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China’s economy a blessing or curs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s China’s economy a blessing or curse?

테스트

China says that 2014 will mark the beginning of the second economic reform. The “full-scale reform measures” decided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ill be implemented next year. The Chinese leadership is determined to make industrial advancements, reconsider market autonomy and expand domestic consumption. How will China’s reform affect Korea?

In the sluggish market conditions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ree symbolic products supported the Korean economy. Two are Korea’s major exports - Samsung’s Galaxy smartphones and Hyundai cars - and the third is Chinese tourism. Known as the “youke,” the 4 million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keep the distribution industry alive.

The Galaxy, Hyundai cars and youke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are driven by Chinese consumers. Samsung’s Galaxy models have taken 18 percent of the Chinese smartphone market. In 2007, Hyundai made 230,000 cars in China, and this year, Hyundai sold 1 million cars in China. Last year, Chinese tourists spent $5.5 billion during their visits, about 40 percent of the total inbound tourism income. Some consider Chinese tourists the engine that keeps the Korean economy running.

But there are more than positive gains. Terephthalic acid (TPA) is a chemical used to make the polyester PET for synthetic fabrics and plastic bottles. In the early 2000s, China’s textile demand surged, and TPA became one of Korea’s major exports. However, China expanded its own TPA facilities to produce the chemical on its own, and Korea’s export volume is constantly decreasing. In 2008, China produced 64 percent of the TPA that it used, but by next year, it will increase that amount to 90 percent. The risk that China posed to the steel, shipbuilding and IT industries has spread to the petrochemical field as well.

China’s black hole is absorbing Korea’s core technologies. Production facilities for Korea’s most competitive products, such as LCD televisions and semiconductors, are relocating to China. As the factories move, jobs follow.

In the last 20 years, China has been a blessing for the Korean economy. We have actively responded to the emergence of China’s manufacturing sector. But we cannot be so certain in the future. Korean companies can no longer take China’s technological caliber lightly. While we need to find a breakthrough in China’s domestic market, not many products can satisfy Chinese consumers. The Chinese market in the future will b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we can offer advanced technology and consumer goods to satisfy China.

In the first year of reform in 2014, will China be a blessing or a catastrophe for the Korean economy? It is a question that Korea, not China, has to answer.

*The author is the director of the China Institute of the JoongAng Ilbo.

By HAN WOO-DUK
















중국인들은 2014년을 '제2의 개혁 원년'이라고 말한다. 지난 달 열린 공산당 18기 3중전회에서 결정된 '전면적 개혁' 조치들이 본격 시행되는 해이기 때문이다. 산업고도화, 시장 자율 제고, 내수시장 확충…. 지도부의 각오는 남달라 보인다. 그런 중국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까? 2008년 금융위기이후의 악조건 속에서도 우리 경제를 이나마 버티게 해 준 3개의 상징적인 상품이 있다. 스마트폰 '갤럭시'와 '현대자동차'등이 우선 거론된다. 두 제품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하면 충분히 수긍이 간다. 그렇다면 세번째는? 기자는 '요우커(游客·중국 여행객)'를 꼽고 싶다. 올 400만 명에 달할 중국 여행객들의 씀씀이가 유통 업계를 지탱시켜주는 힘이다.
갤럭시·현대자동차·요우커 등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중국 소비자'라는 점이다. 삼성 갤럭시 브랜드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약 18%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07년 23만대 생산에 그쳤던 현대자동차의 중국 판매는 올해 100만 대를 돌파했다. 지난해 중국관광객이 우리나라에서 쓰고 간 돈은 약 55억 달러로 전체 관광수입의 약 40%에 육박했다. '중국 소비자가 우리 경제를 떠받치는 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긍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화학 제품 중 TPA(테레프탈산)라는 물질이 있다. 합섬섬유, 페트병 등을 만드는 원료다. 2000년대 들어 중국의 섬유 수요가 급증하면서 TPA는 우리나라의 수출 효자였다. 그러나 이젠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TPA시설 확충으로 자급율을 높이면서 수출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한숨을 내쉰다. 2008년 64%에 그쳤던 중국의 TPA자급율은 내년 90%에 육박할 전망이다. 철강·조선·IT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차이나 리스크'가 석유화학 분야까지 파급된 것이다.
'블랙홀' 중국은 한국의 핵심 기술을 빨아들이고 있다.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상품이라는 LCD와 반도체마저 중국으로 공장을 옮겨가는 실정이다. 공장이 가니 일자리도 간다. 그렇다고 보다 좋은 조건을 찾아 떠나겠다는 기업을 말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중국은 그렇게 2개의 서로 다른 얼굴로 우리 경제에 다가오고 있다.
지난 20여년 중국은 우리 경제에 '축복'과 같은 존재였다. 중국의 제조업 부상에 우리가 능동적으로 대응한 덕택이다. 그러나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중국의 기술력은 우리 기업에게도 버거울 정도가 됐다. 중국 내수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하지만 소비자를 만족시킬 만한 제품은 많지 않아 보인다. 중국을 만족시킬 기술력과 소비재가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미래 중국 시장의 모습은 달라질 것이다. '2014 개혁 원년'을 선언하고 나선 중국, 그들의 존재는 우리 경제에 축복일까 아니면 재앙일까? 중국이 아닌 우리가 답해야할 문제다.
한우덕 중국연구소 소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