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ain’t over till Kim Jong-un sing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t ain’t over till Kim Jong-un sings (KOR)

YEH YOUNG-JUNE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In 2008 Beijing was at the center of negotiation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head of the six-party talks there, I asked a Chinese expert who had visited the recalcitrant state many times, “Do you really think North Korea is willing to give up its nuclear program?” He answered, “You are asking me the same question as Christopher Hill.” When he met Hill — then U.S.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East Asia and senior representative of the U.S. to the six-party talks — Hill asked the same question. Even Hill was not convinced of Pyongyang’s will to scrap its cherished nuclear weapons, even though he frequently met his North Korean counterpart Kim Kye-gwan despite doubts of hardliners in the Bush administration.

In June of that year, the world watched CNN’s live coverage of the implosion of a cooling tower at the Yongbyon nuclear facility. After that, the hawks in the Bush administration quietened down on the belief that, without the cooling tower, North Korea would not be able to extract plutonium. Eventually, the Bush administration removed North Korea from a list of countries that sponsored terrorism, as Pyongyang wanted. In his memoir, Hill recalled that he proposed the destruction of the cooling tower to test the North’s will to denuclearize.

But North Korea reactivated the reactor at Yongbyon, citing the differences in verifying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which eventually led to the breakup of six-party talks. To replace the cooling tower, North Korea used water hauled from a river nearby. A senior official deeply involved in the six-party talks said North Korea cheate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declared that he has suspended nuclear an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ests and shut down an aged nuke test site in Punggye-ri, North Hamgyong. The move could be seen as a meaningful progress in saving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brink of war. But it can hardly be viewed as proof of denuclearization. Kim did not mention how North Korea would deal with the nuclear weapons it has already produced, let alone how to permanently halt nuclear weapons production.

But there is one difference from the past. President Moon Jae-in or U.S. President Donald Trump now have a chance to directly confirm Kim’s determination to denuclearize at the summits. It couldn’t be better if Kim transparently expresses his will to abandon all nuclear weapons and programs.

Given the North’s track record, however, it is better to hold off on the optimism. Kim will likely answer all questions about his past, present and future nuclear weapons in an ambiguous manner. He could resort to North Korea’s repeated negotiation pattern — in which a leader agrees in principle yet breaks up talks citing disagreement over detail. Despite a strong need for talks over denuclearization, it’s not over until Kim’s sincerity is proven.

JoongAng Ilbo, April 24, Page 30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예영준 베이징 총국장
2008년 베이징은 북한 비핵화 협상의 주 무대였다. 6자회담 취재를 앞둔 어느 날 방북 경험이 많은 중국인 전문가를 만난 차에 “과연 북한은 핵 포기 의사가 있냐”고 물었다. 북한의 행동이 늘 유(有)와 무(無)를 왔다 갔다 하는 걸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의외의 말로 답을 대신했다. “힐 차관보와 똑같은 질문을 하네요.” 언젠가 주중 미 대사관의 연락을 받고 약속 장소에 갔더니 6자회담의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차관보가 나타나 같은 질문을 하더란 것이다. 부시 행정부 내 강경파의 견제를 뚫고 끈질기게 대북 협상을 추진하며 북한의 김계관과 수시로 무릎을 맞댄 힐 역시 확신이 없었다는 얘기다.
그해 6월 북한이 영변 원자로의 냉각탑을 폭파하는 장면을 전 세계가 CNN으로 지켜봤다. 그 뒤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의심하던 강경파의 목소리는 수그러들었다. 냉각탑이 없으면 원자로를 가동 못 해 핵폭탄 원료를 더 이상 뽑아낼 수 없으니 그럴 만도 했다.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바람대로 테러지원국 지정을 해제했다. 힐 차관보는 훗날 회고록에서 냉각탑 폭파는 자신이 먼저 제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의지 유무를 판단하는 잣대로 삼고자 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북한은 검증 방식을 핑계로 6자회담 판을 깨버린 뒤 영변 원자로를 재가동했다. 냉각탑 대신 인근 구룡강 물을 끌어들여 냉각수로 사용했다. 최근에 만난 당시의 고위 당국자는 이를 ‘치팅(cheating·속임수)’이라 표현했다.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 중단과 핵실험장 폐기를 공약하고 나왔다. 한반도를 일촉즉발의 위기로 몰고 가던 북한이 스스로 멈춰 선 건 커다란 진전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걸로 핵 포기 의지가 입증된 것이라 보긴 어렵다. 이미 만들어서 갖고 있는 핵무기(과거 핵)를 어떻게 하겠다는 언급이 없으니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조선반도 비핵화는 선대의 유훈”이란 말로도 입증되지는 않는다.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5년 방북한 정동영 통일부 장관에게 똑같은 말을 했다.
10년 전과 달라진 게 있다. 답답한 마음에 중국 전문가에게 물어볼 필요도 없이, 문재인 대통령 혹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김정은의 의지를 묻고 판단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김정은이 화끈하게 핵 포기 의지를 밝힌다면 더 바랄 나위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과거의 경험에 비춰 볼 때 낙관은 금물이다. 북한은 과거·현재·미래 핵의 완전한 폐기를 수용할지 여부를 끝까지 모호성의 영역에 가두려 할지 모른다. 원칙에는 합의하고 디테일을 문제 삼아 판을 깨는 협상 패턴을 반복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북한과의 협상은 가야 할 길이다. 다만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철칙을 한시도 잊어선 안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