없다. 한때 팬택(휴대폰), 아이리버(레인콤)등이 있었지만 도중에 무너졌다. 한국판 마이크로 소프트(MS), 한국판 스티브 잡스가 없다는 건 우리 경제의 비극이다. 닮고 싶은 역할(롤) 모델이 있어야 경제에 활력이 생기는 법. 1970년대는 김우중 대우그룹 창업자가 있었다. 그랬기에 ‘한번 해보겠다’는 청년 기업가들이 쏟아졌고, 우리 경제도 활기찼다. 젊은이의 도전과 열정이 없다면 나라는 쇠퇴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양극화 심화, 빈부격차의 구조화, 만성적인 청년 실업으로 고전하고 있는 이유다. 이를 이겨내기 위해서라도 성공한 창업 기업이 잇달아 나와야 한다.
2007년 사실상 망했던 팬택이 구랍 30일 워크아웃(기업구조 개선작업)에서 벗어났다는 소식이 기쁜 건 이 때문이다. 팬택은 한때 아주 잘 나가던 회사였다. 1991년 창업 후 삼성전자, LG전자 등과 맞먹는 휴대폰 3강으로 컸다. 현대큐리텔과 스카이도 잇달아 인수하면서 세계 10위권의 휴대폰 메이커가 됐다. 하지만 2006년 유동성 위기를 맞으면서 좌절했고, 이듬해 워크아웃 대상 업체가 됐다.
그래도 창업주 박병엽 부회장은 포기하지 않았다. 자신의 소유 주식을 몽땅 채권은행단에 넘겼기 때문에 오너가 아니었음에도 그는 휴일도 없이 일했다. 당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수많은 기업들이 도산하던 때였다. 애플이 스마트폰을 들고 나옴으로써 모토로라 등 기존의 강자들이 줄줄이 나가떨어지는 시기이기도 했다. 그런데도 팬택은 이를 극복했다. 4년 연속 순이익을 냈고, 매출액도 3조원대로 회복됐다.
물론 팬택이 갈 길은 아직도 멀다. 졸면 죽는 게 IT업계라 잠시도 한 눈을 팔 수 없다. 그렇더라도 팬택과 박병엽은 이제 청년들에게 롤 모델이 됐다. 쓰러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오뚝이 정신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제 정부가 화답할 차례다. 한번 실패하면 매장당하는 현실을 고쳐야 한다. 한두 차례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