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every possibilit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every possibility (KOR)

After news about the public activities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suddenly came to a stop for over two weeks, the rest of the world has begun to question whether he died after a heart surgery. Presumptions of his potential death pose a serious security challeng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he uncertainty demand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international society to take a cool-headed approach to a potential contingency in the reclusive state.

Kim’s unusual disappearance from a national event celebrating his grandfather Kim Il Sung’s birthday on April 15 created suspicions about his health. Give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regime, however, it is not desirable for us to jump to any conclusions unless Pyongyang makes an official announcement on his whereabouts.

Nevertheless, the Moon administration should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including his death, to safeguard our national security now that North Korea has become a de facto nuclear power with over 30 nuclear warheads. If a power vacuum emerges in the country, concerns over the safety of its nuclear weapons will deepen further along with China’s increasing influence on its ally across the border.
The government has focused its security and diplomatic efforts on improving inter-Korean exchanges over the last three years to the extent of creating many schisms in the Korea-U.S. alliance and its relations with Japan, as seen in the crisis with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with Tokyo. But if a crisis occurs in the North, there is no better security apparatus for us than the decades-old alliance.

If an emergency takes place on the peninsula — a hot spot arguably the most susceptible to global power politics — China and Russia will surely intervene in any way they want. China, in particular, has been stationing military forces along the border as it regards North Korea a vital security issue. If the North Korean regime is on the brink of collapse, China will most likely send the troops to its ally and establish a pro-Beijing regime in the country. Seoul must do its best to minimize China’s intervention in the North based on the solid alliance with Uncle Sam and strive to achieve denuclearization of the peninsula toward the goal of establishing a permanent peace system.

The government must double-check a phased operational plan it has drawn up with the United States to cope with contingencies in the North and prepare a detailed set of action plan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must consolidate a joint defense posture with America. In that sense, it would be better to wrap up the ongoing negotiation to settle their disagreements over the defense cost-sharing deal as quickly as possible.

April 27 marks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Panmunjom agreement signed by President Moon and Kim Jong-un to take a step toward peace. Given the rumored vegetative condition of Kim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season in the United States, it is unclear if a productive dialogue among Seoul, Washington and Pyongyang could continue. It is not a time to remain idle. The Moon administration must concentrate on risk management through humanitarian aid to help North Korea weather the coronavirus storm, while bracing for anything in North Korea.

JoongAng Ilbo, April 27, Page 34

북한 정권의 어떤 급변 가능성에도 철벽 대비해야
'건강 이상설’에 휩싸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공개 활동 소식이 보름 넘게 끊어진 가운데 그의 생사 여부를 놓고 추측 보도가 난무하면서 혼란이 증폭되고 있다. 핵을 가진 북한의 최고 지도자 '유고'설은 진위 여부를 떠나 그 자체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큰 불안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정부와 유관국 및 국제사회의 냉정한 대처가 절실하다.
김 위원장이 북한의 최고 국경일인 '태양절(김일성 생일)'에조차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점에서 그의 신변에 뭔가 이상이 있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되는 건 자연스럽다. 하지만 극도로 폐쇄적인 북한 체제의 특성을 고려하면 평양 당국이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는 한 안보와 남북관계에 중대 변화를 가져올 상황을 섣불리 예단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럼에도 정부는 만에 하나 김 위원장의 ‘유고’를 포함한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해 우리의 안보와 국익을 수호할 대책 마련에는 만전을 기해야 한다. 가장 큰 이유는 북한이 6차례 핵실험을 통해 30여 기의 핵탄두를 축적한 핵보유국이기 때문이다. 이런 북한에 힘의 공백이 생길 경우 북한 전역에 은닉돼 있을 핵무기의 안전 확보가 발등의 불로 떠오르고, 중국의 입김이 강화되는 등 동북아 정세가 요동칠 공산이 크다.
우리 정부는 지난 3년간 외교·안보의 핵심 역량을 남북교류에 집중했다. 그 결과 한·미 동맹의 여기저기에 균열이 생기고,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이 휴지 조각이 될 뻔한 위기를 맞으면서 한·미·일 협력도 허술해진 게 사실이다. 그러나 북한에 급변사태가 터질 경우 우리가 의지할 가장 중요한 보루는 역시 한·미 동맹일 수밖에 없다. 강대국들이 약소국의 의지는 아랑곳없이 힘의 논리로 밀어붙이는 '권력정치(power politics)'의 전형적 무대가 한반도다. 철저하게 국익만을 잣대로 행동하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이 급변사태를 당할 경우 어떤 형태로든 개입하려 들 것은 자명하다. 특히 북한의 안정을 자국의 사활적 이해로 간주해 온 중국은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북·중 국경에 대규모 병력을 주둔시켜 왔다. 북한 정권이 붕괴 위기를 맞을 경우 중국군이 평양~원산 선까지 진입한 뒤 평양에 친중 정권을 세울 수 있다는 설이 나올 정도다.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한 우리의 선택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기초로 중국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실현에 노력하는 것일 수밖에 없다.
정부는 미국과 물샐틈없는 공조 아래 '충무·부흥계획' 등 그동안 북한 급변사태를 상정해 수립해 둔 작전 계획을 재점검하고, 주시→ 대비→ 액션(행동) 등 상황별로 작성해 둔 시나리오를 현실화할 준비를 해 놓아야 한다. 한·미 연합방위 태세도 어느 때보다 더 굳건히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도 조속히 타결 짓는 게 적절하다.
마침 27일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판문점에서 만나 합의한 4ㆍ27 선언 2주년이다.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이 꼬리를 물고 있는 데다 미국이 대선 정국이라 남·북·미 간에 생산적 대화가 재개되기란 불투명하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상황은 아니다. 정부는 북한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되, 코로나 방역 협조 등 인도적 문제를 고리로 대화를 시도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 주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