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rry blossom ending (KOR)
Published: 01 Apr. 2021, 19:24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social planning teamof the JoongAng Ilbo.
About ten years ago, I heard that colleges were shutting down in the order that cherry blossom blooms — starting with those farthest from Seoul. I was impressed by the rhetoric summing up the crisis of local colleges due to the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but I didn’t believe it would actually happen.
The warning that the low birth rate and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would lead to a crisis for colleges was already repeated. As the government and schools knew about the upcoming danger, I thought it would be resolved somehow.
But my prediction was wrong. This year’s admissions outcome shows that the “cherry blossom ending” has already begun for regional universities. Most colleges in the non-capital region failed to fill seats. The Far East University in North Chungcheong, Andong University in North Gyeongsang, Wonkwang University in North Jeolla and Sangji University in Gangwon failed to fill two or three out of everyt ten seats for the incoming class. As private universities have few sources of income other than tuition, they are concerned about bankrupcy.
Solutions were presented early on. Kim Yong-ik, head of the committee on aging and future society, proposed in a seminar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05 that intense structural reform for colleges, including weeding out uncompetitive schools, was needed.
The primary responsibility is with the Education Ministry. In 2014, the ministry started a structural reform, removing 160,000 college places over nine years. The plan faltered. The one-sided college evaluation and unsystematic seat reduction plan was not trusted. As unreliable colleges were not weeded out, more “zombie” schools were created, barely surviving through tuition and subsidiaries.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not avoid responsibility either. While they claim to be the cradle of knowledge and intelligence, they try to please the ministry and seek government assistance.
The biggest responsibility for failing to prevent the crisis lies with politicians who calculate factional interests and have been indifferent to the crisis. The revision to the Private Schools Act, the legal base for restructuring and weeding out underperforming schools, never got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For each election season, promises were made to expand college funding, but after elections, both the winner and the loser became indifferent.
An approaching danger that is neglected and results in irreversible damage is compared to a “gray rhino.” It is easy to spot it from far, but it’s hard to avoid it when it nears. Gray rhinos like exhausting the national pension, the college admissions crisis and the increasing national debt and climate catastrophes are approaching. We need the wisdom, courage and determination to dodge the charging rhinos.
현실이 된 지방대 '벚꽃 엔딩'
천인성 사회기획팀장
10년 전쯤 ‘벚꽃 피는 순서대로(서울에서 먼 대학부터) 문 닫을 것’이란 말을 처음 들었다. 인구 절벽,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지방대의 위기를 단 한 문장에 압축한, 누군가의 재치에 나도 몰래 무릎을 쳤다. 그렇다고 진짜 실현되리라 믿진 않았다. 이미 ‘저출산→학생 감소→대학 위기’란 경고가 귀에 못이 박일 만큼 반복됐던 때였다. 정부도, 대학도 닥쳐올 위험을 이미 알고 있으니, 어떻게든 해결하리라 여겼다.
예상은 빗나갔다. 올해 입시 결과를 보면 지방대의 ‘벚꽃 엔딩’이 이미 시작됐다. 비수도권 대학 대다수가 입학 정원 채우기에 실패했다. 충북 극동대, 경북 안동대, 전북 원광대, 강원 상지대처럼 전국 각지에서 신입생 정원 10명 중 2~3명을 못 채운 대학들이 이어졌다. 등록금 외엔 별다른 수입이 없는 사립대에선 벌써 “이대로면 몇 년 못 버티고 파산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대학 신입생 부족은 20년 전부터 예상됐다. 올해 신입생(2002년생)이 태어나기 전인 2001년 통계청은 “대학입학연령 인구가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줄어든다”고 경고했다. 해법도 일찌감치 나왔다. 2005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직원 특강에서 김용익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위원장은 “부실 대학 퇴출을 포함한 강도 높은 대학 구조개혁”을 제안했다.
경고도, 해법도 나왔는데 왜 못 막았을까. 일차적인 책임은 교육부에 있다. 2014년에야 교육부는 9년에 걸쳐 대입 정원 16만 명을 감축하는 구조개혁에 착수했다. 그나마 중도에 좌초했다. 일방통행식 대학평가와 주먹구구식 정원 감축으로 신뢰를 잃었을뿐더러 부실 대학 퇴출이 미흡해 등록금과 보조금에 연명하는 ‘좀비 대학’이 늘었다. 대학도 책임을 면하긴 어렵다. ‘학문과 지성의 요람’을 자처하던 겉모습과 달리 교육부의 눈치를 보기 급급하며 제각각 학생 정원 지키기, 정부 지원 따내기에 몰두했다.
위기 예방에 실패한 가장 큰 책임은 당파적 이해득실만 따질 뿐 대학 위기에 무관심했던 정치권에 있다. 구조조정의 법적 근거이자 부실 대학 퇴출의 첫 단추인 사립학교법 개정안은 번번이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선거철마다 대학 재정 확충 공약이 나왔지만, 선거 뒤엔 승자든 패자든 무관심했다.
다가오는 위험을 알면서도 무시했다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보는 상황을 회색코뿔소(Gray Rhino)에 비유한다. 덩치가 커 멀리서도 잘 보여도 막상 닥쳐오면 피하기 힘들어서다. 우리에겐 지방대의 위기 외에도 국민연금 고갈, 국가 채무 증가, 기후 재앙과 같은 회색코뿔소도 다가온다. 날카로운 뿔을 세우고 달려드는 코뿔소들을 제때 피할 지혜와 용기, 결단력이 절실하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