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economic chao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economic chaos

Stock markets at home and abroad are wildly fluctuating. After U.S. Federal Reserve Chairman Ben Bernanke mentioned last week the possibility of downsizing its months-long quantitative easing within a few months, interest rates of U.S. Treasury bonds skyrocketed along with those of Japanese government bonds.

After that, jitters over the possibility that Abenomics - aimed at resuscitating Japan’s moribund economy through a vigorous mix of fiscal and monetary policies - may eventually backfire has led to a stunning stock market crash in Tokyo, not to mention an alarming fall in share prices on the Korea Stock Exchange. Even though a number of bourses overseas managed to restore stability, uneasiness over the uncertain prospects of the world economy doesn’t show any sign of amelioration.

Such uncertainties about the global economy not only protract its recovery but also plant a seed of new woe.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many countries have sought economic recovery through quantitative easing largely based on printing more money. Yet that has bred new concerns about side effects even without bringing any indications of economic recovery. As the U.S. government has hinted at the possibility of retrieving the money, it has splashed cold water on the economies of Europe and Japan, which are still stuck in recessio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is also plodding through the thick fog of uncertainty since each country’s real economy and monetary policy are out of tune.

Under such circumstances, an economy like ours - which is open and comparatively small -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shocks from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Hyun Oh-seok, deputy prime minister for economy and finance minister, has expressed his agony in devising appropriate initiatives to cope with the challenge. “Too much influx of foreign capital into our bond market is a headache for us, just like a too-fast exit of the money is,” he said.

Despite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aggressive push for various programs aimed at putting the economy back on track, there have been no palpable signs of improvement. To make matters worse, if another financial shock hits the country soon, we can hardly expect it to rebound hopefully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e situation facing the Korean economy looks like the calm before the storm. Once it hits the country down the road, it could push our economy into the scourge of long-term recession instead of the hope of recovery. It’s time for the government to be thoroughly prepared for any potential chaos in our foreign exchange and capital markets - before it’s too late.


세계경제의 침체 속에 국내외 증시가 요동치고 있다. 지난 주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이 앞으로 몇 달 안에 양적완화(量的緩和)를 축소할 수 있다고 발언하자, 미국 국채 금리가 치솟았고 덩달아 일본 국채금리가 급등했다. 이어 일본경기 회복을 노린 이른바 아베노믹스가 실패할 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일본 도쿄증시의 주가 폭락을 불렀고, 국내 주가 역시 큰 폭의 하락을 경험했다. 각국의 증시는 안정세를 되찾았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세계경제의 장래가 불확실한 가운데 변동성이 갈수록 커지는 양상이다.
문제는 이 같은 세계경제의 불안정성이 경기회복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불안요인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은 양적완화를 통한 통화증발로 경기회복을 도모해 왔다. 그러나 경기는 좀처럼 되살아나지 않는 가운데 통화증발의 후유증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경기회복의 조짐을 보이는 미국이 풀린 돈을 회수할 기미가 보이자, 이것이 아직 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유럽과 일본 경제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 된 것이다. 이처럼 각국의 경기상황과 통화정책이 엇박자를 내면서 국제금융시장은 한 치 앞을 내다 보기 힘든 안개 속을 헤매고 있다.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는 국제금융시장의 쇼크에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상황을 두고 현오석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내 채권시장에 해외자본이 너무 많이 들어와도, 빠져도 고민”이라며 정책대응의 고충을 피력했다. 국내경제는 새 정부의 각종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렇다 할 개선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여기다 해외발 금융충격이 가해질 경우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은 물 건너 갈 수 밖에 없다. 한국경제는 흡사 아직 터지지 않은 위기를 앞둔 폭풍전야의 불안에 휩싸인 모습이다. 자칫하면 경제가 회복되기는커녕 장기침체의 질곡에 빠질 우려도 있다. 지금은 위기에 버금가는 경계심을 가지고 혹시 벌어질지 모르는 외환·자본시장의 혼란에 만반의 대비책을 갖출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