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from Bidenomic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arning from Bidenomics (KOR)

CHUN SU-JIN
The author is the deputy head of the economic policy teamof the JoongAng Ilbo.


2020 started out with despair as the pandemic swept across the globe, but is about to end with hope. U.S. President-elect Joe Biden declared victory on Nov. 7, saying, “We are not enemies but Americans.” Biden knows that the urgent task is achieving unity and economic recovery.

Interestingly, Biden’s approach to economic recovery will likely be different. His New Green Deal is important, but his will to resolve inequalities caught my attention. It is different in quality from the reckless civil engineering projects and real estate policies in Korea. The core of “Bidenomics” is envisioning improved health for economic growth by resolving income disparities that fall along racial and gender lines. The economic policy section of Biden’s campaign website has an illustration of women advocating the abolition of income discrimination by gender. It was not a mere design choice.

Vice President-elect Kamala Harris and many of the main architects of Bidenomics are women. Lael Brainard, a member of the U.S. Federal Reserve’s Board of Governors who was highlighted as future Treasury Secretary by the media, and Senator Elizabeth Warren have built careers by breaking the glass ceiling. Heather Boushey, another one of the brains behind their economic policy, is the associate editor of Feminist Economics.

The United States is not a paradise of gender equality. In the 2018 OECD statistics, the United States had the second-largest proportion of low-income female workers, at 29.7 percent. That means one in three working women in America are paid less than two-thirds of the median income among major OECD member countries. Nevertheless, the United States deserves to be considered a developed country for recognizing the problem and standing at the starting point. Korea topped the rankings in the same category.

In this year’s World Economic Forum survey, Korea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nked 127th among 155 countries. In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s statistics, 11 percent of high-level management positions were held by women, 115th among 126 countries.

You don’t have to go that far. Open your chat room and see who has their children’s names in parenthesis next to their usernames — nearly 100 percent are women, defining themselves by their status as parents.

In the World Bank’s 2018 report “Unrealized Potential: The High Cost of Gender Inequality in Earning,” income discrimination lowers the GDP of each country and results in a loss of $23,620 per person each year. Discrimination leads to substantial financial loss in the end. I hope the time to consider a new paradigm of growth through eliminating discrimination will come to Korea someday.


 
 
바이드노믹스의 비밀병기 그녀들
전수진 경제정책팀 차장
 
팬데믹의 절망으로 시작한 2020년이 희망으로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8일 “우리는 적이 아니라 같은 미국인이다”라며 승리를 선언한 것은 울림이 컸다. 바이든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 적폐 청산이 아니라 통합과 경제 회복임을 안다. 희망의 근거다.  
 
흥미로운 건 경제 회복을 위한 그의 접근법이 사뭇 다를 거라는 전망이다. 10년간 5조 달러(약 5570조 원)를 투입하겠다는 바이든식 그린 뉴딜 정책도 중요하지만, 각종 불평등 해소 의지도 눈길을 끈다. 토목공사 또는 부동산 정책 우격다짐 릴레이와는 질적 차이가 크다. 인종 및 젠더에 따른 소득 불평등을 해소해 경제 성장을 위한 체질 개선을 꿈꾸는 게 바이드노믹스(Bidenomics)의 핵심 축이다. 바이든 캠프가 공식 홈페이지 경제정책란에 ‘남녀 소득 차별 폐지!’ 구호를 외치는 여성 삽화를 넣은 건 단순한 장식이 아니었다.  
 
부통령은 물론, 바이드노믹스의 주요 설계자들 역시 여성이 다수다. 재무장관감으로 영어권 언론이 주목하는 인물인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이사 및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유리천장을 부수며 경력을 쌓아왔다. 주요 경제브레인인 헤더 부셰이는 ‘페미니스트 경제학’이란 매체의 부편집장이다.  
 
미국이라고 성평등 천국은 아니다. 201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서 저임금 여성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미국이 29.07%로 2위였다. OECD 주요국 중위임금의 3분의 2도 받지 못하는 여성이 10명 중 3명에 달한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이를 문제로 인식하고 철폐를 위한 출발선에 섰다는 것만으로 미국은 선진국 대접을 받을 만하다. 같은 통계의 1위는? 대한민국이다.  
 
올해 세계경제포럼(WEF) 집계에서 한국의 여성 경제 참여수준은 155개국 중 127위를, 국제노동기구(ILO) 통계에선 고위 관리직 중 여성 비율이 11%로 126개국 중 115위였다. 멀리 갈 것도 없다. 카카오톡을 열어 보시라. 아이디 옆에 괄호로 자녀 이름을 적어놓은 이들(학부모 단톡방 소통을 위해서다)은 거의 100% 여성이다. 출산파업엔 다 이유가 있다.  
 
세계은행(WB)이 2018년 발간한 보고서 ‘미실현 잠재력: 소득 성차별의 높은 비용’에 따르면 소득 차별은 각국 국내총생산(GDP)도 떨어뜨리며, 전 세계적으론 1인당 2만3620달러의 손실을 가져온다. 차별이 결국 실질적 금전 손해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차별 철폐를 통한 성장이라는 새 패러다임을 고민해볼 때가, 대한민국에도 언젠가는 오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