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ng our boys hom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ing our boys home

The remains of 12 South Korean soldiers who fought in the 1950-53 Korean War finally came home after nearly six decades.

They were among the remains of missing servicemen that North Korea handed over to the United States following long negotiations. The last time bodies of South Korean soldiers came home was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ended with an armistice agreement.

It is believed that an estimated 50,000 bodies of South Korean soldiers remain buried around North Korea and the border zone. The government should renew efforts to recover and bring home the bodies of South Korean servicemen from North Korea.

We honor and pay tribute to the spirit of such patriots who died for their country.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efforts to recover and honor the ancestors who devoted their lives fo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only began endeavors 12 years ago to recover soldiers who went missing during the war on our soil. Due to such a short history, it has made scant progress, recovering just 6,600 of 130,000 men went missing during the three-year war.

Moreover, South Korea has never been involved in exhuming bodies of its soldiers scattered in North Korea and the Demilitarized Zone. The two Koreas in defense ministerial meeting in 2007 agreed to pursue a joint search for soldiers on different sides of the border, but have yet to follow up on the project.

The government considered proposing talks to persuade North Korea to return bodies of South Korean soldiers two years ago, but again did not make any action. In contrast, Washington has been working and negotiating with North Korea to bring home their men since 1988.

Recovering missing soldiers is a demonstration that their country has not forgotten their sacrifice. The government, therefore, must not cease efforts regardless of the challenges.

We should learn from the U.S., which promises financial rewards to enemy states if it can bring home men. The U.S. is said to have paid North Korea more than $28 million to excavate American soldiers who died fighting for South Korea during the war.

The joint-venture business of the two countries in Kaesong Industrial Complex keep going despite bad inter-Korean relations. The joint search and recovery of soldiers who died during the war, too, should be pursued regardless of political and military stalemates.



북한 땅에 50년 가까이 버려져 있던 한국인 전사자 12명의 유해가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다. 미국이 북한과 교섭해 발굴한 미군 전사자들과 함께 묻혀 있던 분들이다. 한국전쟁 휴전 직후 송환된 유해 이후 처음이다. 북한 땅과 비무장지대(DMZ)에는 아직도 전사자 5만여명의 유해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유해 송환을 계기로 이들을 최대한 발굴해 ‘구국의 영웅’으로 추대하는 작업이 있어야 한다.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을 우리는 ‘순국 선열(殉國 先烈)’로 부른다. 이들 가운데 일제 식민지에 맞서 독립운동을 한 분들에 대해선 정부 차원의 발굴 노력이 꾸준히 있어왔다. 이에 비해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는 공식 노력은 12년전에야 시작됐다. 뒤늦게 시작된 노력의 성과도 미미하다. 실종된 전사자 13만여명 가운데 지금까지 발굴된 것은 6600여구 뿐이다.
 지금껏 북한 지역과 비무장지대에 묻힌 국군 전사자들의 유해 발굴이 이뤄진 적은 없었다. 2007년 남북 국방장관회담에서 남북간에 상호 유해송환을 추진하기로 합의는 했지만 실행되지 못했다. 2년 전에도 정부는 북한에 유해송환협상을 제의하는 방안을 검토만 하고 실행하지 못했다. 미국이 1988년부터 북한과 협상을 통해 꾸준히 발굴작업을 벌여왔다.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에 대해 후손들이 결코 잊지 않는다는 결의를 보여주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라면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정부가 최선을 다한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비록 적국(敵國)이라도 유해 송환을 위해서라면 상당한 지원도 할 수 있다는 미국 정부의 융통성 있는 자세를 배울 필요가 있다. 실제로 미국은 북한에 2800만 달러 이상의 유해 발굴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처럼 남북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도 남북한간 대표적 협력사업인 개성공단은 오히려 번성하고 있다. 남북한 공동 유해발굴 사업도 남북관계의 부침에 영향 받지 않는 협력사업이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