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ing tacks too quickl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Changing tacks too quickly

The government held the second science and technology strategy meeting led by President Park Geun-hye on Aug. 10 and selected nine “national strategic projects” — five in growth engine areas and four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Fine dust is not a new phenomen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are not new technologies, but after making headlines recently, they were included in the nine government projects. It is amazing how quick these policy makers can act.

But how could the national strategic projects change so frequently when they are supposed to be about new growth engines and industries of the future? The government has been searching for new growth engines for over 10 years now.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selected ten next-generation industries in August 2003,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nounced 22 new growth engines in September 2008. The following January, the 22 items were trimmed down to 17. While slogans changed for different administrations, they all had the basic direction of government-led nurturing of new industries.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growth engines changed every year except for the first.

I asked a government official why the selections change so frequently. He responded, “We inevitably have to modify the national strategy to accommodate a rapidly changing world.” It sounded reasonable. So what does the government mean by selecting nine national strategic projects? “The nine industries have priorities in the state strategy.” When I asked again what the priority meant, he said that they have priority in budget allocation.

Let’s say we have 10 trillion won ($9.08 billion) to be u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nnually. Last year, 19 items had priority in budget allocation. If the priority has changed and the new list includes nine items, what would happen to the fields that have been excluded? They would get less or no money because the total sum of the R&D funding is limited. The policy makes scientists in the field despair. After the AlphaGo match in March, the government announced a plan to establish an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stitute to focus on AI research. In order to fund the new institute, the budget for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hich has been researching AI for years for Exobrain and Deep View, has been cut down to 6 billion won from 8 billion won.

Valuable research that has been in progress for years will suffer in order to support the nine new strategic projects.

I am concerned that bureaucrats might abuse their authority and target the scientists who protest. In the last administration, an executive at the Korea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was removed from the position for helping to write an article criticiz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JoongAng Ilbo, Aug. 12, Page 33


*The author is an industri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CHOI JUN-HO



정부가 지난 10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2차 과학기술전략회의를 열고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성장동력 확보’ 분야 5개와 ‘국민행복과 삶의 질 제고’분야 4개다. 미세먼지가 어제·오늘 얘기는 아니고, 인공지능ㆍ증강현실이 갑자기 튀어나온 기술이 아니지만, 어느 날 돌풍처럼 국내 여론을 휘젓고 나니, 갑자기 9대 국가 프로젝트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정책 입안자들의 순발력이 경탄스럽다.
문제는 신성장동력, 미래 먹거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국가전략 프로젝트들이 이렇게 자주, 과거와 다르게 등장해도 괜찮으냐는 거다. 정부 주도의 신성장동력 찾기는 지난 10여 년 동안 지속됐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8월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을 선정했고, 이명박 정부는 2008년 9월 ‘22대 신성장동력’ 발표에 이어 이듬해 1월 이를 간추린 ‘17대 신성장동력’을 선정했다. 정권에 따라 슬로건은 달랐지만 ‘정부 주도의 신성장 동력 육성’이라는 기본 방향은 똑같았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서는 정권 첫 해를 빼고는 매년 성장동력이 바뀌었다.
정부 관계자에게 “국가 성장동력이 왜 이리 자주 바뀌느냐”고 물어봤다. 그는 “급변하는 세상에 적응하려면, 국가전략 수정은 불가피하다”고 답했다. 그럴싸한 답이다.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의미가 뭐냐”고 다시 물었다. “아홉 가지에 국가 전략의 우선 순위를 둔다는 얘기다”라는 답이 돌아왔다. “우선 순위의 의미가 뭐냐”고 재차 물었다. 그는“예산배정의 우선 순위”라고 답했다.
연간 10조원의 연구개발(R&D) 자금이 있다고 가정하자. 지난해 우선순위 항목에 따라 19가지에 예산을 배정했다가, 올해 다른 9가지로 우선 순위를 바꾸면 제외된 분야의 예산은 어떻게 될까. 당연히 줄어들거나 없어질 수밖에 없다. 예산의 총액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현장의 과학자들이 절망하는 이유다. 올 3월 알파고의 충격 이후 정부가 AI연구를 집중적으로 한다며 지능정보기술연구원을 만든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원을 지원하느라 지난 수년간 엑소브레인과 딥뷰 등 인공지능을 연구해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예산이 80억원에서 60억원으로 깎였다. 이번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수년간 공들여왔던 연구들이 엑소브레인이나 딥뷰 처럼 유탄을 맞게 됐다.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글을 쓰고 나니 염려되는 일이 하나 있다. 그럴 리는 없겠지만, 혹여나 글 속에서 목소리를 거들었던 과학계 인사들에 대한 관료의 갑질이 있을까 해서다. 지난 정부에서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비판기사를 자료로 도왔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간부가 '괘씸죄'로 직위해제된 적이 있어서 하는 말이다.


산업부 최준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