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possible to be too politically correc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t’s possible to be too politically correct

The title of maid has been changed to household assistant. Janitors are now environmental workers. The color “flesh” has been changed to “peach” because every ethnic group has a different skin tone, so it is not a correct term. To name the peach color “flesh” only represented the average skin tone of Caucasians, which is racially discriminatory in a globalized, diversified society. “Political correctnes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renaming of the color. Many derogatory expressions against blacks, Chinese and Japanese have been discouraged from daily usage.

What will happen if political correctness is emphasized excessively? Last week, the New York Post featured an interesting article. The New 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is banning references to dinosaurs, birthdays, Halloween, homes with swimming pools and computers, terrorism, and other select topics in citywide tests. The reasoning behind the ban is to prevent uncomfortable feelings among students. Discussion of dinosaurs might upset Christian fundamentalists believing in creationism. Jehovah’s Witnesses do not celebrate birthdays. Halloween suggests paganism. Some children from not-so-affluent families may feel sensitive toward homes with swimming pools and computers.

The ban by the New 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might sound strange to many Koreans, but it is based on a long-standing debate in American society. Multiculturalism took American education by storm in the 1990s. Armed with political correctness, the diversity education climaxed in the debate over “History Textbooks: A Standard and Guide” in 1994. The advocates of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completely denounced racial and gender bias. They claimed that most of the recommended books had been written by dead, white, European males, and therefore, the school reading recommendation lists were not appropriate. Then, many textbook publishers began screening controversial words and phrases referring to appearance, evolution, wealth, abortion and abuse according to their own censorship standards based on political correctness. A passage on a test discussed peanuts but did not mention those with peanut allergies, so nutritional information on peanuts was removed from the passage.

The diversity-oriented education in America has evoked different opinions, and the ongoing debate has yet to reach a conclusion.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fundamental differences 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American society. Nowadays, Koreans are increasingly aware of political correctness. It has been only 10 years since the color “flesh” became peach, so it is desirable that the awareness is growing.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so many people are packaging their political interests, ambitions for power and their personal preferences for certain politicians with political correctnes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이왕이면 다홍치마라 했던가. 피차 손해 볼 것 없는 상황에서 말이 고우면 세상사도 부드러워진다. 몇몇 직업에 대한 호칭도 그래서 바뀌었다. '식모'는 '가사도우미', '청소부'는 '환경미화원', 간호원은 '간호사'로 말이다. 근데, ‘살색’이 ‘살구색’으로 바뀐 경위는 좀 다르다. 살색은 인종에 따라 다르니 정확한 표현이 아닐뿐더러 세계화•다문화사회에서 인종차별을 조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이 고려됐다. 그러고 보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나 중국인•일본인을 비하하는 표현도 주변에서 거의 사라졌다. 정치적 올바름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어떻게 될까. 지난 주 미국 뉴욕포스트 지에 재미있는 기사가 났다. 뉴욕시교육청이 ‘공룡’ ‘생일’ ‘할로윈’ ‘수영장•컴퓨터를 갖춘 집’ ‘테러리즘’ 같은 용어를 시가 주관하는 시험 문제에 쓰지 말도록 금지했다는 뉴스다. 학생들에게 불편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다. 공룡은 창조론을 확신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를 불편하게 하고, 생일은 여호와의증인 신도가 기념하지 않으며, 할로윈은 이교도 관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라고 한다. 수영장 있는 집도 가난한 아이들이 언짢아 한단다. 뉴욕시교육청의 조치는 우리에겐 매우 낯설지만 미국 사회를 뒤흔든 커다란 논쟁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90년대 미국 교육계에 불어닥친 다문화주의 바람이다. 정치적 올바름을 주무기 삼아 제기된 다문화주의 교육론은 1994년 ‘역사표준서’를 둘러싼 공방에서 정점을 이룬다. 다문화주의자들은 인종주의•성차별 등을 철저히 배격했다. 학교 권장도서는 대부분 ‘이미 죽은 유럽계 백인 남성(DWEM)’이 쓴 것이므로 부적절하다고 공격했다. 그러자 학습교재 출판사들도 정치적 올바름을 자체 검열 기준으로 삼아 외모•진화•빈부•임신중절•동물학대 등이 담긴 수많은 용어를 걸러내기 시작했다. 몇몇 사람에게 땅콩 알레르기가 있다는 점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험문제 지문에서 땅콩의 영양가 관련 내용이 삭제되기도 했다(‘끝나지 않은 논쟁:문화전쟁 이후의 미국교육을 둘러싼 논쟁’, 정경희 아산정책연구원 초빙연구위원). 미국의 다문화주의 교육론은 많은 반론을 불렀고,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논쟁의 바탕에 교육철학과 미국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의 차이가 깔려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사회도 요즘 말과 행동에서 정치적 올바름을 의식하는 사람들이 적잖이 눈에 띈다. 살색이 살구색으로 바뀐 게 불과 10년 전이니 많이 의식할수록 좋을 것이다. 다만 자기 정치적 이익과 권력욕, 특정 정치인에 대한 호오(好惡)를 정치적 올바름으로 포장하는 이들이 너무 들끓어서 아쉽다.

노재현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