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s, rules? No one cares anymor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acts, rules? No one cares anymore

테스트

It is not new but seems to be getting more serious. Public opinion in our society is divided into extremes, as if the sea was mysteriously split. Just like oil and water, the two extremes confront each other. The middle ground is so small that it is negligible. When I discuss this trend as I meet people in various fields, they all sigh but don’t have any solution.

Some go back to the factional discord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o find the origin, while others say that it is the nature of an interest-driven society and that the problem will ease eventually. But will time really solve the problem?

A philosophy professor I meet with regularly told me of his experiences when he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He was a graduate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in the 1990s. He was already married at the time and had to bring his 5-year-old child to a university day care center before going to classes. His child always cried and did not want him to leave, so he gave the child some toys and left while it played.

After several tearful separations, the day care teacher told him, “You have to let the child see reality. Don’t use duplicitous measures. The child may cry, but you have to make known the fact that you have to go to school.” He recalled that he was shocked when the day care teacher added, “You have to finalize the deal clearly.”

He shared another story. Students and their spouses at the university volunteered at the nursery whenever they could, and he learned a rule from them. Children covet new or interesting toys. If one gets to play with a popular toy, others are envious. But sometimes the child has to go to the bathroom and doesn’t want to lose his turn to play with the toy. The day care center has a red tag that the child can put on his toy while taking a bathroom break. Other children do not touch the toy because it is already taken. It was the rule, and as long as everyone agreed on the rule, fairness and justice were maintained.

Making a child understand reality is teaching a fact. The red tags put on the coveted toys were the symbol of rules. How about Korean society, which is far simpler than American society in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When people have a discussion, they have a set conclusion and get ready to fight instead of making arguments based on facts.

Facts are considered secondary. Thinking they might lose the debate if they are compromising or on the defensive, people raise their voices and stubbornly persist in their ideas. There can hardly be a reasonable discussion on anything. What about rules? The rules that have already been agreed upon are often ignored. How do they have so much to say when they ignore facts and rules? What has happened to us?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NOH JAE-HYUN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점점 더 심해지는 것 같다. 사회의 여론이 두 갈래로 쫙 갈리는 현상 말이다. 모세의 기적인지, 진도 ‘신비의 바닷길’인지 물과 기름처럼 서로 으르렁대는 양편이 대세를 점하고 있다. 중간지대는 메뚜기 마빡보다도 좁다. 각계 인사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이런 문제가 제기되면 다들 한숨을 쉰다. 그러나 시원한 해법은 좀체 나오지 않는다. 조선시대 당쟁에서 연원을 찾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이익사회의 본모습이 원래 이런 것이니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것이라는 분도 있다. 과연 시간이 흐르면 해소될까.
 대화 모임에서 정기적으로 만나는 유명 사립대 철학과의 C교수가 최근 자신의 미국 유학 시절의 경험을 이야기해 주었다. 그는 1990년대에 버클리대 대학원생이었다. 결혼해 아이도 있는 가난한 처지라서 아침마다 대학 구내 보육센터에 들러 다섯 살배기 아이를 맡기고 등교했다. 그때마다 아이는 엉엉 울며 아빠와 헤어지지 않으려 했다. 하는 수 없이 레고 같은 장난감을 안겨주고 거기에 정신이 팔린 사이 살짝 빠져나오곤 했다. 몇 차례 지켜보던 나이 든 흑인 여성 보육교사가 어느 날 그를 불렀다. “아이가 현실을 깨닫게 해야 한다. 편법을 쓰지 말아라. 울든 말든 아빠는 학교에 가야 한다고 팩트(fact)를 알려주어라.” C교수는 “보육교사가 ‘분명하게 매듭지어라(finalize)’고 말할 때 솔직히 쇼크를 받았다”고 회고했다.
 C교수의 다른 경험담이다. 유학생이나 배우자는 시간 날 때 보육센터에서 자원봉사를 한다. 봉사하면서 보육센터의 규칙 하나를 알게 됐다. 아이들은 새롭거나 재미있는 장난감을 탐내기 마련이다. 한 아이가 인기 있는 장난감을 차지하면 다른 아이들이 모두 부러워한다. 갖고 놀다 보면 ‘쉬야’가 마려울 때가 있다. 자리를 뜨자니 모처럼 차례가 돌아온 장난감이 아깝다. 이럴 때를 대비해 보육센터에선 두꺼운 종이로 만든 빨간 딱지를 마련해 두고 있었다. 딱지를 장난감 위에 올려놓고 화장실에 가면 아무도 장난감에 손을 대지 않았다. 임자가 있으니 손을 대서는 안 된다. 그게 규칙이었다. 모두가 동의한 룰(rule)이 작동하므로 공평과 정의가 유지됐다.
 아이가 자신의 처지를 깨닫게 하는 것은 현실의 엄연한 팩트, 사실이다. 탐나는 장난감 위에 놓인 빨간 딱지는 규칙, 룰의 상징이다. 인종·문화 측면에서 미국보다 훨씬 단출한 한국 사회는 어떨까. 토론? 팩트에 기반하기보다 자기 진영의 결론을 먼저 만들어 놓고 싸우러 간다. 팩트는 장식품이다. 밀리면 끝장이라고 생각하니 무조건 우기고 본다. 토론이 될 리 없다. 규칙? 이미 합의해 만든 규칙도 순식간에 헌신짝 취급이다. 규칙을 어기면서도 웬 할 말이 그리 많은지. 우리가 언제부터 이렇게 됐을까.
노재현 논설위원·문화전문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