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ing the silenc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eaking the silence (kor)

Accidents happen at unexpected times and places. The fire at Severance Hospital in western Seoul on Feb. 3 was such a case. No one expected a fire at the food court of the major hospital in the early morning.

I was nervous as I dashed to the scene, but fortunately the situation was already calm by the time I arrived. The building houses hundreds of patients, but there were no casualty. What prevented further damage were “protective devices” used for emergency situations. Right after the fire broke out, sprinklers automatically extinguished the flames, and fire shutters blocked harmful smoke from spreading.

Lately, sexual violence has been exposed in cultural circles, academia and the media, and it is hard to know where and how these incidents will happen. Victims who suffered from these shocking assaults never expected them. Unlike the fire at Severance Hospital,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suffered due to a lack of proper protective devices.

The Korea Institute for Criminology’s survey of 1,150 office workers last year revealed the gravity of the situation. 54 percent of respondents who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said that they did not take action and left the incident unreported.

When asked why, three answers got the most responses. “Becaus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ffender,” “Nothing will change even if I reported it” and “I would experience disadvantages at work.”

When protective devices don’t work properly, victims choose to be silent. In the meantime, offenders continue to offend. Some victims could only begin speaking up after widespread social attention from the “Me Too” movement became a protective device for them.

We cannot just blam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 lack of systematic measures. We also failed to be a protective measure for the victims. Lee Seung-bi, who exposed playwright and theatrical director Lee Yoon-taek’s acts of sexual violence, said, “He was like a cult leader.” Insiders of the world of theater said that Lee’s behavior was an open secret.

Those in the theater, those who heard the stories of fellow students being sexually harassed by their professors and I, having questioned that, if a fellow reporter had really been sexually harassed, she would have reported it, missed the chance to become a protective device for the victims.

The latest “Me Too” movement should not remain the exposure of sexual violence but be a widespread reflection on our shameful indifference.

JoongAng Ilbo, Feb. 23, Page 29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SONG WOO-YEONG


‘사고’는 예기치 못 한 순간, 예상 못 한 곳에서 생긴다. 지난 3일 아침 서울 신촌세브란스 병원 화재도 그랬다. 이른 아침, 대형 병원의 푸드 코트에서 갑자기 불이 날 줄은 아무도 몰랐다.
긴장한 채 달려간 화재 현장은 다행히 평온했다. 환자만 수백 명이 있던 건물에 사상자는 없었다. 피해를 막은 건 만일을 대비한 ‘보호 장치’였다. 화재 직후 자동으로 작동한 스프링클러가 불길을 잡았고, 방화 셔터는 유독 연기가 퍼지는 것을 막았다.
문화계와 학계, 언론계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최근 드러나고 있는 성폭력도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예상하긴 힘들다. 충격적인 일을 겪은 당사자들에겐 더욱 그랬을 것이다. 하지만 세브란스 병원 화재와 달리 성폭력 피해자들이 피를 철철 흘리는 ‘치명상’을 입은 이유는 제대로 된 ‘보호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직장인 1150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연구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 연구에서 성희롱을 겪은 응답자의 54%는 “특별한 조처를 하지 않고 내버려 두었다”고 답했다. 이유를 묻자 세 가지 응답이 막상막하였다. “상대와의 관계를 생각해서”“대응을 해도 별로 달라질 것 같지 않아서”“신고하면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을 것 같아서”….
‘보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피해자들은 침묵하는 편을 택했다. 그 사이 “안마를 해달라”던 희롱은 “‘가슴이 얼마나 커졌나 보자’며 가슴을 주무르고 성폭행을 하는 손”으로 커졌고, 피해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로 번져나갔다. 이들이 가슴에 묻어뒀던 사연을 밖으로 꺼낸 건 ‘미투’ 운동으로 생긴 거대한 사회적 관심이 ‘보호 장치’가 돼 줄 거란 믿음이 생긴 후다.
조직 문화나 미흡한 제도만을 탓할 것도 없다. 우리 모두도 누군가의 ‘보호 장치’가 되지 못했다. 연극연출가 이윤택씨의 성폭력을 공개한 배우 이승비씨는 “그가 교주 같은 존재였다”고 말했다. 연극계 관계자들은 “이 추행이 공공연한 비밀이었다”고 했다.
연극계에 있는 당신도, 교수에게 성추행당한 동료의 사연을 들은 당신도, ‘동료 기자가 당한 게 진짜 성추행이었다면 본인이 신고했겠지’라고만 생각한 나도 누군가의 ‘보호 장치’가 될 기회를 놓쳐버렸다. 최근 불고 있는 ‘미투’ 열풍은 “나도 당했다”는 폭로 운동에 그치지 말고 “부끄럽지만 나도 무관심했다”는 우리 모두의 뼈아픈 반성이 돼야 한다.
송우영 사회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