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ot’s lessons for Ahn Cheol-soo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erot’s lessons for Ahn Cheol-soo

In 1992, Ross Perot ran for president in the United States. Twenty years later, Ahn Cheol-soo shook up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The two have a lot in common.

First, in a one-on-one opinion survey, Ahn often surpassed Saenuri Party candidate Park Geun-hye in popularity last year. In June 1992, Perot led a Gallup poll with 39 percent, ahead of incumbent President George H. W. Bush, with 31 percent, and then-Arkansas Governor Bill Clinton, with 25 percent. It was the first time in 60 years that an independent runner had topped the poll.

Second, on March 18, 1992, Perot spoke at the National Press Club in Washington, DC. He said, “Daily we watch with fascination as Congress and the White House finger-point, shout, fight with one another like children. Recently it’s been more like mud wrestling as far as I’m concerned.” When Ahn declared his candidacy on Sept. 19, 2012, he said, “Many people have felt hopeless because all politicians have done is fight with one another.”

Third, when Perot, who lacked nationwide organized support, earned a surprising 18.9 percent of the votes, the New York Times analyzed that independent, white and middle-class voters under age 45, who distrusted the existing politics, were Perot’s main supporters. The origin of Ahn Cheol-soo’s sensational popularity comes from independent young office workers.

Fourth, three years after his election defeat, Perot founded the Reform Party in 1995. If Ahn is elected in April’s by-election in the Nowon C District, he is expected to create his own stronghold.

Now, we need to look at what happened after Perot’s second presidential bid in 1996. He could not recreate the sensation of his first candidacy and earned only 8 percent of the votes. Ahn could learn a lot from that rise and fall. Most importantly, an independent runner can emerge suddenly by addressing the frustrations of voters tired of the incompetence of politicians. But it’s hard to continue the boom by criticizing existing politics alone.

Ahn is running in Nowon C under the abstract banner of “new politics.” His explanation of exactly what that means has been ambiguous. He recently tweeted, “With my new politics, I mean to do what politics are supposed to do. Going back to the basics is the new politics.” Ahn has not clarified the economic, social and ideological goals he would like to attain. Unlike Perot, he did not run for president, and joining the Democratic United Party remains an option.

Now that Ahn has entered politics again, he needs to express a specific vision beyond ambiguous criticism of the status quo.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re clashing over many pending issues, and it will soon be revealed if he has prepared any specific goals. From the qualifications of two Unified Progressive Party lawmakers to the direction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many questions await him.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Chae Byung-gun














1992년 미국 대선에서 돌풍을 몰고 왔던 로스 페로와 20년후 한국 대선을 흔들었던 안철수 후보의 정치 과정을 비교하면 유사점이 많다. 첫째, 지난해 안 후보는 양자대결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자주 추월했다. 92년 6월 페로는 갤럽 여론조사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31%), 빌 클린턴 주지사(25%)에 모두 앞선 39%로 1위였다. 무소속 주자가 1등을 한 것은 갤럽 여론조사에선 60년 만에 처음이었다. 둘째, 그해 3월 18일 페로는 워싱턴의 프레스클럽 연설에서 “매일 보는게 의회와 백악관이 애들처럼 서로 손가락질하고 싸우고 소리지르는 모습이다. 이젠 진흙탕 싸움 같다”고 워싱턴 정치를 싸잡아 비판했다. 안 후보는 지난해 9월 19일 대선출마 선언에서 “많은 분들이 서로 싸우기만 하는 정치에 절망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셋째, 전국 조직도 없던 페로가 대선에서 18.9%라는 놀라운 득표율을 올리자 뉴욕타임스는 대선 이틀후 분석 기사에서 ‘페로 군단’을 무당파와 정치 불신층, 45세 이하, 백인(중산층)으로 지목했다. 안철수 바람의 진원지도 무당파, 2030세대, 화이트칼라였다. 넷째, 대선에서 패배했지만 페로는 3년 후인 95년 제3정당인 개혁당을 창당했다. 안 후보도 서울 노원병 보선에서 승리하면 독자세력화가 예상된다. 이제 관심사는 그 이후다. 페로는 96년 미 대선에 개혁당 후보로 재도전하지만 4년 전의 열풍은 없었다. 8% 득표율로 끝났다. 페로의 명멸은 안 후보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우선, 무소속 주자가 정치권의 무능력ㆍ편가르기에 염증난 유권자들의 체증을 뚫어주며 혜성같이 등장할 수는 있어도 정치 비판 만으론 바람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점이다. 페로가 두번째 도전에서 실패한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신선감은 이미 떨어졌다. 안 후보도 ‘새 정치’로 노원 병에 뛰어들었지만 아직은 구태 정치를 벗어나겠다는 추상적 구호일 뿐 새 정치의 ‘새로운’ 좌표가 무엇인지는 여전히 모호하다. 그는 최근 트위터에 “새 정치는 정치가 해야 할 일을 하자는 것이다. 기본으로 돌아가는게 새 정치”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것은 새 정치의 방식이지, 새 정치의 내용은 아니다. 그가 가시밭길을 헤쳐서 도달할 경제ㆍ사회ㆍ이념적 목표가 무엇인지 아직 선명하지 않다. 게다가 안 후보는 페로와 달리 대선에서 평가를 받지 않았고, 민주당이라는 선택지도 남아 있다. 안 후보가 일단 현실 정치에 다시 뛰어든 이상 알쏭달쏭한 정치권 관전평을 넘어서는 구체적 노선과 비전이 필요하다. 그가 과연 준비된 비전과 목표가 있는지는 당장 여야가 대치하는 정치 현안에서부터 드러날 것이다. 통합진보당의 두 의원들에 대한 자격심사부터 북한인권법 개정안 방향에까지 ‘안철수의 생각’을 묻는 질문들이 줄줄이 준비돼 있다.
채병건 정치국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