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ming the umbrella union’s dominanc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aming the umbrella union’s dominance (KOR)

People are losing patience with the militant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Complaints and pleas have poured in after the Fair Trade Commission (FTC) embarked on a punitive review on the Busan construction and machinery faction of the KCTU. It turned out that workplaces, mostly construction sites, have been marred by the domineering ways of KCTU members. As a result, employers and workers have been abused.

Workers who did not join the KCTU or collective actions of unions often lost their jobs. Builders are pressured to use the construction equipment KCTU members use. The construction site could be disrupted by unionists if it did not comply. The umbrella union has become fearless. Its members raided streets and roads across the nation to hold rallies despite the spread of Covid-19. A delivery union aligned with the KCTU occupied the headquarters of CJ Logistics for 19 days in February.

The prosecution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eep to the sidelines. They refuse to use law enforcement even when production sites are illegally occupied by unionists. The government does not issue a disband order to the rioters, even if Covid-19 social distancing rules require it. It does not even attempt to mediate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e law enforcement has lost its authority in the face of the mighty union group. The excesses of the KCTU are too many to list. From the illegal occupation of Hyundai Steel to the SPC headquarters, forced intrusion had become the KCTU’s trademark.

The police merely advise protests disband, while the labor ministry’s role is nonexistent. Workers and employers inevitably had to turn to the antitrust agency. The FTC, however, cannot fundamentally correct the KCTU’s abuses. The umbrella union would have violated the antitrust law if it had demanded the hiring of its members and their equipment. But fines cannot correct its actions. The KCTU has come to dominate worksites through illegal raids and force.

Labor power will grow since three key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onventions went into effect this week. The union has the right to strike unless it is for outright political purpose. Under the freedom of association and ban on forced labor, dismissed workers can join unions and any type of forced labor is prohibited. Employers have asked for the right to hire replacement workers amid increased strike possibilities, but were denied. Since a ban on worksite occupation is restricted to manufacturing facilities, employers cannot prevent laid-off workers from entering workplaces. Labor reform is a must for the incoming Yoon Suk-yeol administration. There is no future for the Korean economy if the KCTU’s bulldozing ways cannot be stopped.
 
 
 
민노총 폭주 못 막으면 한국 경제 미래도 없다
 
지난 5년 법 위 군림, 문 정부 수수방관
파업권 더 세지며 국민·기업 고통 커져
 
 
민주노총에 대한 국민 인내심이 바닥을 드러냈다. “제발 도와주세요. 현장도, 업체도 너무 고통 받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민노총 부산건설기계지부에 대한 제재에 착수했다는 보도 이후 전국에서 쏟아진 제보내용 일부다. 전국의 사업장, 특히 공사현장이 민노총의 횡포로 피해를 보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뿐 아니라 근로자도 고통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근로자의 경우 민노총에 가입하지 않거나 노조의 단체행동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노조에서 제명된 뒤 일자리에서 쫓겨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건설업체는 민노총 조합원이 운전하는 장비만 계약할 것을 강요당하는 경우도 흔하다. 업체가 거부하면 공사를 방해해 건설이 중단되는 사태가 빈발한다. 한마디로 민노총 앞에 세상은 무법천지다. 민노총은 코로나 와중에 거듭 전국 도심을 점거했고, 지난 2월 민노총 택배노조는 CJ대한통운을 19일간 불법점거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팔짱만 끼고 있었다. 생산현장이 불법 점거돼도 경찰은 국민을 위해 공권력을 쓰지 않았고, 고용노동부는 퇴거명령 등 긴급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노사대화를 적극적으로 중재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공권력이 실종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5년 민노총의 폭주사례는 차고 넘친다. 가까운 사례만 꼽으면 지난해 현대제철 불법점거부터 파리바게트를 운영하는 SPC 점거에 이르기까지 불법점거는 민노총의 기본 권리처럼 됐다.  
 
경찰은 출동해도 해산을 요구하는 정도고, 노동부는 존재감을 잃었다. 결국 피해를 호소할 곳 없는 근로자와 기업들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공정위에 의존하는 처지가 됐다. 공정위는 민노총의 폭주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민노총 조합원만 고용하거나 그 조합원의 장비만 쓰도록 하는 것은 공정거래 위반이 된다. 그러나 공정위의 제재는 계란으로 바위 치기에 불과할 뿐이다. 현실에선 민노총이 불법점거 등 물리력 행사를 통해 현장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더 심각한 것은 어제부터 국제노동기구(ILO) 핵심 협약 발효로 노사간 힘의 균형이 무너졌다는 점이다. 이제 노조는 정치적 견해표명 목적의 파업을 제외한 사실상 모든 파업이 허용된다. ‘결사의 자유 보호’와 ‘강제노동 금지’에 따라 해고자·실업자의 노조활동과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이 금지된다. 반면에 기업의 방어력은 무력해졌다. 파업권이 강해진 만큼 ‘파업시 대체근로 허용’을 요구했으나 묵살됐고, 사업장 점거에 대한 금지범위도 ‘생산·주요시설 점거금지’에 그쳐 투쟁에 나서는 해고자·실업자의 회사 출입을 견제할 방법이 없게 됐다. 노동개혁은 윤석열 정부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노조의 폭주를 막지 못하면 한국경제의 미래도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