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hauling venture polici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verhauling venture policies

The government announced measures to support venture and start-up enterprises in a meaningful step toward its goal of cultivating a “creative economy.” Large exporters and manufacturers have grown substantially in size, but their contributions to hiring have lessened.

To foster a creativity-oriented economy and creation of jobs, stimulating the venture start-up sector is a must. The government came up with a comprehensive package to reinvent the venture industry and corporate habitat from birth, breeding and regeneration. It first of all removed red tape in a move long demanded by the venture industry to ease the bottleneck in the field.

The government has promised incentives in corporate and inheritance taxes on mergers and acquisitions in technology and innovation-related ventures while raising tax deduction limits for angel investment to help start-ups and venture enterprises raise funds through investment rather than loans. It will introduce a new over-the-counter equity market, dubbed Korea New Exchange (Konex), to help start-up and venture enterprises raise more capital. The government will separately create a 500 billion won ($447 million) fund to finance innovation and ventures as well as a 2.5 trillion won funding network for business start-ups.

But despite all the fanfare, government-led venture policies have rarely been successful in the past. There are over 30,000 so-called venture companies in Korea as of today, but 98 percent of them survive on public funding or loans. Only a handful remain successful through their own efforts to hone competitiveness. Venture companies flourish in Israel and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 government stays out as much as possible and instead allows the market and industry to determine winners and losers.

To make the policies work, the social mind-set also needs to change.

As in other industries, people are the most important asset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any venture. If excellent brains all seek solid jobs in large companies, none of the policies will be of any use. Young talents with brilliant minds, ideas and passion must be inspired to take risks. The exit routes must also widen.

The venture industry remains moribund not because of a lack of government interest and policies, but because of a misapplication of policies. The government should be done with its role by injecting funds at the initial stage and letting businesses flourish or die according to the market.

President Park Geun-hye may be tempted to create a venture and start-up boom to fuel her vision of a creative economy. But excessive government involvement may encourage speculation and undermine the sector. What it should focus on is motivating changes in the social perspective about risky ventures and readjusting policies related to venture firms and large companies.



어제 정부가 내놓은 벤처·창업대책은 창조경제의 멍석깔기나 다름없다. 그동안 수출 대기업들의 덩치는 크졌지만 고용 흡수력은 신통치 않았다. 창조경제와 고용창출의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벤처 활성화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게 현실이다.이번 대책이 '창업-성장-회수'의 벤처생태계 전 과정을 아우르는 종합선물세트가 된 것도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벤처업계가 줄기차게 요구해온 규제완화가 한꺼번에 이뤄져,일단 벤처생태계의 고질적인 병목현상은 크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혁신형 인수·합병(M&A)에 법인세와 증여세 혜택을 부여하고, 엔젤투자에 대한 소득공제 한도를 늘인 것은 융자 중심의 벤처 자금조달 루트를 투자 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조치라 할 수 있다. 코스닥보다 자유로운 제3의 주식시장인 코넥스(KONEX)를 신설하는 것도 의미있는 실험이다.정부 주도로 5000억원 규모의 '미래창조펀드'를 조성하고,2조5000억원 규모의 성장사다리 펀드를 만드는 것은 꽉 막힌 돈줄을 뚫기 위한 마중물의 성격이 짙다.
문제는 정부 주도의 벤처·창업정책이 성공한 경우가 드물다는 사실이다. 외환 위기 이후 숱한 벤처정책 덕분에 국내 벤처기업은 3만개에 육박한다. 하지만 무려 98%가 정책자금이나 대출보증에 기생하는 '무늬만 벤처'일 뿐이다. 정부 지원을 받은 뒤 매출이 줄거나 문을 닫은 경우가 도처에 널려있다. 오히려 벤처거품이 꺼진 뒤 성공한 케이스는 스스로 치열하게 생존을 도모한 기업이 대부분이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벤처생태계가 풍성해진 이유도 정부 개입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시장을 통한 옥석가리기가 제대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벤처정책이 성공하려면 제도적 정비와 함께 사회 분위기를 바꾸는 게 중요하다. 어차피 벤처·창업의 관건도 사람이다. 지금 같이 우수한 인력이 안정된 직업만 찾는 분위기에선 어떤 대책을 내놓아도 효과가 없다.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무장한 젊은이들이 보다 과감하게 도전하도록 입구 전략부터 좀더 가다듬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폭넓은 출구전략을 허용하는 것이다. 미국과 이스라엘의 경우 벤처자금의 주된 회수시장은 주식 상장보다 인수·합병이다. 이에 비해 우리 사회는 대기업이 벤처를 인수하면 문어발 경영이나 기술착취라며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 정부가 경제민주화로 대기업의 출자를 규제하면서,다른 쪽으로 인수·합병을 통한 벤처 생태계의 선순환을 기대하는 것은 모순이다.
그동안 벤처업계가 황폐화된 것은 정책 부재라기보다 벤처 정책이 왜곡됐기 때문이다. 세금을 쏟아붓는 정부 지원은 극히 초기단계에 그치고,나머지는 시장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무엇보다 벤처 정책은 길게 봐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 집권 5년동안 벤처·창업붐을 일으켜 미국의 실리콘 밸리처럼 창조경제의 동력으로 삼으려는 유혹을 느낄지 모른다. 하지만 '반짝 효과'에 치중할 경우 벤처 투기를 부르거나 생태계를 변질시킬 뿐이다. 벤처·창업을 북돋우는 쪽으로 사회분위기를 바꾸고,서로 충돌하는 벤처·대기업 정책부터 교통정리하는 게 시급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