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ers deserve their du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orkers deserve their dues

Despite a five-year-old law on protecting the rights of nonpermanent workers, various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are still resulting from the growing number of irregular workers. The number of people who make up this segment of the workforce has already reached six million, bolstered by a recent influx of retirees over the age of 50 who have taken up temporary positions to make ends meet.

The pace at which temporary workers are shifting to permanent positions has also fallen short of expectations. Official data puts the rate at 49 percent, but most of these simply extended their current contracts rather than agreeing to more favorable terms. In reality, just one in 10 nonpermanent workers has attained permanent status in the fairest sense of the word, and more companies are outsourcing work to part-time employees to skirt the legal obligations of hiring full-time staff.

Growing economic polarization and Korea’s low birth rate cannot be solved without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which includes the status of nonpermanent staff, and the three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been promising to enhance their rights and benefits.

Park Geun-hye of the ruling Saenuri Party has pledged to fine companies that mistreat or discriminate against irregular workers; Moon Jae-in of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 has vowed to slash the contingent workforce in half; and independent Ahn Cheol-soo has pledged to enact a law ensuring all workers are treated equally regardless of their status. To make sure its voice is heard during the campaign period, the union that represents temporary workers at Hyundai Motor is even staging a protest on a power transmission tower.

Economic prescriptions that conflict with market principles can do more harm than good, and the three candidates would be well-advised to take note of a recent survey on 5,000 households in urban areas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o come up with feasible policies for the contingent workforce.

The problem will also require a compromise from union activists. Representatives to the Tripartite Commission of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should work together to reach a cost-saving arrangement by allowing great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during the economic slowdown.

The move to upgrade the status of irregular workers to permanent staff after two years on the job should also be fixed or suspended. Polit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needs of workers, who deserve better job security and insurance coverage.




시행 5년이 지난 비정규직 보호법의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자꾸 늘어나 600만명에 육박하고, 청년세대에서 50대 이상으로 비정규직이 옮겨가는 흐름도 눈에 띈다. 정규직 전환비율은 당초 기대에 훨씬 못치고 있다. 공식 통계로는 정규직 전환율이 49%이라지만, 대부분이 고용기간만 연장되는 무기계약직이어서 속빈 강정이나 다름없다. 실제 정규직 전환 비율은 10%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비정규직 대신 고용기간의 제한을 안 받는 사내 하청·파견 근로자들이 급증하는 풍선효과도 두드러진다. 비정규직 보호법 이후 비정규직의 삶이 한층 불안해진 게 현실이다.
비정규직 문제의 해결 없이는 우리 사회의 양극화와 저출산을 해소하기 어렵다. 대선 후보들이 ‘차별 시정’와 ‘정규직 전환’ 등 비정규직 공약을 쏟아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비정규직을 차별하는 기업에 금전적 징벌을 다짐했고,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경제민주화를 통해 비정규직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안철수 무소속 후보는 고용평등기본법 제정을 공약했다.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원들은 송전탑에 올라 농성 중이다. 대선을 앞둔 지금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에 최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장원리와 현실에 맞지 않는 처방은 또 다른 부작용을 낳게 된다. 오늘 고용정보원은 도시 거주 5000가구를 대상으로 비정규직 현안을 추적해온 연구 결과를 내놓는다. 대선 후보들은 이런 실증적 연구를 참고해 실현 가능한 공약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큰 틀에서 비정규직 문제는 정규직 노조의 양보가 전제돼야 풀 수 있다. 경기 악화 때 고용 유연성을 담보하기 위해 노·사·정이 어떻게 고통을 분담할 지 머리를 맞대야 한다. 풍선 효과의 주범인 2년 후 정규직 전환도 유예하거나 손질할 필요가 있다. 과연 비정규직들이 현실적으로 어떤 요구부터 하는지 귀 기울여야 한다. 이들은 정규직과 마찬가지로 타당한 사유 없이 마음대로 해약하지 못하도록 근로조건을 보호하고, 4대 보험부터 해결하는 게 급선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