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ard line and bottom line (kor)
Published: 09 Mar. 2018, 21:56
The firm stance resembles the demands that the United Auto Workers made of General Motors more than 20 years ago. GM opted for the strategy of producing parts abroad to lower costs. The auto workers opposed and went on strike in 1998.
The walkout allowed Japanese automakers like Toyota, Honda and Nissan to quietly land in the U.S. market. Some consumers grew tired of the strike. GM, which once took up nearly 50 percent of the market, saw its market share shrink to 28.3 percent by 2002.
GM Korea’s union is fighting firmly and has gone on strike for 31 days in the past two years while the company struggles with deficits. In the same period, the import car market has seen record-breaking sales. In February, Mercedes-Benz sold 6,192 cars in Korea and BMW sold 6,118, more than GM Korea’s 5,804.
Another overlap between GM Korea’s union and the United Auto Workers is that the UAW did not give up their benefits as the management situation worsened. Two notable benefits were the jobs bank program and legacy payments.
The jobs bank allowed workers who were laid off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or plant restructuring to receive 85 to 95 percent of wages and benefit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Between 2005 and 2008, GM spent $2.1 billion on the program.
The automaker also racked up huge legacy costs covering pensions and health care expenses for retired workers. For that, GM had to raise the price of its cars by an average $1,904.
What about GM Korea? Union members receive an average of 87 million won ($81,000) in wages and 22.59 million won in benefits, according to a JoongAng Ilbo report from Feb. 24. Among GM’s global plants, the Korean operation was rated “red,” meaning lowest competitiveness.
The typical negotiation strategy is demanding more than one expects to receive. However, GM’s headquarters learned 20 years ago how to respond to hard-line demands. It will be the union that suffers if GM Korea misses new car assignments because of excessive demands and delay tactics.
From 2006 to 2009, 65,000 workers, about half of the production workforce at GM, resigned or retired. In 2009, Congress eliminated the jobs bank system through its auto bailout. Measures unfavorable to unions, such as hourly workers and a two-tier wage system, were introduced.
GM Korea’s union needs to think hard about the butterfly effect that the United Auto Workers’ firm stance had 20 years ago.
JoongAng Ilbo, March 9, Page 33
*The author is an industri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MOON HEE-CHUL20년 전 패착 답습하는 한국GM 노조 한국GM은 지금까지 4차례 노사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노조는 ‘강경 대응’을 선포하며 ^군산공장 폐쇄 철회 ^친환경차 생산 ^경영실사에 노조 참여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GM 노조의 이런 강경한 태도는 20여 년 전 전미자동차노조와 똑 닮았다. 당시 미국 GM은 원가를 낮추기 위해서 부품을 해외에서 위탁 생산하는 전략을 추진했다. GM 노조는 이를 반대하며 1998년 대규모 파업에 돌입했다. 이 파업은 도요타·혼다·닛산 등 일본차가 미국 시장에 안착할 기회를 줬다. 과격한 파업에 진저리가 난 일부 소비자가 등을 돌렸기 때문이다. 한때 50%를 넘나들던 GM의 내수 점유율은 28.3%(2002년)까지 하락한다. 한국GM 노조도 강경 투쟁 일변도다. 적자 늪에 빠진 최근 2년 동안 31일이나 파업했다. 이 기간 수입차 업계는 사상 최대 판매기록을 계속 갈아치우고 있다. 2월엔 메르세데스-벤츠(6192대)와 BMW(6118대)가 처음으로 한국GM 판매량(5804대)을 뛰어넘었다. 미국 GM과 오버랩되는 장면은 또 있다. 경영 상황이 나빠져도 전미자동차노조는 복지 혜택을 포기하지 않았다. 일자리은행·유산비용 제도가 대표적이다. 일자리은행은 일자리가 부족해 실업한 근로자에게 임금·복지의 85~95%를 지급하는 제도다. 여기에 GM은 2005년부터 5년간 22억 달러(2조4000억원)를 지불했다. 또 GM은 퇴직 근로자의 의료보험·연금(유산비용)까지 내줬다. 이 돈을 마련하느라 GM은 자동차 1대당 가격을 1904달러(204만원)나 올려야 했다. 한국GM은 어떤가. 노조원에게 임금(평균 8700만원) 이외에도 1인당 2259만원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본지 2월 24일 6면). 또 GM 글로벌 사업장 중에서 한국GM은 가장 경쟁력이 낮다는 평가(red plant)를 받는다. 물론 하나를 원하면 둘을 요구하는 건 전형적인 협상 전략이다. 하지만 20여년 전 ‘학습효과’를 경험한 GM 본사가 그때와 비슷한 강경투쟁 전략에 다시 응할지는 미지수다. 오히려 무리한 요구로 협상을 지연하다가 자칫 신차 배정 시점을 놓친다면, 더 곤란해지는 쪽은 노조다. 2006년~2009년 GM 생산직 근로자의 절반(6만500여명)이 사직·퇴직했다. 2009년엔 미국 의회가 나서서 일자리은행 제도를 없애버렸다. 시간제근로자·이중임금제 등 노조에게 불리한 제도도 이때부터 대거 도입됐다. 20여년 전 ‘강경 대응’이 낳았던 나비효과를 한국GM 노조도 곱씹을 때다. 문희철 산업부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