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hers as monsters in movies, real lif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athers as monsters in movies, real life

테스트

Fathers are the subject of many recent films. “The Face Reader,” “Wish” and “Hwai” evolve around the theme of fathers. “The Face Reader,” which has attracted more than 9 million viewers, is the story of a face reader, played by Song Kang-ho, who got involved in a 1453 coup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e found himself in the middle of a political struggle, was manipulated by politicians and royal figures and eventually lost his son.

In fact, the innocent, powerless father is the actor’s signature character. In 2004, Song played a father who got involved in historical turmoil in “Barber of Hyoja-dong.” In the 2007 film “The Show Must Go On,” he also played a father who sends his child to study abroad with money he earned from working as a gang member.

“Wish” is based on the true story of a child rape case commonly known as the Cho Doo-soon case. Seol Kyeong-gu plays the father of the 9-year-old girl who experienced the heinous incident. Also, the tear-jerking “Miracle in Cell No. 7” attracted more than 10 million viewers with its story of fatherly love.

The five fathers in “Hwai: The Boy Who Swallowed a Monster” are quite different. They are murderous monsters, who kidnap a boy and raise him as their own. Kim Yoon-seok, who plays the leader of the crime gang, teaches the boy, “If you don’t want to see monsters, you have to become one.”

However, the son points a gun at the father when he says, “You think you are clean? Different from us? No, you are a son of monsters, so you are a monster too.” Eventually he kills the five fathers and uses them to punish the corrupt people who committed social crimes before returning to the mother who raised him. A son killing his father is an unprecedented theme in Korean cinema.

“We may not be human, but let’s not turn into monsters,” a senior screenwriter advises his junior who is obsessed with money in “On the Occasion of Remembering the Turning Gate” in 2002. Kim Hong-jong, a sociology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rote that the scene best describes the materialism that has emerged as a dominant value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90s.

The fathers of the last generation had believed in “sincerity” and “humanity,” but they have now become the materialistic monsters dreaming only of stability and growth.

More than 10 years have passed, and Korean movies feature fathers as monsters. They became monsters in order to survive in the world and demand that their children follow in their footsteps. And the son punishes them all, refusing to live like the fathers and become a monster. Having swallowed the monsters, what kind of father would the boy become? It is not easy to nonchalantly enjoy “Hwai.”

*The author is a deputy culture and sport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G-HEE













요즘 극장가 화제작의 공통점은 아버지라는 코드다. ‘관상’ ‘소원’ ‘화이’가 그렇다. 관객 900만 명을 넘어선 ‘관상’은 조선 계유정난을 배경으로 한 관상쟁이(송강호) 얘기다. 우연찮게 정쟁의 한복판에 뛰어든 송강호는 이용만 당하다가 아들을 잃고 만다. 송강호는 2004년 ‘효자동 이발사’에서도 역사적 소용돌이에 휘말린 힘없는 아버지였다. 사실 무기력한 소시민 아버지는 송강호의 전매 캐릭터다. ‘우아한 세계’(2007)에서는 조폭으로 번 돈으로 자식을 유학시키는 기러기 아빠로 나왔다. ‘괴물’(2006)에서는 괴물에게 끌려간 딸을 구출하기 위해 악전고투했다.
 ‘소원’은 일명 조두순 사건으로 알려진 아동성폭행 사건을 소재로 했다. 끔찍한 지옥을 체험한 9살짜리 딸 소원이에게 웃음을 되찾아주려는 아버지 설경구의 고군분투가 코 끝을 자극한다. 올 초 1000만을 넘어선 ‘7번 방의 선물’ 역시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부성애 코드로 흥행했다.
 또 다른 아버지는 ‘화이-괴물을 삼킨 아이’의 아버지다. 한 명이 아니라 다섯 명이나 되는 살인자 괴물 아버지들이다. 잔혹한 범죄 집단이 유괴한 아이를 함께 자식으로 키운다는 설정이다. 리더 격인 김윤석은 아들에게 “괴물을 보지 않으려면 괴물이 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마침내 아들은 “넌 깨끗하다고? 우리랑 다르다고? 아냐. 아버지가 괴물이면 너도 괴물이어야지”라고 말하는 아버지에게 총을 겨눈다. 다섯이나 되는 아버지를 죽이고 괴물 아버지들을 이용해 사회적 범죄를 저지른 권력가들을 처단하고 자신을 길러준 가짜 엄마에게 돌아간다. 한국 영화에 유례없는 집단적 살부의식(殺父儀式)을 담은 영화다.

 “우리 사람은 못돼도 괴물은 되지 말자.” 2002년 홍상수 감독의 ‘생활의 발견’에 나온 대사다. 자기 돈만 악착같이 챙기려는 시나리오 작가(김상경)에게 선배가 하는 말이다. 김홍종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 글에서, 이 장면을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지배 가치로 떠오른 속물성을 가장 잘 묘파한 장면으로 꼽기도 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진정성’이나 ‘사람’을 입에 달고 살던 ‘386 아버지’들이 이제는 모두 성장과 안정을 꿈꾸며 속물이라는 이름의 괴물이 됐다는 것이다.
 그로부터 10여 년, 이번엔 한국 영화에 진짜 괴물 아버지들이 나타났다. 괴물의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괴물이 되고, 자식에게도 괴물을 강요하는 아버지다. 그리고 아들은 이들을 집단 처단했다. 더 이상 아버지처럼 살지 않겠다, 더 이상 괴물이 되지 않겠다는 뜻이다. ‘괴물을 삼킨’ 아들은 나중에 자라서 어떤 아버지가 될까? ‘화이’를 그냥 무심히 봐 넘기기 힘든 이유다.
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