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or the new statu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nor the new status

South Korea, along with four other countries, was elected to a two-year term o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beginning next year. The last time South Korea filled the seat on the 15-member council was from 1996 to 1997.

A seat on the highest decision-making body carries heavy diplomatic significance. It strengthens the country’s say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allows the governme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help resolve global security issues.

Ten rotating members do not possess legally binding veto power o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like the permanent members - China, France, the United Kingdom,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Yet they are bestowed with equal authority to approve and reject decisions.

The Security Council is the only global body that can authorize a use of arms and impose financial and other legally binding sanctions. When more than nine of the 15 council members, including the P-5, vote on a resolution, all 195 United Nations members must follow the action. It is why the competition is heavy in vying for the rotating seat allocated by continent.

South Korea’s global status is completely different today from 16 years ago when it first earned membership on the nonpermanent council. Its role had been limited then as an emerging developing member that has been part of the UN family for just five years. But now it is relied upon as a mid-level nation that can act as a bridge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nations. The country has hosted the Group of 20 Summit, nuclear summit talks and produced a UN secretary general. The country also turned into a donor country from a one-time aid recipient. It is well qualified to serve actively on the Security Council.

Moreover, the country won a seat on the board at a pivotal time when most major nations are experiencing leadership changes and tens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are rising. South Korea is also positioned to take the initiative and respond quickly against security threats like a North Korean military attack. Its Security Council membership likely will serve as a silent deterrent against North Korea’s belligerence.

It is up to the government to use the momentum and opportunity to broaden its diplomatic stretch and capability. The country and its people also should live up to their new status by setting a good example by respecting international norms and values as well as demonstrating responsibility and resolute conviction on global and regional issues.



한국이 임기 2년(2013~2014년)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됐다. 1996~97년에 이어 두 번째다. 안보리 이사국 진출은 외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제무대에서 발언권을 강화하고, 글로벌 안보 이슈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는 뜻이다. 그만큼 책임이 커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10개 안보리 비상임이사국들은 미국·중국·러시아·영국·프랑스 등 5개 상임이사국(P5)과 달리 거부권은 없지만 모든 안보리 활동에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한다. 안보리는 국제사회에서 무력사용 승인과 금융제재 등 법적 구속력이 있는 강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기구다. 15개 이사국 중 P5를 포함해 9개국 이상의 찬성으로 안보리 결의가 채택되면 194개 유엔 회원국들은 모두 이행할 의무를 지게 된다. 대륙별로 돌아가며 선출되는 비상임이사국에 서로 진출하기 위해 각국이 치열한 물밑경쟁을 벌이는 이유다.
 16년 전 처음 안보리 이사국이 됐을 때와 비교해 한국의 위상은 몰라보게 달라졌다. 당시엔 유엔에 가입한 지 5년밖에 안 된 개도국이었기 때문에 활동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중견국가로서 개도국과 선진국을 잇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핵안보정상회의를 개최했고,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했다.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가 됐다.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그만큼 탄탄해진 것이다.
 미·중 갈등 구도 속에 주요국의 리더십 교체가 줄을 잇고 있는 미묘한 시기에 안보리 이사국을 맡았다는 것도 특별한 의미가 있다. 천안함 폭침이나 연평도 포격 같은 긴급 안보 상황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북한의 도발을 억지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적지 않다고 본다.

 안보리 이사국 진출을 정부는 한국의 외교 지평을 확대하고, 외교 역량을 강화하는 기회로 잘 활용하기 바란다. 이를 위해 국제규범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고, 확고한 사명감과 책임의식을 갖춰야 한다는 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