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uture full of risk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future full of risk (KOR)

 With millions of votes not fully counted yet, there was no clear winner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by the end of Election Day, Nov. 3. Yet President Donald Trump has declared a victory and threatened to stop vote counting. In reaction, Democratic candidate Joe Biden refuted Trump’s claims by stressing that it is too early to declare a victory. The 2020 race could trigger physical clashes between Trump supporters and Biden supporters.

If the superpower shakes, global security and the economy will shake. For South Korea, it poses a serious challenge as the country needs the United States to address the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As Trump has unilaterally declared his victory despite all preliminary votes not being counted, the election could be headed into chaos. No one can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 winner of the election is determined by U.S. federal courts.

If such a precarious situation continues, the U.S. government could be paralyzed, rendering it unable to effectively deal with an emergency at home or abroad. North Korea has conducted military provocations during transitional periods in America to have the upper hand in negotiations with Washington. Many security experts predict a new missile test in North Korea early next year. The United States can hardly address such uncertainties until a final winner is declare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must be prepared for any provocations from North Korea in case Washington is not fully prepared for that.

South Korea faces a plethora of challenges from the ongoing negotiations to fix its share of defense costs, receiv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t help from Washington on the appointment of the head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Another challenge involves how to deal with mounting pressure from Washington and Beijing to draw Seoul to their side. Not only Trump, but Biden also emphasized a strong reaction to China. Both leaders consider China’s dramatic growth to be a serious security threat despite Trump’s trade focus and Biden’s underscoring of human rights issues.

The United States will most likely reinforce its efforts to contain China based on its alliance, and it expects a bigger role from South Korea in putting the brakes on China’s rise. If a military clash should occur in the South China Sea, for instance, the United States will demand South Korea take its side. China also will demand Seoul to support Beijing, based on its economic leverage over South Korea. As seen in Beijing’s reaction to the deployment of the U.S.-led Thaad antimissile system in South Korea, China will certainly retaliate economically against South Korea. The Moon administration must get ready for all the risks before it’s too late.



혼돈에 빠진 미 대선 후를 철저히 대비해야

전 세계의 운명이 걸린 미국 대선이 현장 투표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앞선 가운데 3일(현지시간) 일단락됐다. 하지만 전체 유권자의 절반에 달하는 1억 표 이상의 사전투표가 완전히 계산되지 않은 상태여서 승패를 속단하긴 이르다. 그럼에도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는 4일 새벽 선거 승리를 선언하며 개표를 중단시킬 태세다. 이에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는 "아직은 승패를 선언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끝까지 개표를 지켜봐야 한다고 반박한다. 자칫하면 양쪽 지지자 간 물리적 충돌까지 벌어질 수 있는 험악한 분위기다.
지구촌의 질서를 지탱해온 초강대국 미국이 흔들리면 세계 안보와 경제 상황이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한·미 동맹의 구도 속에서 이인삼각으로 북핵 문제를 풀어온 한국으로서는 무척이나 험난한 상황이 닥칠 가능성이 크다. 현재 트럼프가 승리 선언을 했지만, 사전투표에서 앞선 바이든 측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미 대선은 진흙탕 싸움이 됐다. 여차하면 선거의 승패를 미 연방대법원이 결정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면 비상사태에 대응하는 미국의 통치 기능이 마비될 수밖에 없다. 그간 북한은 미국의 정권 교체기마다 도발을 자행해 왔다. 새로 들어서거나 재단장하는 미 행정부의 관심을 끌면서 북·미 간 협상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전략이다. 내년 초 북한의 미사일 실험이 이뤄질 공산이 적잖아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누가 이번 미 대선의 최종 승리자가 돼도 내년 초까지 선거 후유증을 말끔하게 해소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도발하면 어떻게 대처할지 정부는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지금 한·미 간에는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비롯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및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선출 등 시급히 풀어내야 할 난제가 수두룩하다. 이런 터에 미국의 사령탑이 제 구실을 못하면 우리로서도 보통 일이 아니다.

대선 후 미국과 중국 양측으로부터 밀어닥칠 압박을 어떻게 막을지도 중대 사안이다. 트럼프 못지않게 바이든 역시 중국에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해 왔다. 이런 흐름 속에서 미국은 동맹국을 중심으로 대중국 포위 스크럼을 강화하려 할 게 틀림없다. 미국의 입장에선 중국 견제의 핵심 국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는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남중국해에서 미·중이 충돌할 경우 한·미 동맹의 깃발 아래 미국 편에 서라고 요구할 게 분명하다.

반면에 중국은 긴밀한 한·중 경제 관계를 지렛대 삼아 중국 입장을 지지하라고 압박할 게 뻔하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체계 배치 논란 때 목격했듯, 자신들의 바람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경제보복에 나설 공산이 크다.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 어떻게 대응할지 치밀하게 대비해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