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ing balance in Northeast Asia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inding balance in Northeast Asia (KOR)

SHIN KYUNG-JIN
*The author is a Beijing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Why did Kim visit China again? I am convinced by an interpretation made by a Chinese scholar. He argued that the United States had possibly proposed a drastic compromise. His theory is that the United States may have suggested a reduction of U.S. Forces Korea and adjustment of the Korea-U.S. alliance to North Korea in exchange for the nuclear program, and North Korea thought it was beyond its sole discretion and asked China for strategic advice. China was frustrated at the “China passing” and welcomed the approach. It is what China ardently wished for but could not dare to ask.

The scholar added that it is possible that Pyongyang has no intention of fundamentally compromising on the nuclear issue. As the United States refused a meeting without an outcome, North Korea sought China’s cooperation to prevent military action by the United States and avoid economic sanctions in case the meeting falls apart.

A Chinese media outlet made an interesting interpretation. It considers the proposed three-party meeting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Panmunjom Declaration to be a Pyongyang-led strategy of excluding China. Wang Yi, the Chinese foreign minister, was sent to Pyongyang to persuade Kim, and Japan was also persuaded. Xi had a telephone conversation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on May 4. Chinese Premier Li Keqiang presented Japan a pair of crested ibises. The smile diplomacy established a united front for China and Japan.

Aside from Japan, four countries, South Korea,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directly involved parties in the nuclear affairs. There are six possible bilateral relations: South-North, South-U.S., South-China, North-U.S., North-China and U.S.-China.

As the inter-Korean relations were resolved,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urned the North-U.S. axis. The North-China relationship has also normalized. Aftershocks of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deployment remain between Korea and China. On May 9, Premier Li asked President Moon Jae-in to handle the Thaad issue smoothly. The biggest contradiction among the six combinations is the U.S.-China relations, not the U.S.-North relationship. The trilateral alliance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uld leave China out. The nuclear issue could be a catalyst for a clash between an existing superpower and a new power.

North Korea overcame the China-Soviet discord in the past as the principal agent. Including the three and four-party relations, the Panmunjom Declaration could be a tactic to increase its value between Trump and Xi.

The peace declaration and agreement are two sides of a coin. The solution to create a new Northeast Asian order is a process of finding a balance, not a subtraction. Korea should not be bitter and welcome China’s return.

JoongAng Ilbo, May 11, Page 30

북핵 3자 해법은 없다
신경진 베이징 특파원

중국이 돌아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40여 일 만에 다시 만나면서다. 북한의 러브콜에 중국은 풍경이 수려한 다롄(大連) 방추이다오(棒槌島) 국빈관에 북핵 복귀 무대를 마련했다.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항저우 시후(西湖), 난징 둥자오(東郊)와 더불어 중국 4대 국빈관으로 불리는 곳이다.
김 위원장은 왜 다시 중국에 왔어야만 했을까. 중국 소장파 학자의 해석이 솔깃하다. 미국의 파격적인 타협안 제시 가능성이다. 미국이 북한에 주한미군 감축과 한·미 군사동맹 관계 조정을 핵 문제 교환 카드로 제시했고 홀로 결정할 범위를 넘어섰다고 판단한 북한은 중국과 전략적 소통을 요청했다는 가설이다. ‘차이나 패싱’에 애타던 중국은 환영했다. 내용도 중국엔 불감청고소원(不敢請固所願)이었다.
이 학자는 북한이 핵 문제에서 근본적 타협 의사가 없을 가능성도 덧붙였다. 미국이 성과 없는 회담을 거부하며 압박하자 북한은 회담 결렬을 대비해 미국의 군사 옵션을 막고, 경제제재까지 피하기 위해 중국의 협조를 구했다. 중국은 ‘완전한 비핵화’를 신중히 해석한다.
중화권 매체의 해석도 흥미롭다. 중국은 판문점 선언에 담긴 남·북·미 ‘3자 회담’을 북한이 주도한 ‘중국 배제’ 전략으로 판단했다. 왕이(王毅) 국무위원을 평양에 급파해 김 위원장을 설득했다. 일본도 포섭했다. 시 주석이 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통화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따오기를 선물했다. 미소(微笑) 외교로 중·일 연대 전선을 구축했다.
일본을 제외하면 북핵 당사국은 남·북·미·중 네 나라다. 남·북, 한·미, 한·중, 북·미, 북·중, 미·중 여섯 가지 양자 조합이 나온다. 북한이 남북 관계를 풀자 한·미 두 나라가 북·미 축을 돌렸다. 북·중 관계까지 정상으로 되돌렸다. 한·중 사이에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여진이 남아 있다. 9일 리커창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드의 원만한 처리를 당부했다. 여섯 조합 중 최대 모순은 북·미보다 미·중 사이다. 남·북·미 3자 연대론은 중국을 스포일러로 만들기 쉽다. 북핵까지 패권국과 신흥국 충돌의 촉매가 될 수 있다.
북핵 4차 방정식 해결은 아직 요원하다. 북한은 과거 중·소 분쟁을 ‘주체’로 헤쳐나왔다. 판문점 선언에 3자, 4자를 동시에 넣은 것도 트럼프와 시진핑 사이에서 몸값을 높이려는 책략일 수 있다. 중국은 ‘방 안의 코끼리’다.
보고 싶지 않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게다가 평화선언과 협정은 동전의 앞뒷면이다. 동북아 신질서를 낳을 해법은 뺄셈이 아닌 균형점을 찾는 과정이다. 한국이 씁쓸함은 잊고 중국의 복귀를 환영해야 하는 이유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