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didates’ silence is a crim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andidates’ silence is a crime

The recent spate of violent crime has raised concerns and doubt about the ability of police to serve and protect the public. In April, a woman in Suwon, Gyeonggi, was killed and chopped into pieces even after she called for help on the police hotline. In July, a 7-year-old girl in Tongyoung, South Gyeongsang, was kidnapped and killed, and the following month a housewife in Seoul was brutally victimized. In the same month, random street stabbings took place in Yeouido, western Seoul, and Uijeongbu, Gyeonggi.

Each time brutal crimes make news, politicians call for tougher steps to ensure public safety, but fail to come up with comprehensive measures. It appears that public safety might be at the bottom of the priority list for presidential candidates.

According to material submitted to Saenuri Party Rep. Kang Ki-youn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rape and armed robbery surged to 610,000 reported cases last year from 540,000 in 2008.

Arrests, however, decreased to 380,000 from 410,000, suggesting that police manpower has failed to keep pace. Widening wealth inequalities, polarization and social conflict will likely exacerbate public jitters about social unrest and an increase in crime. Public safety directly affects the lives of people as much as security, the economy or welfare.

It requires government-level attention, but presidential candidates remain mum on the issue. In the campaign camps, there are no experts on law enforcement and public safety.

Because the campaign is primarily preoccupied with political themes of ideological wrangling, coalition building and social unity, fundamental issues that involve the everyday lives of ordinary people are pushed aside.

In contrast, public safety is prominent in the election platforms of American campaigns. In the 2008 U.S. presidential campaign, the Democratic Party promised to strengthen community law enforcement and actions to prevent sex and family crimes, while the Republican Party vowed to root out child pornography and ban parole of serious criminals. Instead of rhetoric, they delivered specific proposals.

Presidential candidates here, too, should speak up on how they plan to revamp the law enforcement system to ensure public safety, orderly police investigations and other steps to stop senseless crimes. Without specifics, it would be deja vu all over again - the president reprimanding police officials only after a major crime occurs.


4월 수원 여성 납치 살해, 7월 통영 초등학생 납치 살해, 8월 서울 중곡동 주부 살해, 의정부·여의도 칼부림 사건, 9월 서울 초등학교 흉기 난동…. 최근 강력사건이 잇따르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치권은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처벌 강화에 나섰지만 강력범죄에 대응할 종합적 대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이번 대선에서도 치안은 우선순위에서 빠지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
 경찰청이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살인·강도·강간 등 5대 강력범죄는 2008년 54만 건에서 지난해 61만 건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검거 건수는 2008년 41만 건에서 지난해 38만 건으로 오히려 줄었다. 범죄 발생 속도를 경찰력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득양극화 심화와 사회갈등 확대 등으로 범죄 불안이 더욱 커질 것이란 예측이 힘을 얻고 있다. 치안 환경은 안보·경제·복지 등과 함께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간접자본(SOC)이다. 범죄 문제에 관한 국가적 관심이 필요한데도 대선 후보들은 이 분야에 신경을 쓰지 않는 모습이다. 각계각층의 인사가 운집하고 있다는 각 후보 캠프에도 치안 전문가는 보이지 않는다. 선거의 초점이 보수-진보의 진영논리나 후보 단일화, 국민통합 같은 정치 이슈에 맞춰지다 보니 정작 국민 생활과 직결된 이슈들이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에선 치안이 우선 공약 대상으로 꼽힌다. 2008년 대선의 경우 민주당은 ▶지역사회 경찰활동 강화 ▶성폭력·가정폭력 방지 대책 등을, 공화당은 ▶아동포르노 근절 ▶강력범 가석방 금지 등을 제시했다. 추상적인 다짐에 머물지 않고 구체적인 정책대안이 도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대선 후보들도 ▶민생치안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지 ▶경찰서 중심 등 현 수사체제를 어떻게 개선할지 ▶‘묻지마 범죄’에 어떻게 대응할지 자신의 목소리로 밝혀야 한다. 치안 확보 노력이 공약으로 구체화되지 않는 한 사건이 터진 뒤에야 호통만 치는 대통령의 모습이 재연될 수밖에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