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t delay rice market opening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on’t delay rice market opening

The government said Wednesday that it would report the major items related to the liberalization of our rice market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seek approval from lawmakers before it notifies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of its position on the issue. The government’s move is aimed at forming a consensus with the legislature, even though the market liberalization process does not require preliminary consent from the Assembly. The government plans to devise its measures, including a full-scale opening of our rice market, by June and report them to the WTO in September.

After closing the door to rice imports for the last two decades through high tariffs,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open it. The delayed market liberalization measure expires by the end of 2014, and the government seemingly is convinced that getting approval from the WTO to delay the expiration date again would not only be difficult but harmful.

What happened to the Philippines last week is a good lesson for us. The country called for a postponement in the liberalization of its rice market for five years, while promising to increase its mandatory import quota from the current 350,000 tons to 805,000 tons - more than a twofold increase. But the WTO rejected it. Currently, only Korea and the Philippines are delaying the scheduled opening of their rice markets. Given the size of our economy - nine times bigger than the Philippines - we may have to pay a much bigger price if we choose to postpone the liberalization of the rice market.

Our government has already paid a hefty price for the last 20 years for postponing the liberalization of our rice market. The mandatory import quota, which stood at merely 51,000 tons, soared to 408,700 tons this year - accounting for 8 percent of our domestic consumption - after increasing by 20,000 tons annually. That cost Korea 3 trillion won ($2.9 billion). In the meantime, rice consumption has so drastically decreased that even domestic rice is too much. If Korea increases its mandatory rice imports, it will only exacerbate our rice excess.

Japan and Taiwan opened their rice markets in 1995 and 2003, while imposing import tariffs as high as 1,068 percent and 526 percent, respectively. But their rice imports have not increased much and farmer opposition subsided noticeably. In a survey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on our farmers, 77 percent agreed to liberalization. The competitiveness of our rice has strengthened and the price gap between local rice and foreign rice has sharply narrowed. If the government imposes custom duties as high as 500 percent on rice imports, it surely can open the market.





정부가 어제 쌀 시장 개방 여부를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하기 전에 관세율 등 핵심 사안을 국회에 먼저 보고하고 동의절차를 밟겠다고 밝혔다. 쌀 시장 개방에 국회의 사전 동의가 필요한 건 아니지만 미리 국회에 보고해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쌀 시장 전면 전면 개방을 포함한 대책을 6월까지 마련, 9월에는 WTO에 통보하기로 방침을 정한 바 있다.
20년 빗장을 닫아 걸었지만 이번에는 '높은 관세를 물리고 쌀 시장을 개방'(관세화)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 쌀 관세화 유예는 올해 말로 끝난다. 관세화 재유예는 WTO의 승인을 얻기도 어렵지만, 재유예한다 해도 득보다 실이 크다는 것이다.
지난 9일 필리핀의 사례가 우리에겐 타산지석이다. 필리핀은 WTO에 의무수입량을 기존 35만t에서 2.3배인 80만5000t으로 대폭 늘리겠다며 대신 쌀 시장 개방을 5년 늦춰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WTO는 이를 거부했다. WTO의 이번 결정은 우리에게도 남의 일이 아니다. 현재 쌀 관세화를 유예중인 나라는 한국과 필리핀뿐이다. 필리핀보다 경제 규모가 9배 큰 한국이 관세화 재유예를 받기 위해선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할 판이다.
20년간 쌀 개방을 미룬 대가로 우리는 이미 막대한 비용을 치렀다. 1995년 5만1000t으로 출발한 의무수입량은 해마다 2만t씩 늘어 올해는 40만8700t에 달한다. 국내 소비량의 8%가 넘는다. 20년간 3조원(약 29억달러)의 비용이 들었다. 쌀 소비는 급속히 줄어 국내산 쌀도 남아도는 판이다. 이런 상황에서 또 의무수입량을 늘리면 공급과잉만 커질 게 뻔하다.
일본은 95년, 대만은 2003년에 각각 1068%와 526% 고율 관세를 매기면서 쌀 시장을 열었지만 두 나라의 쌀 수입은 거의 늘지 않았다. 쌀 개방에 대한 농민의 반대도 많이 줄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1282개 쌀 농가에 설문한 결과 77%가 쌀 관세화에 동의했다고 한다. 국산 쌀의 경쟁력도 높아졌고 국제 시세와의 격차도 2~3배 정도로 많이 좁혀졌다. 300~500%의 관세를 물리면 시장을 열지 못할 이유가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