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g diplomatic stage open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big diplomatic stage opens

When President Park Geun-hye was having her first phone conversation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Beijing was hosting a publishing party for the Chinese edition of “Park Geun-hye’s Life,” President Park’s biography published in Korea last August. As the sixth speaker gave a celebratory speech and stepped down from the podium, a familiar name was introduced. The audience was stirred. It was Park Tong-sun, the key figure of the so-called “Koreagate,” a controversial lobbying scandal that affected Korea-U.S. relations in 1976.

At the time,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was desperate to prepare a military and security plan following the withdrawal of the U.S. forces in Korea. Korean-American businessmen Park Tong-sun and Kim Han-jo, who passed away last year, were found to have disbursed financial incentives to members of the U.S. Congress and government officials.

The host introduced Park as a “civilian diplomat.” He was in attendance at the invitation of the People’s Publishing House, the host of the event. Park reminisced about memories of Park Geun-hye when she was the president’s daughter and celebrated the future of Korea-China relations. The People’s Publishing House, which invited Park to the event, is managed by the Chinese government. Beijing initiated the publication of the Chinese edition of Park Geun-hye’s biography, and the translation was done hurriedly - only two weeks before publication. It seems that the publication was arranged in time for the first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heads of state, suggesting Xi’s high hopes for President Park. Beijing’s considerate gesture expands the space for diplomacy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North Korea unilaterally scrapped the armistice agreement and elevated the intensity of threats, Chinese people are posting mourning messages for Peng Dehuai in cyberspace. As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Communist Forces, Peng participated in the 1950-53 Korean War and left his name in the truce agreement. Peng and Xi Zhongxun, Xi Jinping’s father and former vice premier, had a special friendship on the battlefield.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Peng was the commander of the Northwest Field Army and Xi was the political commissar.

After the Korean War broke out, Peng participated in the war. The Korean War has a special meaning to Xi’s family. Xi Jinping said China participated in a “war of justice.” To him, Peng Dehuai also symbolizes justice. As it becomes clear that China’s strategic focus is the geopolitical value of North Korea, not the Kim regime, a bigger stage for Korean and Chinese diplomats has been set up.

King Muyeol of the Shilla Dynasty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unification through realistic political negotiations with Yeon Gaesomun of the Goguryeo Dynasty and Emperor Taizong of China’s Tang Dynasty. We desperately need strategists who can write the scenario of unification through discussions with China. It is a job we expect the new ambassador to China, Kwon Young-se, to fill.

* The author is the Beijing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by Cheong Yong-whan



지난달 20일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취임 첫 전화 통화가 있던 시각. 베이징 한국문화원에선 지난해 8월 국내에서 출간한 박 대통령의 전기, 『박근혜의 인생』 중문판의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여섯 번째 주빈이 축사를 마치고 단상을 내려갈 즈음 낯익은 이름이 소개됐다. 객석이 술렁였다. ‘박동선(朴東宣·78)’. 1976년 한·미 관계에 파문을 일으킨 대미 로비 스캔들 ‘코리아 게이트’ 사건의 핵심 인물이다. 당시 박정희 정부는 주한미군 철수에 따른 군사 안보적 대비책 마련에 절박하던 때였다. 재미 실업가 박동선과 김한조(지난해 작고)가 미 의회와 관리들을 상대로 금품 로비를 벌이다 적발된 사건이다.
무대의 사회자는 박씨를 민간외교가로 소개했다. 행사를 주관한 인민출판사 측에서 초청했다고 한다. 박씨는 영애(令愛) 시절 박 대통령과 얽힌 추억을 되짚으며 한·중 관계의 미래를 축사했다. 코리아 게이트로 인해 박씨는 박 대통령의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과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인물이다. 이런 인사를 초빙한 인민출판사는 국무원(행정부)산하 신문출판총서가 경영한다. 중국 정부가 이 책의 중문판 출간을 주도한 것이다. 번역도 갑작스레 이뤄졌다. 마감을 2주 앞둔 시점에 몰아닥쳤다고 한다. 양국 정상의 첫 인사를 앞두고 급조된 모양새이지만 시진핑 지도부가 박 대통령에게 거는 기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의 이런 배려는 양국 외교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넓힌다.
북한이 일방적으로 정전협정 파기를 선언하고 전쟁 위협의 강도를 높여가자 중국 인터넷에선 펑더화이(彭德懷)를 추모하는 글들이 넘쳐나고 있다. 중공군을 이끌고 6·25전쟁에 참전한 펑 사령관은 정전협정문에 자신의 이름을 남겼다. 정전협정이 파기되면 협정문의 이름도 찢어진다. 펑더화이와 시진핑 주석의 아버지 시중쉰(習仲勛) 전 부총리는 전장을 누비며 각별한 인연을 쌓았다. 국공내전 땐 서북지역을 관할하는 제1야전군의 사령관과 정치위원으로 호흡을 맞췄다. 신중국 출범 이후에는 당·정·군 일체 지도체제가 실시된 서북군위원회에서 주석·부주석으로 일하다 펑이 참전했다. 6·25전쟁은 시중쉰 가문에 의미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중공군의 참전을 정의의 전쟁’이라고 했던 시 주석. 그에게 펑더화이도 정의일 것이다. 김씨 왕조의 폭주에 직면해 중국의 전략적 자산은 지정학적 가치가 높은 북한일 뿐 김씨 정권이 아니라는 점이 분명해지고 있는 지금, 한·중의 외교관들에게 큰 무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신라의 김춘추는 고구려 연개소문과 당(唐)태종을 상대로 현실 국제정치의 줄타기 끝에 통일의 토대를 닦았다. 중국과 머리를 맞대고 통일의 시나리오를 써나갈 전략가들이 절실한 시점이다. 권영세 신임 주중대사에게 거는 기대다.

정용환 베이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