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ctively unintelligen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llectively unintelligent? (KOR)

LEE HYUN-SA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Goldcorp, a gold production company headquartered in Vancouver, struggled to survive in 2000 as it could not find a new vein of gold in Canada. But founder Rob McEwen had an idea after attending a lecture on Linux, an open-source software operating system. He staged an idea contest after making public all the secret geological information on the company-owned Red Lake mine in Ontario. After he offered a $570,000 prize, people interested in the mission — geological specialists, graduate students and mathematicians around the world — discovered as many as 110 possible gold veins by using all available means, including mathematics, physic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er graphics. His embattled company went on to become the second largest gold mine after discovering 220 tons of gold.

So-called collective intelligence should be smarter than any individual. Its power is getting ever-stronger thanks to the Internet. But collective intelligence is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A research team at ETH Zurich in Switzerland presented its students with several questions, including “How many homicides take place in Zurich?” For some questions, the team allowed students to refer to other students’ answers, and for other questions, the team asked students to find the answer on their own. In first instance, the answers often overlapped, and respondents were more convinced that they were correct. But the answers in the second case were more likely to be correct.

Experts believe it is important for people to express their own ideas in an independent way. Otherwise, collective intelligence can easily fall into the trap of a collective fallacy. A common feature of extremism and fundamentalism is collective think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he ruling part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more than any other previous administration. They regard the massive candlelight vigils as 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brought in experts on collective intelligence after establishing a “collective intelligence center” in their campaign headquarters before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After taking power, they even created a Blue House web page devoted to collecting public petitions, not to mention putting whether to shut down nuclear power plants to a vote.

Despite many controversies over the decision, some people appreciated it for being a fresh idea. But the government doesn’t seem to care whether collective intelligence is always healthy. They don’t seem to care that cyberspace is polluted with division and collective hatred. If they continue to portray the posting of pro-government messages under the former administration as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while brushing off the public opinion rigging campaign involving a ruling party lawmaker and aide to President Moon, we can hardly expect genuine collective intelligence online.

JoongAng Ilbo, April 23, Page 31

오염된 집단지성
이현상 논설위원

캐나다의 금광회사 골드코프는 2000년 새로운 금맥을 찾지 못해 문을 닫을 지경이었다. 고민하던 롭 매큐언 사장은 소스 공개 운영체제 리눅스에 관한 강연을 듣고 아이디어를 냈다. 회사 소유의 온타리오주 레드 레이크 광산의 극비 지질 정보를 인터넷에 모두 공개하면서 금맥 찾기 공모전을 연 것. 상금은 57만 달러. 전 세계 지질 전문가, 대학원생, 수학자 등이 몰려들어 수학, 물리학, 인공지능, 컴퓨터그래픽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 110곳이나 되는 금맥 후보지를 찾아냈다. 이 후보지에서 220t의 금을 찾아낸 골드코프는 세계 2위의 금광 회사로 우뚝 섰다. 집단지성이 성공을 거둔 유명한 사례다.
아무리 똑똑한 개인도 집단보다는 똑똑하지 않다는 것이 집단지성이다. 집단지성의 힘은 인터넷을 타고 더욱 커졌다. 위키피디아, 네이버 지식인, 다음 아고라, 각종 커뮤니티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집단지성은 오염되기 쉽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취리히) 연구팀은 학생들에게 '취리히에서 1년 동안 벌어진 살인 사건 수' 같은 여러 문제를 냈다. 어떤 질문은 다른 사람의 예측을 참고하게 했고, 어떤 질문은 알아서 답하도록 했다. '힌트'를 알려준 질문의 경우 답은 그 수치 주변으로 수렴했다. 게다가 이때 응답자들은 자기 답이 정답에 가깝다고 믿는 확신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컸다. 사실은 '오염되지 않은 예측'의 평균치가 정답에 더 가까웠지만.
전문가들은 집단지성이 발휘되려면 다양한 사람들이(다양성), 자신만의 생각으로(독립성), 쏠리지 않는(분산화) 의견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렇지 않을 경우 집단지성은커녕 집단사고의 오류에 빠지기 쉽다. 극단주의와 근본주의의 특징이 바로 집단사고다.
지금 정부와 여당은 유난히 집단지성을 강조한다. 촛불집회를 집단지성의 발현으로 평가했고, 지난 대선 캠프에는 '집단지성센터'를 두고 전문가들을 영입했다. 집권 후에는 집단지성을 기대한다며 청와대 민원 게시판을 만드는가 하면 짓고 있던 원자력발전소의 폐쇄까지 공론화에 부쳤다. 논란이 없진 않았지만 신선한 시도라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댓글 조작 논란에 대한 자세에서는 '건전한 집단지성'에 대한 고민이 보이지 않는다. 인터넷 공간이 편 가르기와 혐오의 집단사고로 오염돼 가고 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전 정부는 '댓글 조작'이고 드루킹은 '댓글 장난'일 뿐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인터넷 공간에서의 집단지성은 기대할 게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