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d toward the largest trade defici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eaded toward the largest trade deficit (KOR)

The foreign exchange market has turned alarming. The U.S. dollar shot up to 1,340 won on Monday for the first time since 2009 ami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dollar has gained upward momentum against most currencies upon anticipation of lengthening in tightening in monetary cycle.

Authorities claim the won’s weakness is in different context than the past crisis periods. It is true that dollar supplies are not short. Despite widening in trade deficit, the current account still maintains surplus. Korea has kept up more external assets than debt since 2014.

The foreign exchange rate can fluctuate in reflection of economic fundamentals. But sharp volatility or excess bias to one direction such as the weaker won cannot be desirable. Korea can no longer benefit from cheap currency as in the past. Japan and Europe that vie with Korean products have seen their currencies fall by a bigger margin against the greenback this year.

The weak won makes imports more expensive and further aggravates inflation instead of lifting export competitiveness. The Bank of Korea this week is expected to raise the base rate by another 25 basis points to keep up with the galloping rises in the U.S. rates.

Alarmingly, trade deficit has been stretching, too. Deficit this month has already swelled to above $10 billion as of Aug. 20. At this rate, the trade balance would be in a red streak for the fifth month, the longest in 14 years. Cumulative deficit has hit $25.5 billion, above the last record of $20.6 billion in 1996.

The capital account last year recorded $19.3 billion in surplus thanks to Korean companies’ overseas direct investment and dividend and interest gains from overseas stock investments. But if trade deficit widens, the current account may not be safe. Korea’s trade deficit cannot look well in the eyes of international capital as the economy relies on trade. Whether the government has stocked up enough energy supplies before the winter season is also questionable.

Foreign debt should be closely watched. The short-term foreign debt-to-foreign exchange reserves ratio rose by 3.7 percentage points to 41.9 percent in June. Although the level is still far lower than 78.4 percent in 2008, it is above the 33.8 percent average of the past 10 years. If global demand and export environment worsens, short-term foreign debt could shoot up.

There cannot be an easy solution to foreign exchange instability from external factors. Although overreaction should be refrained, public finance and macroeconomic policy must be managed stably. The government must give confidence to investors that it has economic affairs under control.
 
 
 
원화가치 13년래 최저...기조적 무역적자 걱정된다  
 
달러 가뭄 없다지만 수입물가 올라 부담 커져
시장 과잉반응 경계...거시경제 안정적 관리를
 
 
외환시장이 불안하다. 어제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가치는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3년 4개월 만에 1340원대까지 떨어졌다. 기본적으로 강달러 영향이 크다. 미국이 금융 긴축을 더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면서 달러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였다.  
 
외환당국은 원화 약세가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때와는 다르다고 강조한다. 실제 외화자금시장에서 달러 가뭄 현상은 없다. 무역적자에도 불구하고 경상수지 흑자는 이어지고 있고, 한국은 2014년 이후 대외금융자산이 더 많아진 순채권국이 된 만큼 지나치게 위기의식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환율이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해 오르내리는 게 자연스럽다고 하지만 급격한 가격변동이나 원화약세라는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은 결코 바람직스럽지 않다. 과거 경험했던 원화약세의 장점을 이젠 누리지 못한다. 한국의 수출경쟁국인 일본·유럽의 통화가치가 최근 1년 새 한국보다 더 떨어져서다. 수출경쟁력을 높여 상품수지 흑자를 늘리는 대신, 수입물가를 올려 가뜩이나 힘든 물가에 더 부담된다. 미국과의 정책금리 격차가 더 커지는 상황인 만큼,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서도 예고된 금리인상(0.25%포인트)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가계부채 때문에 미국보다 금리인상 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어 원화약세는 한동안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무역적자가 기조적으로 발생하는 건 걱정스럽다. 이달 들어 20일까지 무역적자가 100억 달러를 넘어서며 14년여 만에 처음으로 5개월 연속 적자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올 들어 누적 무역적자는 255억 달러로 이미 역대 최대 기록(1996년 206억 달러 적자)을 넘어섰다.
 
지난해 국내기업의 해외직접투자와 국내투자자의 해외 증권투자로 받은 이자와 배당금 덕분에 193억 달러의 소득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무역적자 폭이 커지면 안심할 수 없다. 시장에선 수출제조국인 한국의 무역적자 기조를 가벼이 보지 않을 것이다. 겨울이 다가오면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입이 늘어날 텐데 정부가 충분한 물량을 비축하고 있는지도 궁금하다.  
 
외채 건전성도 잘 챙겨야 한다. 6월 말 기준 단기외채 비율(41.9%)이 석 달 전보다 3.7%포인트 높아졌다. 2008년 금융위기(78.4%) 때보다는 훨씬 낮지만 지난 10년 평균(33.8%)보다는 높다. 세계경기 급랭과 수출여건 악화 등에 따라 기업의 단기외화 수요가 늘어날 수 있는 만큼 더 나빠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대외요인에 의한 외환시장 불안엔 딱히 해법이 없다. 시장의 과잉반응을 경계하는 한편, 재정건전성을 비롯해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정공법이다. 윤석열 정부가 대내외 경제를 잘 챙기고 있다는 평판에 한 치의 흔들림도 있어서는 안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