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ct people’s righ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otect people’s rights (KOR)

After the bills rearranging investigative rights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and on the establishment of an extra investigative authority to deal with corruption among high government officials were “fast-tracked” earlier this week, some tangible signs of resistance have surfaced in the prosecution. Senior prosecutors have joined the chorus since Prosecutor General Moon Moo-il expressed opposition to the bills on the grounds of violating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The prosecutor general is expected to return home Saturday after cutting short an overseas trip.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could lead to prosecutors collectively resisting the bills.

Since taking office in May 2017, President Moon Jae-in pressed ahead with a rearrangement of the investigative righ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law enforcement body to root out corruption among senior government officials. In other words, there was enough time for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to consult about the sensitive issue. The internal dissonance reveals problems with the Blue House’s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ordinate with other ministries. The prosecution has since been complaining about the Blue House and the ruling Democratic Party’s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m.

The prosecution’s concerns seem to be reasonable. If the bill is passed, the police can conclude investigations without instruction from the prosecution. There would be no problem even if the police find a suspect innocent after a thorough investigation. The police could also wrap up a case at their disposal even when a suspect committed a heinous crime.

That has not been the case so far due to the prosecution’s rights to command and oversee the police. As the prosecution retain their exclusive right to request court-issued arrest warrants even under the new bill, they still can keep the police in check. Nevertheless, you can hardly deny the possibility of the police abusing their investigative rights under the new law. The police say they have changed and matured now. Yet given their collusion with suspects — as seen in the Burning Sun scandal — police corruption has hardly vanished.
The Moon administration pushed for a rearrangement of the investigative rights in a bid to prevent the prosecution from abusing its power in collusion with the powers that be. Put differently, the arrangement was not aimed at simply transferring the prosecution’s power to other law enforcement agencies. Yet the bill suggests that the prosecution’s power has shifted to the police and the special investigative body. Whether it be the police or the special investigating authority, you cannot fully guarantee fair investigations. The special body can serve as simply another law enforcement agency on top of existing ones.

Though the bills were fast tracked, we still have time to challenge them. Instead of showing a blind determination to weaken the prosecution,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must carefully approach the issue. What counts most is how to protect people’s rights, not how to rearrange investigative rights between two law enforcement apparatuses.

JoongAng Ilbo, May 3, Page 30

수사권 조정, 검찰 권력을 경찰로 옮기라는 게 아니다
검·경 수사권 조정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립 관련 법안이 국회 ‘패스트트랙’에 오르자 검찰이 반발하기 시작했다. 문무일 검찰총장이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원리에 반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검찰 간부들도 잇따라 비판 의견을 냈다. 해외출장 중인 문 총장은 귀국 날을 닷새 앞당겨 4일 귀국하기로 했다. 자칫 검찰의 '집단 항명'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수사권 조정과 공수처 설립은 2년 전 문재인 정부 출범 때부터 추진됐다. 그동안 관련 부처·기관이 협의할 시간이 충분히 있었다. 그런데도 이 지경에 이른 것은 정부 내부 소통ㆍ조율 능력에 문제가 있음을 방증한다. 검찰 측은 청와대와 여당이 자신들 의견은 제대로 듣지도 않았다고 주장해 왔다. "2년간 실컷 부려먹더니 토사구팽(兎死狗烹)하려 한다"는 볼멘 소리가 나올 만도 하다

수사권 조정에 대한 검찰 측 주장엔 타당한 측면이 있다. 법안대로 조정이 이뤄지면 경찰은 검찰 지휘를 받지 않고 수사를 종결할 수 있게 된다. 경찰관이 무고한 시민에 대해 수사를 벌인 뒤 혐의를 못 찾았다며 끝내면 그만이다. 반대로 죄지은 자를 봐주면서 수사를 종결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이런 일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으나 검찰의 지휘ㆍ감독 때문에 쉽지 않았다. 조정안에도 영장청구권은 검찰이 그대로 독점적으로 갖게 돼 있어 어느 정도 견제가 가능하지만, 경찰의 수사권 오용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경찰은 “경찰관들이 달라졌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의 ‘버닝썬’ 사건에서 보듯 부패ㆍ유착의 폐단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경찰의 권한이 커지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는 국민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수사권 조정은 ‘검찰 개혁’ 차원에서 진행됐다. 무소불위(無所不爲) 권한을 가진 검찰이 권력과 기득권층에 결탁해 공권력을 남용하고, 스스로가 거대한 기득권 세력이 됐다는 게 본래의 문제의식이다. 그러므로 검찰의 힘을 빼겠다는 게 개혁 취지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수사ㆍ기소 전횡을 막자는 것이지 힘을 다른 곳으로 옮기자는 게 아니었다. 그런데 지금 정부와 여당이 만든 안을 보면 그 권한을 고스란히 경찰과 공수처로 옮겨놓는 모양새다. 경찰과 공수처라고 해서 권력에 휘둘리지 않고 공정하고 절제된 수사를 한다는 보장이 없다. 국민 입장에서 보자면 언제 횡포를 부릴지 모르는 ‘사또’가 하나에서 둘 또는 셋으로 늘어나는 것일 수도 있다.
법안이 패스트트랙에 올려졌지만, 아직 최소 3개월의 시간이 있다. ‘나중에야 어찌 되든 일단 검찰 손보기에 성공하면 된다’는 식의 무대포 개혁은 곤란하다. 국회는 국민이 억울한 일 안 겪도록 하는 최선의 방안을 찾아내 법안에 반영해야 한다. 국민 권익이 최우선이다. 검찰과 경찰도 조직 밥그릇을 계산하기 보다 시민의 자유·권리 보호가 존재 이유라는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수사권 조정의 기준은 처음부터 끝까지 국민 권익이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