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se of Sungkyunkwan
Published: 21 Feb. 2013, 19:24
“Please take out a 1,000 won bill from your wallet,” he said. “Do you see Lee Hwang? He was a professor at Sungkyunkwan. Take out a 5,000 won bill and you will see Lee Yi. He was a scholarship student at Sungkyunkwan. Look at the 10,000 won bill and you’ll find King Sejong, who was the chairman of the board. Lastly, you will find the portrait of the only female on Korean currency on the 50,000 won bill. She was the parent of a Sungkyunkwan student. If your children go to Sungkyunkwan, you may find your face on the money someday.”
Kim said he’d picked up the quip from the students, and that it was the best way to describe the school.
Up until 1980, Sungkyunkwan University was a second-round school. Most of its applicants had applied to Seoul, Korea or Yonsei University in their first round and not gotten in. Many of them applied to Sungkyunkwan as backup.
A friend who attended the school recalled, “Most of us had a kind of inferiority complex. For example, if you set up a blind date between a student at one of the top three schools and a Sungkyunkwan University student, the Sungkyunkwan student wouldn’t turn up.”
He added that many of his classmates focused on passing state examinations. He himself is a CEO of a small yet solid financial company.
The engine of Sungkyunkwan’s emergence in the new administration may be the tenacity to overcome initial failure.
Seven of Park Geun-hye’s 30 cabinet-level nominees are Sungkyunkwan graduates, the second-most af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alums. This is an unprecedented promotion for Sungkyunkwan. Some say that Gyeonggi High School and Sungkyungkwan University graduates who passed the state exam were Park’s favorites, just as members of Somang Church from Yeongnam who went to Korea University thrived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But the comparison is unfair, as the president-elect has no personal connection to this group. Nevertheless, people feel wary about such a seemingly cliquish move.
Sungkyunkwan scholars are a symbol of the 500 years of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Joseon Dynasty. They even scolded the king when he wasn’t right. They were equipped with integrity, courage and an incorruptible spirit. It may be too much to expect the Sungkyukwan alums to resemble the Joseon scholars, but hopefully they will be against cliques and factionalism. If not, their legacies may be far less noble than being immortalized on a banknote.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i Jung-jae
요즘 성균관대가 뜨면서 같이 뜬다는 유머 한 토막. 지난해 3월 D고교에서 열린 대학입시 설명회. 성균관대 김윤배 입학처장이 등장했다. “여러분, 지갑에서 1000원을 꺼내보십시오. 누가 보이십니까? 퇴계 이황. 네, 맞습니다. 이분이 성균관대 교수님이었습니다.(웃음)” “이번엔 5000원을 꺼내보십시오. 네, 율곡 이이. 이분이 성균관대 장학생이었습니다.(다시 웃음)” “다음은 만 원짜리를 꺼내보십시오. 이분 누군지 다 아시죠. 네, 바로 성균관대학 이사장이셨던 분입니다.(와-. 더 큰 웃음)” “마지막, 오만 원짜리. 한국 지폐의 유일한 여성분. 이분이 누구십니까. 네 바로 성균관대 학부모셨습니다. 어떻습니까. 여러분도 자제분들을 성균관대학에 보내면 미래의 지폐에 얼굴을 찍히게 하실 수 있습니다. (폭소 그리고 기립 박수)” 김 처장은 “학생들 사이에 유행하는 우스개”라며 “성균관대학을 설명할 때 이보다 더 좋은 게 없더라”고 했다. 성균관대학은 1980년까지 후기대학이었다. 대부분 전기 때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대학에 지원했다 떨어진 학생들이 몰렸다. 입학 성적만 놓고 보면 SKY대학을 뺨쳤다. 후기 대학이라 하향 지원이 많아서다. 또 떨어지면 재수를 각오해야 했으니 그럴 만 했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 묘한 자격지심이 있었다”고 성대 출신 친구 B는 돌아봤다. 묘한 자격지심? “미팅을 예로 들게. SKY대와 성대생을 주선하면 펑크가 자주 났어. 주로 성대생이 안 나타났지. 묘한 자격지심이란, 아마 그런 거였을 거야.” B는 “그래서인지 주변에 독을 품고 고시공부하는 친구들이 유난히 많았다”고 했다. 그런 B 자신도 억척 공부로 현재 작지만 잘나가는 금융회사 CEO다. 좌절을 이겨낸 억척. 새 정부의 성균관 돌풍도 그 덕 아닐까. 내각 인선 30명 중 7명, 서울대 다음으로 많다. 유례없는 성적이다. 성균관대·고시·경기고 출신을 묶어 ‘성시경이 떴다’는 호들갑도 나온다. 이명박 정권의 ‘고소영’에 빗댔다. 듣는 성대 출신, 박근혜 당선인은 좀 억울할 수도 있겠다. 고대·소망교회·영남은 MB와 밀접하다지만 ‘성시경’은 박 당선인과 무관하니 말이다. 그런데도 왜 이런 말이 나왔을까. “또 끼리끼리냐” 질시 반, 경계 반이란 해석이 많다. 이 땅에 오죽 패거리 문화가 극성을 부렸으면. 성균관 유생(儒生)은 조선왕조 500년을 지탱한 집단지성의 상징이었다. 잘못하면 임금도 꾸짖었다. 지조와 용기, ‘딸깍발이’ 선비정신으로 무장했다. 그런 경지까진 힘들더라도 새 정부 들어 잘나가는 성균관인들, 끼리끼리는 제발, 완전히 잊어달라. 그렇지 않았다간 미래의 지폐에 얼굴 찍히기는커녕 잘못된 이름만 오래 남길지 모르니. 이정재 논설위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