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is more important in Korea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present is more important in Korea

테스트

Sometimes, I cannot help blaming our ancestors. Whenever I am impressed by great ancient relics like the Great Wall of China or the pyramids in Egypt, I become envious and say, “What were Korean ancestors doing?” On my business trip to Cambodia, once again, I felt envy over Angkor Wat. It was a gigantic work of art - a 204-acre temple city made of 10 million stone blocks - moved, constructed and carved by one million workers over 40 years. And it is the largest and most magnificent of the 190 temples in Cambodia.

Angkor Wat is more than a historic monument to the people of Cambodia. Tourism generates about 10 percent of the total national income, about $1 billion. Taking other related economic matters into account, Angkor Wat brings about 22 percent of the income. It is the goose laying golden eggs, the work site of many Cambodians and a symbol of old glory.

The ancestors in Cambodia dominated the Indochina Peninsula from the nin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Cambodia controlled Vietnam, Thailand and Myanmar. Angkor Wat is evidence that Cambodia can become prosperous again, just as their ancestors had accomplished. The Cambodian currency and national flags feature the temple, and the names of the state-run beer company and airliner include “Angkor.” A high-level Cambodian official said, “Angkor Wat is supporting Cambodians. I am grateful to our ancestors.”

A few days later, I made several visits to Sungnyemun, which was restored after a fire five years ago. It’s National Treasure No. 1, but compared to Angkor Wat, I felt that it was certainly not splendid enough to make Korea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Then, Professor Heo Seong-do’s lecture came to min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s lecture series “Rediscovering Korean History” was very popular several years ago. The script is still widely shared on Twitter and Facebook. His point was “never underestimate the Joseon Dynasty.” Joseon was the only dynasty that maintained power for 500 years in the world at the time. And it was no luck or coincidence. Joseon deserved to last so long.

When you see the pyramid or the Great Wall, you must have thought, “The Egyptians and the Chinese are so lucky. Thanks to their ancestors, they are making money from visitors from around the world.” I, too, had that thought. But we don’t have that kind of monument, and it is only natural and even fortunate. If any of the kings in Joseon said, “Let’s mobilize 300,000 workers for 20 years and build a pyramid,” the people would have said, “You should do it yourself.” That rationality supported Joseon for 500 years.

Every year, 400,000 Koreans visit Angkor Wat. But we don’t have to lament, “What did our ancestors do?” There is more than meets the eye. Cambodia may have monumental heritage left by ancestors, but it is one of the poorest nations in the world. Per-capita GDP is less than $1. As much as they reminisce about the glories of the past, the present feels more tragic. Sometimes, it is better to feel regret toward ancestors than benefit from what they left behind.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i Jung-jae














‘다신 안 한다’면서도 가끔, 조상 탓을 할 때가 있다. 만리장성·피라미드, 외국의 거대 유적을 보면 절로 나오는 탄식 “부럽다. 우리 조상님들은 뭐하셨나”도 그중 하나다. 지난달 출장길, 스치듯 들른 앙코르와트에서도 그랬다. 여의도에 버금가는 넓이(63만여 평), 1.5t짜리 돌 1000만 개를 100만 명이 40년 동안 나르고 쌓고 조각해 만들었다는 거대 예술작품. 그런데 그게 총 190개의 사원 중 하나일 뿐이라니(물론 가장 크고 화려하다).
 앙코르와트는 캄보디아 국민에게 유적, 그 이상이다. 국민소득의 약 10%(약 10억 달러)가 앙코르와트 관광에서 나온다. 연관 효과까지 합하면 국내총생산(GDP)의 약 22%다. 그야말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요, 생업의 터전이며, 옛 영화의 상징이다. 그들의 조상은 9~14세기 인도차이나 반도를 호령했다. 베트남·태국·미얀마를 정복한 패권자였다. 앙코르와트는 조상처럼 잘살 수 있다는 증거요, 좌표이기도 하다. 오죽하면 지폐며 국기에 앙코르와트가 들어가고 국영 맥주회사, 항공사 이름도 앙코르일까. 캄보디아의 한 고위 관료는 “앙코르와트가 캄보디아 국민을 먹여 살린다. 조상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며칠 뒤, 5년여 만에 복구된 숭례문을 몇 차례 찾았다. 명색이 국보 1호지만, 앙코르와트와 비교하니 ‘조상 덕 보긴 어렵겠다’ 싶었다. 그때였다. 허성도 교수(서울대 중문과)의 강의가 생각난 건. 허 교수의 ‘한국사 재발견’ 강의는 4~5년 전 큰 인기였다. 요즘도 녹취록이 트위터며 페이스북에 많이 돌아다닌다. 요지는 ‘조선왕조 500년, 우습게 보지 말라’다. 당시 500년을 지탱한 권력은 세계에서 조선이 사실상 유일했다는 것이다. 그냥 된 게 아니다. 그럴 만했다. 그중 한 대목을 요약하면 이렇다.
 “피라미드·만리장성, 그거 보고 ‘이집트 사람, 중국 사람은 재수도 좋다. 좋은 선조 만나 가만있어도 세계의 관광 달러가 모이는구나. 우리는 뭐냐?’ 이런 생각들 하셨죠? 저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그런 유적, 우리에게 없는 게 당연하고 다행입니다. 조선 시대 어느 왕이 ‘당신 자제들 30만 명 동원해 한 20년 노역시켜 피라미드 만들자’고 했다면 조선 백성은 ‘마마가 나가시옵소서’ 했을 겁니다. 세계 최고의 합리성과 주인의식, 이게 500년간 조선을 지탱한 힘입니다.”
 한 해 약 40만 명의 한국 관광객이 앙코르와트를 찾는다. “우리 조상님들은 뭐하셨나”는 탄식, 더는 안 해도 될 듯하다.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조상 잘 둔 캄보디아는 세계 최빈국이다. 1인당 GDP가 1000달러도 안 된다. 게다가 과거가 화려할수록 현재가 비참한 법이다. 가끔 조상 덕보단 조상 탓이 나은 이치다.
이 정 재 논설위원·경제연구소 연구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